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1 (수)

[Pick리뷰] 천하제일 탈공작소, ‘탈 오셀로와 이아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리뷰

[Pick리뷰] 천하제일 탈공작소, ‘탈 오셀로와 이아고’

“진실을 감추고, 마음을 숨기는 탈”
셰익스피어의 작품 ‘오셀로’를 흥과 넉살로
자막 설명과 들리는 음악 괴리감 느껴
“음악그룹 나무의 연주는 훌륭했다”

 오셀로와 이아고(1).jpg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금나래아트홀에서 젊은 탈꾼 예술단체 천하제일탈공작소가 창작한 ‘오셀로와 이아고(Othello and lago)’ 공연이 펼쳐졌다. 


인간을 탐구하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오셀로’를 흥과 넉살로 가득한 탈춤의 미학으로 재해석하여 흥미롭게 풀어나간 작품이다. 더 나아가 한국 전통 음악이 가진 예술성과 정신을 깊이 있게 체득하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어법을 받아들여 동시대 사람들이 함께할 수 있는 음악을 추구하는 음악그룹 나무가 음악을 맡아 더욱 풍성하고 깊이 있는 작품으로 탄생했다.

 

이 공연은 음성해설과 자막해설, 수어통역이 함께 존재하는 배리어 프리(Barrier-free)로 진행되었다. 누구나 수신기를 통해 음성해설을 들으며 공연을 관람할 수 있었고, 극 중 모든 대사는 수어 통역사들이 나와 수어로 통역해 주었으며, 무대 화면에는 대사의 자막이 빠짐없이 등장했다. 특히 문자에 감정과 상황을 넣는 이미지 작업이 포함되어 더욱 풍성한 상상력으로 무대를 즐길 수 있었다.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무장애 공연으로 진행되었기에 장애인의 문화 향유권이 확대되고, 인식개선에 긍정적 효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더불어 더 많은 관객과 함께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환경에 힘을 쓴 것이 긍정적으로 보였다.

 

천하제일탈공작소는 고전과 탈춤의 만남을 2017년부터 지속하고 있는 팀이다. 이들은 다양한 무대에서 수많은 작업을 해 왔기에 어느 정도의 정보는 알고 있었지만, ‘오셀로와 이아고’는 첫 관람이었고, 음악을 담당한 음악그룹 나무의 음악이 극에서 어떤 식으로 연출될지 매우 궁금했기에 기대를 갖고 관람하였다. 시작과 동시에 1980년대에 유행하던 질감의 전자음악 사운드가 무대를 감쌌다. 그 소리는 오래된 셰익스피어의 고전, 이 시대의 탈춤과 함께 어우러지며 강렬한 느낌을 내뿜었다. 신스(synth) 베이스의 전자 사운드에 맞추어 장구, 태평소가 더불어 연주했는데, 3+2를 활용한 소박의 전통 장단을 함께 연주함으로 리드미컬하고 한국적이며 현대적인 느낌을 주었다.


오셀로와 이아고(2).jpg

 

등장인물은 오셀로와 이아고, 데스데모나 세 명으로 이루어졌다. 극의 초입은 데스데모나가 오셀로에게 죽음을 맞이하는 결말로 시작되었다. 앞뒤 내용을 모른 채 처음부터 이 극이 비극임을 알게 되어버려서일까, 극단적이고 신랄한 그 장면이 더욱 기묘하고 기괴하게 느껴졌다. 결말 부분이 지나간 후, 이탈리아 베니스의 장군 오셀로가 의원의 딸 데스데모나와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시작됐다. 이 장면은 대사 하나 없이 두 남녀가 함께 오래도록 서로를 바라보다 결국 사랑하게 되는 것을 춤으로 표현했다. ‘스칠 듯 말 듯 서로를 스치는 단소 소리’라는 감정 자막이 나올 때는, 말 그대로 악기끼리 같은 음을 내는 유니즌(Unison)으로 연주하다, 각각 반음과 1도 간격의 선율 진행으로 부딪힘을 반복하며 만날 듯 만나지 않을 듯 유려한 연주로 서로 얽혀 들어갔다. 설레는 마음으로 춤을 추던 데스데모나와 오셀로는 익살스러운 베이스 연주와 함께 장난치듯 춤을 추고, 결국 사랑을 이루어 냈다. 이 장면의 초반부는 음성해설 없이 무대를 관람했고, 후반부는 음성 해설을 통해 관람하며 차이를 느껴 보았다.

