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기고] “한별 김덕영선생을 찾습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한별 김덕영선생을 찾습니다”

  • 편집부
  • 등록 2024.03.26 00:00
  • 조회수 11,509

문득 어떤 사람이 생각날 때가 있다.

세계를 멈추게 한 코로나로 만남이 뜸했던 관성탓인지, 만나자는 전화를 하는 것이 선뜻 내키지 않는다. 그래도 오랜만에 언뜻 떠오른 사람이기에 오래 전 통화했던 번호를 찾고자 이름을 검색하여 수화기 표시를 누른다. 이내 빨간 원 안의 수화기 그림이 뜨면, 자세를 고쳐 앉으며 할 말을 준비한다. 이 세 마디 정도일 것이다.

 

"별일 없었지요?”

"왜 그렇게 소식이 없었어요?”

"우리 이렇게 살아도 돼는 거요?”

 

그런데, 뜻밖에도 벨 소리가 아닌 상투적인 여성의 기계음이 들린다. 아니 뭐야 이상하네?


"지금 거신 번호는 없는 번호입니다. 확인 후 다시 걸어주시기 바랍니다.~”

 

영어 기계음이 나오자마자 바로 끊었다. 그리고 잘못 걸었나 생각하고 다시 화면에서 번호 앞의 이름을 확인한다. 그러나 그 이름의 번호는 하나뿐이다. 틀림없는 그 이름에, 그 번호다. 그렇다면 혹시?

 

덜컹, 가슴이 내려앉는다.

이런 일이 칠순을 넘기면서부터 드물지 않게 있어 왔다. 대개 연조가 더 드신 분들이다 보니 그런 것 같다. 한숨을 몇 순배 돌렸다. 그리고 다시 전화를 들어 주변 지인들에게 소식을 물었다. 돌고 돌아 확인이 되었다. 서너 통화 후의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이 중에 하나이기가 일쑤였다.

 

"그 양반 코로나 때 갔다 더라구. 나도 후에 들었어. 주변에 부고도 내지 않았데”

"아이~그 양반 갈 때 되었지, 전에 만났을 때도 위태위태 했잖아? 거기다 술에 담배까지 했지?” "요양원에 들어갔는데 연락두절이야. 야속한 친구여!”

 

나도 모르게 한숨을 쉰다. 허무해서인지, 아니면 나도 이럴 수 있어서라는 비감 때문이지. 한숨이 유독 길어졌다.

 

그런데, 오늘 또 이런 지경을 만났다. 다만 주변에 돌려 알아볼 데가 없어 그렇게 단정할 것은 아니었으나 예감이 그렇다. 이 지면을 통해 그분을 찾고자 해서 실명을 밝히기로 한다.

 

그분은 2000년대 들어 국립국악원 공연에는 거의 방청객으로 자리했다. 국악방송 애청자로 ‘모범 애청자’로 꼽힌 바도 있다. 늦은 60대 들어 가야금을 배워 비공식적인 무대에 서기도 했다. 국학 관련 학술 모임에는 거의 빠짐없이 참석했다. 국악 관련 기념식 같은 데도 거의 자리를 했다. 남은 노년을 애국자로 사는 것이 틀림없다.

 

그분과는 그저 만나면 악수하고, 간단한 안부 묻는 정도이다. 다만 관련 행사 문의로 전화를 받은 바 있어 전화기에 번호를 저장해 두었다.

 

그런데 이분이 지난해 어느 즈음부터 나타날만한 행사장에 나오지 않았다. 처음 두어 달은 두리번 거리다 다음에는 오겠지 하고 말았다. 그러나 한 달이 더 지나도 그는 보이지 않았다. 그럴 때마다 지인들에게 묻기 시작했다

 

"혹시 치아가 없어 입이 홀쭉하신 그 김선생님 못 봤어요?”

 

그때마다 돌아오는 답은 "글쎄요~” 정도였다.

 

김덕영.jpg
한별 김덕영 (사진=김연갑 제공)

  

사실 이 분과는 깊다면 깊은 인연이 있다. 생생한 에피소드이다. 30여 년 전 KBS에서 ‘고서시장(古書市場)’이란 대형 행사를 3년에 걸쳐 시행했다. 그 중 2, 3회를 맡아 진행한 바 있었다. 바로 11일간의 판매 행사장에서 나이보다 늙수구레한 분이 제법 가격이 나가는 책들을 샀다. 일제시대 ‘소년’ 창간호 등을 세 차례나 사는 분이였다. 귀한 최남선 주제의 잡지 창간호를 구매한 분이라서 주목을 했다. 그런데 더 기억에 남는 일이 있었다. 결제 방법이었는데, 조건부 가계수표 결재였다.

 

"수표 이면에 서명과 전화번호를 남겼습니다. 은행에서 결재할 때는 꼭 제게 먼저 전화를 주세요. 수고스럽지만 꼭 부탁합니다.”

 

거듭 당부된 당부였다. 이런 인연으로 그분이 서울시 원예 담당 하급직 공무원임을 알게 되었다. 아마도 반 년치 이상의 급여에 해당하는 책값을 마련하느라 시간적 여유가 필요했던 듯하다.

 

1년 후, 3회째 고서시장이 열렸다. 필자가 운영을 또 맡게 되었다. 그분도 다시 찾아왔다. 그리고 귀중 도서로 분류해 놓은 16세기 초의 고가 활자본 10여 권을 구입하였다. 지난해 보다 더 큰 액수였다. 그리고 역시 가계수표를 발행하였고, 결재수단도 같았고, 부탁 내용도 같았다.

