2024.04.28 (일)

[Pick리뷰] 120년전 '임인진연', 미래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리뷰

[Pick리뷰] 120년전 '임인진연', 미래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자주국가 염원 1902년 대한제국 임인진연
“흥미로운 한 편의 사극”
생황 음색 “아름답고 자유로웠다”

임인진연1 (3).jpeg


120년 전에 있었던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 '임인진연'을 관람하는 내내, 나라 안팎의 상황이 혼란스러운 가운데에서도 독립국이자 문명국임을 전 세계에 인정받고자 했던, 간절히 우리나라의 문화와 꿈을 보여주고자 했던 마음이 어땠을지 감히 상상할 수 조차 없었다. 국립국악원은 1216()부터 21()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송년공연 '임인진연'을 선보였다.


이번 공연은 올해 임인년을 맞이해 자주 국가를 염원했던 1902년 대한제국의 임인진연을 중심으로 찬란한 궁중예술의 가치와 의미를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당시 국가를 상징하는 황실의 진연(進宴, 궁중에서 베푸는 잔치)이 기록된 의궤와 도병(圖屏, 그림 병풍) 등 당대의 기록 유산에 근거해 궁중예술을 전통 방식으로 무대에 되살렸기에 더 깊은 의의와 가치가 있는 무대였다.


연일 매진을 기록한 '임인진연' 공연 첫 날,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국립국악원은 발 디딜 틈 없이 관객들로 들어 차 있었고, 모두 상기된 표정으로 무대를 기대하고 있었다. 임인진연 잔치의 배경을 알리는 글로 가득 채워진 영상과 함께 막이 올랐다. 황제의 탄일과 등극을 기념하는 진연이었기에 황태자는 계속하여 잔치를 윤허 해 달라 상소를 올렸고, 고종은 나라 안팎의 사정을 이유로 잔치를 윤허하지 않았으나 결국 윤허하였다. 그 때의 그 상황과 장면을 영상을 통해, 그리고 전문 성우의 목소리를 통해 감상하니 마치 한 편의 사극 드라마를 보는 듯 해 흥미로웠다.


영상이 끝나고 왕의 입장과 함께 공연진의 무대가 열렸다. 조명이 들어옴과 동시에 관객석에서는 여기저기서 탄성이 흘러나왔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오방색으로 가득 찬 무대는 우리 전통의 멋을 확연하게 드러냈다. 고종이 입장하는 동안 연주된 '보허자'는 위엄 있고 기품 있으며, 이후 붉은 빛의 무대 조명과 함께 단잡이(한 사람씩 하나의 악기를 다룸)로 연주된 여민락 연주에 맞추어 함께 불려진 창사 구음은 음악에 더 깊이 빠져들게 하였다. 한삼을 흩날리며 부드럽게 군무를 추는 무용수들의 몸짓은 부드러우면서도 각지고 힘이 있었다. 여유롭고 위엄있는 대한제국의 마지막 잔치가 시작되었다.


치사(경사가 있을 때에 황제에게 올리던 송덕의 글)와 음악, 정재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순서로 잔치는 진행되었다. 1작은 황태자의 치사, 2작은 황태자비의 치사, 3작은 영친왕의 치사, 4작은 군부인, 5작과 6작은 각 좌명부와 우명부, 7작은 종친/척신의 치사로 진행된 후 예식이 끝났다. 각 순서에 맞게 서로 다른 음악이 연주되었다.


정악과 정재를 감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사를 올리는 과정과 황제에게 술을 올리는 순서, 국궁산무도(발을 세 번 구르며 춤을 춘다) 등의 관례 등을 볼 수 있는 것도 이 공연에서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문화적 요소였다. 반복하여 예를 갖추고 천천히 순서를 지켜나가는 여유로움은 500년 역사를 지닌 조선 왕조의 사상이나 문화와 참 잘 어울렸고, 그 위엄이 굉장히 높게 느껴졌다.


1작부터 예필(예식을 마침)까지.(수제천, 해령, 여민락만, 수룡음, 여민락, 세령산, 계면가락도드리, 보허자) 총 아홉 악곡이 번갈아가며 연주되었다. 당피리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해령, 여민락만, 보허자는 치사를 치사봉치 안에 가져다 놓는 치사봉치 때 연주되었고, 향악 계통의 수룡음과 세령산, 여민락, 계면가락 도드리는 황제에게 술을 올리는 진작 때 연주되었다.

