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한국 리얼리즘 영화 '오발탄' 촬영감독 김학성의 시대와 조우하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리얼리즘 영화 '오발탄' 촬영감독 김학성의 시대와 조우하다

f804529b-2aa6-42dd-a185-f30c7f42f5cb (1).jpg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 스틸이미지 (김학성(좌), 손기정(우))

 

한국영상자료원은 1일(금)부터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영화 <오발탄>의 촬영감독 김학성의 유품을 정리해 소개하는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 을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누리집(KMDb)을 통해 공개했다. 

 

촬영감독 김학성의 영화일생 김학성(1913~1982)은 한국 최초의 시네마스코프 영화 <생명>(이강천, 1958)과 한국 리얼리즘 영화의 상징과도 같은 영화 <오발탄>(유현목, 1961)을 촬영하며 당대 영화계를 대표했던 촬영감독이다. 또한 한국영화 촬영계의 든든한 거목인 정일성 촬영감독을 배출한 스승이기도 하다. 

 

김학성은 1936년 일본 신코키네마 도쿄촬영소(新興キネマ 東京撮影所)의 촬영조수로 입사해 1939년 촬영기사로 정식 데뷔했다. 그곳에서 3편의 영화를 촬영한 그는 조선으로 귀국해 <집없는 천사>(최인규, 1941)와 <풍년가>(방한준, 1942), <거경전>(방한준, 1944) 등에서 촬영을 담당했다. 

 

해방 이후에는 조선영화건설본부에서 일하면서 뉴스영 - 2 - 화를 촬영했고, 한국전쟁 중에는 국방부 정훈국 소속으로 전쟁의 참상을 카메라에 기록했다. 와중에 포탄에 맞아 죽을 고비를 넘긴 그는 1952년, 금성화랑무공훈장을 수훈 받았다. 휴전 후에도 UN사령부 종군보도반에서 INS와 UP뉴스 등을 촬영하던 그는 1956년, <왕자호동과 낙랑공주>(김소동)로 영화산업에 복귀했다. 

 

<생명>과 <오발탄>을 비롯해 1950년대 멜로드라마의 거장 홍성기 감독과 함께 작업한 <자나 깨나>(1959)와 <청춘극장>(1959), 유현목 감독이 연출한 고예산 사극영화 <임꺽정>(1961)과 <성웅 이순신>(1962) 등 한국영화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숱한 작품들을 촬영했다. 

 

이처럼 김학성은 촬영기사로 데뷔한 후 1968년에 은퇴할 때까지 총 22편의 극영화를 촬영했는데, 그가 일본 신코키네마에서 촬영한 작품(3편)을 제외한 19편 중 현재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은 안타깝게도 7편에 불과하다. 

 

특히 그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던 1960년대 초반까지의 작품 중에서는 <집없는 천사>와 <오발탄> 두 편만이 필름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이 점에서 영상자료원이 공개한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김학성의 생애와 영화계 활동 그리고 한국영화사의 사라진 일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의미한 사료이기도 하다. 

 

한국영화사의 중요한 사료,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 영상자료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총 15차례에 걸쳐 김학성 촬영감독의 유가족으로부터 그의 유품을 기증받아 보존해 왔는데,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이렇게 기증받은 김학성의 유품 1,626점(복본 제외)에 하나하나 역사적 가치를 매긴 작업의 결과물이다.

 

 컬렉션을 세세하게 살피다 보면 김학성이 생전에 자신과 관련된 자료뿐 아니라 본인이 관심을 기울인 영역에 관한 자료까지도 세세하게 수집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덕에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영화사뿐 아니라 일상사의 영역에서도 매우 흥미로운 대상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그가 촬영한 작품을 비롯해 당대 영화계의 여러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흥미로운 자료들로 가득하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신코키네마와 조선영화계에서 활동하던 모습이 기록된 사진들을 비롯해 해방 이후와 한국전쟁기, 1950~60년대의 작품과 영화계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다종다양한 자료들은 그가 살아온 시대에 대한 생생한 증언과도 같다. 

 

한편 컬렉션에서는 각종 정부 행사에 영화인들이 동원된 기록 역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1958년에 열린 「정부 수립 10주년 기념 3.1절 가장행렬」과 1961년에 열린 「국군의 날 기념 문화예술인 군장행렬」 등에 관해 그가 남긴 여러 사진은 당대의 시대상을 짐작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에서 이목을 사로잡는 또 다른 것은 김학성 주변의 인물들에 대한 자료 역시 찾아볼 수 있다는 데에 있다. 무엇보다 김학성의 누나이자 영화 <청춘의 십자로>(안종화, 1934)에 출연했던 김연실에 대한 자료를 눈여겨볼 만하다. 특히 김연실은 해방 이후 월북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에 소장된 김연실의 사진과 편지에는 그리움이 배어있다. 또한 컬렉션에 소장된 김연실 관련 자료 중에는 「다방 낙랑파라 개점 홍보물」 역시 눈에 띈다. 

 

이는 1930년대 이상, 박태원, 구본웅 등의 문인 및 미술가들의 단골 아지트였던 다방 낙랑파라(현 소공동 위치) 를 김연실이 1935년경에 인수해 개점하며 배포했던 홍보물로 보이는데, 한국의 현대문화사를 연구하는 데에서도 중요한 사료라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일제강점기 조선을 대표하는 무용가 최승희와 함께 찍은 사진과 그에 관한 자료들, 마라토너 손기정과의 친분이 엿보이는 사진, 수많은 문화예술계 및 정치사회계 인사들의 사진을 감상할 수 있는 재미를 더한다. 영상자료원이 공개하는 "촬영감독 김학성 컬렉션"은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