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135)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135)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

  • 특집부
  • 등록 2024.03.08 07:30
  • 조회수 9,304

내태리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이규진(편고재 주인)

 

분청에서 보이는 명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관사명 지방명 장인명이 그 것이다. 지방명이나 관사명은 따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함께 병기 하는 경우도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명문이 새겨진 분청은 도요지나 기물의 편년 기준이 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자못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분청에서 확인되는 관사명은 공안부 경승부 인녕부 덕녕부 내자시 내섬시 예빈시 사선서 장흥고 국흥고 사옹원 등이 있다. 관사명은 관사명 그대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지만 두 글자나 한 글자로 생략해 쓰는 경우도 있다. 관사명은 또 각기 존속기간이 다르다 보니 그 중요성에도 차이가 있다. 즉 존속기간이 짧을수록 편년 자료로서의 가치가 증대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관사명과 지방명을 함께 쓴 경우는 어떤 특색이 있는 것일까. 여기서도 지역별 특징은 나타나고 있다. 즉 내섬시 내자시 예빈시는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에서 보이고 있고 인수부 덕녕부 장흥고 등은 전라도와 충청도 경상도에서 제작되었으나 충청도와 전라도에서는 지방명이 없이 관사명만을 표기하고 있다. 또한 내자시 내섬시 예빈시는 주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제작된 반면 경상도에서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인수부와 장흥고는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에서 모두 보이고 있으나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지방명이 없고 경상도에서만 지방명을 표기하고 있는 것도 주목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20240305_162401662.jpg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x높이 13x9x3Cm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은 장흥고가 전라도와 충청도에서는 지방명이 없고 경상도에서만 지방명을 함께 쓰고 있다는 것을 충실히 증명하고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경주야말로 경상도에서도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지명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은 굽 안에 두 개의 태토비짐돌받침이 있으며 굽을 감싸고 돌아가며 연권문과 초화문을 장식하고 있다, 안쪽은 내저 중앙에 두 줄의 선으로 둘러싼 국화문이 보이고 차례로 연권문과 원 그리고 초문을 장식하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연권문을 비워 둔 자리에 경주장흥고명을 새겨 넣고 있는 점이다. 그런데 문제는 글자의 배열이 일정치 않고 뒤섞여 있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흥장고(慶興長庫)를 새기고 주(注)자는 흥장(興長) 밑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글자의 혼란스러운 배치는 글자 한자 한자를 도장으로 파 무작위로 찍다보니 생긴 결과가 아닐까 생각된다.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은 오래 전 선배로부터 양도를 받았던 것이다. 그 선배로부터 이 접시편은 경주 내태리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출토된 것임도 아울러 전언을 받은 바 있다. 나도 일찍이 이 내태리 분청사기 가마터를 답사해 본 적이 있거니와 당시 나는 경주명은 만나 볼 수가 있었지만 장흥고명은 볼 수가 없었는데 선배가 그 아쉬움을 채워 주었던 것이다. 이제는 선배도 가고 내태리 분청사기 가마터도 아득한 추억 저편의 아련한 기억으로만 남아 있다 보니 새삼 분청경주장흥고명접시편이 주는 정감이 다정스럽고 정겹기만한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