 

치사봉치 때 사용되는 악곡 해령은 연음(連音)의 연주방식이 들어 있는 대표적인 악곡으로 꼽힌다. 연음형식이란 관악 중심의 합주곡에서 피리·대금·해금·장구·북을 함께 연주하다가 피리·장구·북이 쉬는 동안에 대금과 해금만을 연주하고, 이 연음의 끝음을 받아서 다시 피리를 연주하는 식으로 계속 반복되는 형식을 취한다.


이는 해령본령과 함께 연악이나 행악에 주로 사용되는 음악의 기능과 밀접히 관련되는데, 의식 진행에서 음악의 길이를 연장 또는 축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관악기군의 연음방식을 이용하여 반복과 생략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해령을 연주하며 연음 형식을 적절히 활용하니 행사의 순서에 따라 늘이고 줄이고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그 멋이 돋보였다. 장엄하고 유려하게 연주되는 해령은 우리 궁중의 위엄을 보여주면서도 부드럽고 유한 멋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진작 때 연주된 수룡음은 생황의 오묘하고 아름다운 음색이 특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수룡음은 가곡 중 계면조 평롱·계락·편수대엽까지의 반주선율을 기악곡으로 변주하거나 한곡씩 독립하여 독주·병주 혹은 관악합주로 연주한 곡으로, 단소와 생황의 생소병주 형태로도 많이 연주된다. 이번 무대에서는 단잡이의 작은 규모로 연주되었는데, 국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낼 수 있는 생황의 음색은 아름답고 자유로웠다. 세령산이 연주될 때에도 생황이 사용되었는데, 왕에게 술을 올리는 잔잔하면서도 위엄 있고, 우아한 느낌이 생황과 참 잘 어울렸다.


공연의 시작과 끝은 수제천이 장식했다. 장중하고 화려하면서도 우직하고 유려한 힘이 있는 향악의 대표곡 수제천이 연례 순서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느껴질 정도로 그 힘이 컸다. 왕세자 등의 거동에도 많이 활용되었던 의식음악인만큼 앞서 말한 해령의 연음형식이 사용되고, 갈라 치는 장단을 활용하는 등 박에도 신축성이 있지만, 그러한 자유로운 불균형 안에서 모든 악기들이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며 완성도 있는 예술성을 선보였다.


예식의 끝, ‘수제천연주 이후 대표적인 정재의 하나인 선유락무대가 펼쳐졌다. ‘선유락은 군례(軍禮)의 형식을 띠며, 정재로서는 가장 거대한 규모의 군무인데, 어부사를 노래하며 밧줄을 끌고 배를 둘러서 춤을 춘다. 무용수들의 기품 있는 몸짓이 하나 되어 마치 꽃이 흩날리는 듯하였고, 힘 있는 취타의 반주와 조화롭게 어우러져 우리 예술의 깊이감이 크게 드러났다.


오랜 역사와 예술을 자랑하는 500년 왕조의 행사 임인진연, 혼란했던 그 당시를 꿋꿋이 이겨내려는 우리 선조들의 마음이 크게 느껴지는 무대였다. 특히 당시 임인년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황실이나 종친 등 최상류층만 향유했던 궁중 가무를 국내외 귀빈에게 공개하려 했다고 하니, 그만큼 우리 문화를 지켜내고 나라를 지켜내는 데에 절실했던 것이 아닐까.


임인진연의궤에는 행사 준비에 필요한 모든 내용들이 글과 그림으로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었고, 우리는 그 기록을 이어받아 120년 후 2022년의 현대인들에게 선보였다. 우리 문화와 전통은 그렇게 오랜 기간 꾸준한 노력이 담긴 기록과 보존으로 명맥을 지속 해 온 것이다. 과거를 현재로 가져 온 이번 무대를 넘어서, 현재 우리가 지켜내고 발전시켜 내고 있는 전통예술 또한 계속해서 미래로 이어져 나가게 할 수 있도록, 우리는 집중하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사랑하며 지켜내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