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2) 분청명문초벌구이접시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32)
분청명문초벌구이접시편

  • 특집부
  • 등록 2024.02.16 07:30
  • 조회수 9,068

변함없이 내 궁금증을

 

  이규진(편고재 주인)

 

찾아 갈 수 있을까. 물론 주소를 들고 물어물어 찾아 간다면 어디인들 못 찾아 갈 곳이 있겠는가. 하지만 옛 추억을 더듬어 기억에만 의지해 찾아 가라고 한다면 자신이 없다. 천안 보산원리 분청사기 가마터를 두고 하는 말이다. 그만큼 이 곳을 찾아 본 것은 아주 오래 전 일로서 기억조차 아물아물하다. 그런데 그 아물아물한 기억을 더듬어 보면 가마터는 마을 앞 중간 지점 밭과 민가 뒤편의 묘지 부근 등 두 곳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이 된다.

 

천안 보산원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충청도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15C 전반에 운영되었던 곳으로 상감과 국화문의 인화기법, 그리고 선문의 접시와 대접 및 병 등이 제작되었던 곳이다. 갑발은 보이지 않으며 기물들을 포개어 소성한 것으로 보아 상품의 뛰어난 도자기들을 제작했던 곳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천안 보산원리 분청사기 가마터는 행정구역상 충청북도 연기군이었으나 지금은 세종특별자치시에 소속되는 등 복잡하게 바뀌어 갈피를 잡기가 쉽지 않다. 그런 가운데 아물아물한 기억 속에서도 내가 이곳 가마터에 대해 추억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는 것은 오래 전부터 간직해 오고 있는 한 점의 도편 때문이다.

 

20240214_203648422.jpg
분청명문초벌구이접시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x높이 7.5x5x2Cm

 

도편은 접시로서 초벌구이편이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태토를 빚어 성형을 한 후 한 번 구워낸 것으로 아직 분과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를 하지 않은 상태의 것이다. 그렇다 보니 붉은 흙 기운이 그대로 살아 있다. 비교적 높은 굽 안쪽에는 다진 흔적이 보이는데 이 도편에서 주목을 요하는 것은 아무래도 내저에 음각으로 새겨져 있는 연(延)자라고 할 수 있다. 예리하게 뾰족한 기물로 긁어내듯 음각을 한 것이 아니라 칼 같은 것을 약간 뉘어 각을 한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연(延)자는 내저 중앙에서 약간 위쪽으로 위치 아래쪽으로 이어져 한 글자가 더 있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더 있었다고 하면 그 글자는 연(延)자와 합쳐진 지명이었을까.

 

천안 보산원리 분청사기 가마터를 추억만을 더듬어 지금 찾아 가라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 뛰어넘은 세월의 간극이 너무도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아득한 세월을 건너 뛰어 찾아 가더라도 분청명문초벌구이접시편을 만난 인연의 장소만은 정확히 짚어 낼 수 있을 것만 같은 느낌이다. 연(延)자가 주는 호기심은 도편과 처음 인연을 맺은 오래 전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내 궁금증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