 

음성 해설이 있을 때는 어떤 동작으로 어떤 느낌을 표현하는지 모두 설명해 주기에 극을 이해하기에 수월했고, 해설 없이 춤을 추는 장면만 볼 때는 온전한 상상으로 춤을 해석할 수 있었다. 해설을 듣거나 듣지 않는 두 가지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기에 더욱 흥미롭고 다양한 감정으로 무대를 즐길 수 있었으며, 음성 해설을 통해 무대를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하는 관객도 공연을 즐길 수 있을 거로 생각하니 무대가 더욱 가치 있게 느껴졌다. 또 특별했던 건, 이 음성해설은 실제 탈꾼이 녹음한 해설로, 정보 전달만 하는 딱딱한 대사가 아닌 탈춤이 가진 맛깔스러운 재담과 추임새를 활용하여 전달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스데모나와 오셀로와 사랑을 이루는 장면에서 나온 음성해설에서는, ‘사랑을 이룬 두 사람, 서로를 붙잡고 춤을 추어보는디!’ 하는 정겹고 구성진 말투가 사용되어 한국적인 매력이 돋보였으며, 더욱 흥미롭게 극을 감상할 수 있었다.

 

오셀로와 이아고(5).jpg

   

등장인물은 오셀로와 이아고, 데스데모나 세 명으로 이루어졌다. 극의 초입은 데스데모나가 오셀로에게 죽음을 맞이하는 결말로 시작되었다. 앞뒤 내용을 모른 채 처음부터 이 극이 비극임을 알게 되어버려서일까, 극단적이고 신랄한 그 장면이 더욱 기묘하고 기괴하게 느껴졌다. 결말 부분이 지나간 후, 이탈리아 베니스의 장군 오셀로가 의원의 딸 데스데모나와 사랑에 빠지는 장면이 시작됐다. 이 장면은 대사 하나 없이 두 남녀가 함께 오래도록 서로를 바라보다 결국 사랑하게 되는 것을 춤으로 표현했다. ‘스칠 듯 말 듯 서로를 스치는 단소 소리’라는 감정 자막이 나올 때는, 말 그대로 악기끼리 같은 음을 내는 유니즌(Unison)으로 연주하다, 각각 반음과 1도 간격의 선율 진행으로 부딪힘을 반복하며 만날 듯 만나지 않을 듯 유려한 연주로 서로 얽혀 들어갔다. 설레는 마음으로 춤을 추던 데스데모나와 오셀로는 익살스러운 베이스 연주와 함께 장난치듯 춤을 추고, 결국 사랑을 이루어 냈다. 이 장면의 초반부는 음성해설 없이 무대를 관람했고, 후반부는 음성 해설을 통해 관람하며 차이를 느껴 보았다.


음성 해설이 있을 때는 어떤 동작으로 어떤 느낌을 표현하는지 모두 설명해 주기에 극을 이해하기에 수월했고, 해설 없이 춤을 추는 장면만 볼 때는 온전한 상상으로 춤을 해석할 수 있었다. 해설을 듣거나 듣지 않는 두 가지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기에 더욱 흥미롭고 다양한 감정으로 무대를 즐길 수 있었으며, 음성 해설을 통해 무대를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하는 관객도 공연을 즐길 수 있을 거로 생각하니 무대가 더욱 가치 있게 느껴졌다. 또 특별했던 건, 이 음성해설은 실제 탈꾼이 녹음한 해설로, 정보 전달만 하는 딱딱한 대사가 아닌 탈춤이 가진 맛깔스러운 재담과 추임새를 활용하여 전달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스데모나와 오셀로와 사랑을 이루는 장면에서 나온 음성해설에서는, ‘사랑을 이룬 두 사람, 서로를 붙잡고 춤을 추어보는디!’ 하는 정겹고 구성진 말투가 사용되어 한국적인 매력이 돋보였으며, 더욱 흥미롭게 극을 감상할 수 있었다.


