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7) 분청덤벙준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7)
분청덤벙준편

  • 특집부
  • 등록 2024.03.22 07:30
  • 조회수 5,748

덤벙의 경우는 삼벌구이를  


 이규진(편고재 주인)

 

초기 청자나 하품의 도자기가 아니면 초벌구이는 흔치 않다. 테토를 빚어 성형을 해 초벌구이를 한 후 유약을 입혀 재벌구이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도자기 소성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를 한 후 한 번 더 소성을 한 삼벌구이가 있다고 한다면 어떤 생각이 들까. 더구나 외국의 경우도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그런 도자기가 있다고 한다면 궁금증은 더욱 높아진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이를 주장하고 있는 사람이 일반인이 아니라 보성에서 분청덤벙 재현을 위해 도자기를 직접 제작하고 있는 도예가의 주장이라고 하면 한 번쯤 귀 기울여 볼 필요는 있는 것이 아닐까.

 

방법은 이렇다고 한다. 즉 성형을 한 기물을 초벌구이를 한데다 덩벙질을 한 후 재벌구이를 한다. 그런 후에는 유약을 입혀 다시 삼벌구이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중국에도 유례가 없고 우리나라에서도 알려져 있지 않은 이러한 소성방법은 왜 필요한 것일까. 그에 대한 설명은 또 이렇다. 초벌구이를 한 후 덩벙질을 하고 유약을 입혀 재벌구이를 할 경우 삼투압에 의한 기물의 주저앉음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재벌구이만을 할 경우 덤벙이 아닌 반덤벙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덤벙의 경우는 삼벌구이를 해야 한다는 것이 그 요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삼벌구이는 비용과 시간과 노력이 배가되다보니 보성 도촌리와 고흥 운대리의 분청덤벙은 그 제작기간이 30여년에 불과한 일시적인 제작방법으로 보여진다는 주장도 하고 있어 주목된다.

 

137분청덤벙준편4.jpg
분청덤벙준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x높이 11x10x15Cm

 

분청덤벙의 이와 같은 삼벌구이의 주장에 대해 나는 아직 어떠한 결론도 갖고 있지를 못하다. 오래 전 도촌리와 운대리를 답사한 적이 있고 두 가마터에서 출토된 비교할만한 분청덤벙편도 조금은 갖고 있지만 상기 주장에 대해 나로서는 판단을 내릴 그 어떤 자료도 근거도 갖고 있지를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벌구이라는 새로운 주장 때문이었을까. 자료를 찾다보니 다시 꺼내 들게 된 것이 분청덤벙준편이다.

 

분청덥벙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보성의 도촌리와 고흥의 운대리를 떠올리게 된다. 보성이야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일본인들에 의해 널리 알려져 왔지만 고흥은 근래 들어 가마터 조사와 발굴이 이루어지면서 이제는 오히려 그 평판이 보성을 능가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충청도와 전라도 장흥 등지에서 분청덤벙이 발견되고 있는 모양이지만 아직까지는 미미한 형편이어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 같다. 그런데 보성 도촌리와 고흥 운대리의 분청덤벙을 비교해 보면 전자가 비교적 백분이 곱게 입혀지는데 반해 후자 쪽은 조금 거친 느낌이 든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분청덤벙준편은 다리 부분만 남은 것으로 상준이나 희준인 것만은 분명한데 어느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남은 것이 다리 한쪽이다 보니 머리가 없는 상태에서 상준과 희준의 구별이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런 핸디캡을 제하고 나면 남은 도편만으로도 대단한 기물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남은 몸체 일부를 떠받치고 있는 지름 5.5Cm의 우람한 다리 형태를 보고 있노라면 얼마나 큰 기물이었는지 짐작 자체가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이 큰 기물 전체에 덤벙을 히고 있다는 사실이다. 덥벙은 피부 자체가 거칠어 고흥 운대리 보다는 보성 도촌리 것으로 보이는데 여하튼 크기며 덤벙이며 모두가 흔하게 볼 수 없는 것이어서 비록 다리 한 쪽만 남은 불구의 몸이기는 하지만 감탄과 놀라움을 금할 수 없게 만들고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