 

행사 일정이 며칠이 남아 한 번 더 오시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끝날 때까지 오지 않았다. 그렇게 행사는 끝이나고 관련 부서장들과 회식을 했다. 그런데 거기서 뜻밖의 소식을 들었다. 출품을 한 고서점에서 사고가 나서 중도에 철수를 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부득이 예정에 없던 결산을 급하게 했다. 긴급한 상황이라 회계 부서에서 처리를 한 것이었다. 이런 일이 있었음을 행사가 끝나고야 알게 되었다. 송구스러웠다. 그렇다고 뒤늦게 연락을 취하는 것도 어울리지않는다는 생각에서, 내년에 만나면 안부를 묻는 것으로 마음을 먹었다.

 

새해를 맞았다. 그 사이 KBS 사장이 바뀌었다. 사장(이원홍)이 문공부장관으로 갔다. ‘고서시장’도 중단되어 네 번째 행사가 개최되지 못했다. 자연히 그분을 만날 수 없게 되었다. 그렇게 3년을 보냈다. 그분에 대한 생각도 희미해져 갔다.

 

그러던 어느 날. 청계천의 한 고서점에서 그분을 만났다. 평일 한나절이라 서점에는 주인과 셋뿐이어서 바로 알아볼 수 있었다. 먼저 인사를 하였다. 다가가 마주하여 인사를 했다. 그리고 지난 일을 물으려 했다. 그러자 그분은 별 내색 없이 목례로 답하고는 책값을 치루고 나가는 것이었다. 마치 피하기라도 하는 듯. 지난번 일에 대한 사과를 겸하여 차라도 한잔하려 했는데 기회를 주지 않은 것이다. 그래도 집었던 책을 내려놓고 따라가려 했다. 그런데 주인이 혼자하는 말이 내 귀에 와 발을 멈추게 했다.

 

"천애 없는 모범 공무원에다 애서가 양반을 고서 한번 잘못 샀다가 패가망신을 했으니. 공직자가 가계수표 남발해서 부도를 냈다고 강제 퇴직을 당했으니~ 쯧쯧 에이 세상에”

 

"예? 저분이요? 가계수표 부도요?”

 

"아니 인사를 하는 걸 보니 아는 사이인 것 같은데, 그 일을 몰랐어요? 뭐, 그 방송국에서 한 고서시장인가 뭔가에서 수백만원 짜리 활자본 몇 권을 사고 말미를 달라고 약속을 하고 가계수표를 끊었는데, 거기서 이튿날 바로 은행에 넣었다는구먼, 그래서 난리가 났다는 거여, 그 양반 모범 공무원으로 뭐 영화에도 나왔던 사람이랍디다”

 

그랬다. 그의 말투나 행동거지는 반듯했다. 그렇다고 차가운 사람은 아니었다. 정중할 뿐이었다. 이 얘기를 듣고는 뒤따라갈 엄두를 내지 못했다. 송구했다. 너무 송구했다. 그런데도 원망도, 나무람도 하지 않았다. 약속을 믿은 자신에게 책임이 있다는 자책 때문이었을 것이다. 마음이 아팠다.

 

그리고 다시 몇 년이 흘렀다. 직업상 자주 국악 공연장을 찾게 되었다. 그런데 국립국악원 우면당 로비에서 그분을 만났다. 처음에는 몰라보았다. 왜냐하면 이가 모두 빠져 합죽이가 된 상태였다. 특유의 온화한 눈배가 아니었다면 몰라 볼 뻔하였다. 매우 반가웠다. 다행이 악수를 거부하지 않았다. 그러나 역시 변명을 할 기회는 주지 않았다.

 

이 후 몇 년간 그분은 국악 애호가가 되어갔다. 공연장은 물론 관련 행사장에도 자주 참석했다. 이때마다 반갑게 인사를 했다. 그도 거부감 없이 악수하고 미소로 답했다. 그러나 마주하여 대화를 나누지 못했다. 그래서 10여 년전의 일에 대해 변명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 그래서 늘 마음 한 켠에 미안함을 간직하게 되었다. 그렇게 코로나를 만나 2년여를 만나지 못했다.

 

그런데 코로나 터널을 지난 이 봄, 국악 공연장에 그분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공연이나 행사에 오면 그분을 찾아 두리번거리는 일이 거의 매일인데, 만날 수가 없다. 조바심이 생겼다. 혹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부디 조급한 상상이 아닌, 다른 일로 국악 행사를 못 나오고 전화번호도 달리 쓰게 되어 번호를 바꾸었다고 믿는다. 그래서 다시 반갑게 악수하고, 그 온화한 미소를 마주하기를 바란다. 이번에는 꼭 마주하고 그 일에 대해 해명을 하겠다는 마음을 굳혔다. 그래서 그분을 찾게 되었다.

 

"입이 홀쭉하고, 호가 ‘한별’이고, 이름이 ‘김덕영’이란 분을 알고 계신 분 계십니까? 

혹시 계시다면. 이 안부를 꼭 전해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사연을 가진 사람이 퍽이나 궁금해한다고요. 

그리고 이 봄날 향기 있는 국악공연에 나드리 한번 하셔 달라고요.

다시 말씀 드릴께요. 호는 ‘한별’, 성함은 ‘김덕영’ 선생을 찾습니다.”

 

  김연갑(아리랑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