오셀로와 이아고(3).jpg

   

음악그룹 나무의 연주는 훌륭했다. 무엇보다 흥미롭고 와 닿았던 것은 모든 음악에 장단을 기본으로 가져가 온전히 전통에 기반을 둔 무대를 꾸려냈다는 것이다. 전자 음악 등 현대적인 사운드가 주를 이룰 때도, 장구가 아닌 드럼으로 연주할 때도 장단이 음악의 뼈대를 이루었고, 그에 맞추어 한국적인 선율이 연주됐다. 각 악기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는 것도 감상 포인트 중 하나였다. 대금과 태평소의 화려한 혀치기 기법이나 빠른 패시지로 쪼개는 리듬꼴 연주, 피리의 아름답고 높고 낮은 음색의 변화 등을 통해 국악기의 음색과 특징을 마음껏 즐길 수 있었다. 또 창작곡뿐 아닌 전통을 들어볼 기회도 많았는데, 장구와 대금, 피리로 연주한 서도대풍류는 시원시원하고 흥겨워 그 전통의 색에 푹 빠져들 수 있었다.

   

하지만 더불어 아쉬웠던 건, 서도대풍류가 흘러나올 때 자막으로 나온 글이 ‘우아하지만 답답하고 따분한 소리’였다는 것이다. 물론 기획의 의도였겠으나, 서도대풍류가 답답하고 따분하게 들리지 않았던 관객 입장으로선 그 자막의 설명과 들리는 음악에 괴리감이 느껴져 아쉬웠다. 오로지 자막에만 의존하여 무대를 상상해야 하는 관객이 그 자막을 보며 상상할 음악과 서도대풍류가 주는 감정이 잘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음악을 느끼는 감각은 상대적이지만, 자막해설에 감정과 상황을 넣는 이미지 작업을 할 때는 지금보다 더욱 그 음악의 결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문구를 설정하는 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오셀로와 이아고(4).jpg

   

이 공연은 또한 ‘탈’을 통한 연출이 돋보였다. 오셀로는 처음 등장할 때 전쟁영웅으로 호전적인 면모를 돋보이기 위해 붉고 거친 탈을 착용했는데, 이아고의 계략에 넘어가 데스데모나를 의심하고 분노하며 광기 어린 하얀 탈로 바꾸어 착용했다. 이 장면의 음성 해설에서는 ‘마음을 숨기는 탈’을 쓴다고 전하고, 이아고는 ‘다들 겉과 속은 다른 거 아냐?’라며 이중성을 드러냈다. 탈을 통해 진실을 감추고 마음을 숨기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또 데스데모나는 오셀로를 만나고 탈에 빨간 립스틱으로 웃는 입을 그렸다가, 오셀로에게 죽임을 당한 후 그 입을 문지르고, 붉은색이 얼굴 전체에 번짐으로 죽음을 표현했다. 탈의 변화에 따라 감정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연출이 흥미로웠으며, 탈춤만이 보여줄 수 있는 특색있는 무대라고 느꼈다.

 

‘오셀로와 이아고’는 천하제일탈공작소가 고전과 탈춤의 만남을 시도한 첫 번째 작품이다. 천하제일탈공작소의 목표는 보편적인 주제와 가치관을 담아낸 이야기를 가져오자는 것, 그리고 무대 예술과 조응하는 형태의 공연을 창작해 보자는 것이라고 한다. 그 두 가지 생각으로 고르게 된 것이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였고, ‘오셀로와 이아고’ 작품을 탄생시키게 된 것이다. 전통 탈춤을 이 시대와 함께 호흡할 수 있게끔 만들고 싶다는 목표와, 오랜 세월이 지나도 이 시대와 통하는 무언가가 존재하는 고전을 엮어 탈춤의 진면목을 보여주며 전통 기반의 창작 작품을 만들어 내겠다는 가치는 ‘오셀로와 이아고’에 그대로 묻어났다. 탈춤은 익명성이라는 특징으로 풍자의 요소를 지니는 게 특징이다. 이 무대는 탈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가장 한국적이면서 모두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주제를 연출해 냈다. 또 깔끔하고 직관적이며 한국적인 대사나 몸짓, 음악이 더해져 천하제일탈공작소의 색이 진하게 묻어나는 그들만의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진실을 감추고, 마음을 숨기지만 그만큼 수많은 것들을 담아낼 수 있는 ‘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