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8) 청자돈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8)
청자돈편

  • 특집부
  • 등록 2024.03.29 07:30
  • 조회수 11,806

  완형의 청자돈을 보여 주어도


       이규진(편고재 주인)

 

의자 생활이 오래 된지 오래다. 사무실의 책상과 의자는 어느새 현대인들에게는 필수불가결의 요소가 되어 버린 것이다. 어찌 사무실뿐이랴. 살림집(아파트 포함)의 식탁과 의자는 물론이거니와 따지고 보면 소파도 걸터앉는다는 점에서는 의자와 마찬 가지인 것이다. 이처럼 의자는 이제 우리 생활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친근한 기물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도 이러한 의자생활이 일상적이었다는 점에서는 흥미로운 바가 없지 않아 있다. 물론 하층민들이야 방바닥 생활이 주를 이루었겠지만 황실이나 귀족들에게는 의자 생활이 보편화 되어 있었던 것이다. 사실일까. 물론이다. 그 증거가 청자에서 보이는 의자 즉 청자돈이다.


청자돈은 둥근 형태에 속은 비어 있고 윗면은 막혀 있다. 윗면에는 무문이거나 음각의 문양이 들어가며 옆면은 투각으로 조각을 한다. 그런데 사람이 앉아야 하는 일정한 높이가 있다보니 기물은 구조적으로 대형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소성의 지난함 때문인지 보관의 어려움 때문인지 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지극히 드물며 대개는 손상을 입고 있거나 도편으로 남아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 구입한 청자돈편도 마찬 가지다. 윗면 일부와 옆 부분이 남아 있는데 워낙 큰 기물이다 보니 도편의 크기만 해도 만만치가 않은 대형이다.


138청자돈편.jpg
청자돈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 45x30Cm

 

청자돈편의 윗부분은 음각의 문양이 들어 있는데 종류는 알수가 없다. 옆은 단을 이룬 위쪽에는 투각으로 당초문을 새겨넣고 있다. 두 줄의 양각으로 구분을 한 아래는 문양을 교차시켜 조각하고 있는데 중간을 보면 대나무 같은데 위는 고사리 같은 모양이기도 하다. 남은 것은 이것 뿐이지만 통상의 예로 보아 없어진 아래로는 연판문을 새긴 밑부분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청자돈편을 보면 좌우의 것은 색감이 약간 달라 소성 과정의 반대편 불 탓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기물의 것인지는 조금 더 살펴 볼 필요가 있을 듯 싶은 것이기도 하다.


고려 시대를 다룬 사극을 보다보니 의자 생활의 모습이 보여 반가운 느낌이었다. 아쉬운 것은 청자돈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사실 일반인에게 완형의 청자돈을 보여 주어도 이 것이 고려인들이 사용했던 의자였음을 알아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청자돈을 보며 우리는 고려인들의 의자생활을 알 수 있거니와 그곳에 표현된 미감을 통해 시대를 뛰어넘는 아름다움을 공유해 볼 수도 있으니 이 또한 부수적인 이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