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2 (목)

[특별기고] 문경 ‘2023찾아가는 아리랑학교’ 통산5회 성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 문경 ‘2023찾아가는 아리랑학교’ 통산5회 성료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

  • 특집부
  • 등록 2023.11.12 21:00
  • 조회수 29,990

문경새재아리랑 배우기 (2).jpg


전 국민이 애창하는 ‘문경새재아리랑’를 꿈꾸며

 

지난  4일 가은읍 소재 ‘문경에코월드’에서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위원장: 이만유)’가 주관한 금년도 마지막 다섯 번째 ‘찾아가는 아리랑학교’가 대미를 장식했다.

 

아리랑은 누구에게나 사랑받고 애창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서정민요이다. 아리랑연합회 김연갑 이사장은 "아리랑은 하나이면서 여럿이고, 같으면서 다르고, 옛것이면서 오늘의 것이며, 나의 노래이면서 너의 노래라고 말하며, 우리 삶 속 희로애락에 따라 때로는 신명풀이로 또는 한풀이로 부르는 노래다.”라고 했다.

 

그리고 김영임 국악인은"아리랑은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 담고 있다. 아리랑 첫 소절만 불러도, 절절한 선율이 가슴을 툭 치고, 대한민국 네 글자가 떠오른다.”라고 했다. 이렇듯 아리랑은 우리 한민족(韓民族) 가슴과 DNA에 스며있는 우리의 노래다.

 

이런 아리랑이 ‘2012년 아리랑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신청할 때 ‘50여 종’이었지만, 그 이후 새로 찾고 생겨 지금은 100여 종에 이른다. 그중에 ‘문경새재아리랑’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면서 정선, 진도, 밀양 등 유명 아리랑에 비해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왜? 무엇 때문에?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문경새재아리랑’의 보급과 확산이 미흡했다. 늦었지만, 우리 아리랑을 널리 알리고 부르게 하도록 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가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이고, 추진사업이 4년 차 이어온 ‘찾아가는 아리랑학교’이다.

 

아리랑 공연 (1).jpg

 

문경새재에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가네

홍두깨 방망이는 팔자가 좋아/ 큰애기 손길로 놀아나네

문경새재를 넘어갈제/ 굽이야 굽이굽이가 눈물이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문경새재아리랑의 유래가 ‘나이 사십이 되도록 장가 못 간 노총각이 불렀던 한탄의 노래’이든, ‘문경새재 물박달나무가 대 베어져 나가는 반감과 상실감에서 부르는 노래’이든, 아니면 ‘160여 년 전 경복궁을 중수할 때 부역 나온 장정들이 부모 처자와 이별하고 그리움에 불렀던 아리랑(我離娘)’이든, ‘원납전(願納錢) 내라는 소리에 차라리 귀가 먹기를 바라는 아이롱설(我耳聾說)’이든 조선 사람들은 모이면 아리랑을 불렀다. 그것도 ‘문경새재’와 ‘물박달’이란 말이 들어있는 아리랑을 불렀다.

 

아리랑은 가사나 박자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부르는 사람의 생각과 감정과 처지가 곧 아리랑이 된다. 그래서 미국인 선교사 헐버트는 조선인은‘즉흥곡의 명수'라며 놀라워했고 "아리랑은 한국인들에게 쌀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다. 세종대왕께서도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요, 밥(쌀)이 곧 백성의 하늘이다.” 이라 했었다. 이렇듯 쌀이 한국인의 육신을 지켜주었듯이 아리랑(정신적 쌀)을 통해 역사 속에서 고난과 애환을 버텨왔고 얼을 이어온 것이 곧 아리랑인 것이다.

 

올해 ‘찾아가는 아리랑학교’는 총 5회, 921명이 참석하였다. 이분들은 단순 관광객을 넘어 문경새재아리랑을 전파 확산하는 전도사이면서 홍보대사로서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한 가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 것은 ‘디아스포라’의 아픔을 가슴에 품고 살아오신 경기도 양주시 율정마을‘사할린동포회’를 찾아가 함께 아리랑을 부른 것이다. 그때 모두 가슴 벅찼고 먼 길이었지만,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의미 있는 만남이었다.

 

 

2024년 내년에는 울릉도와 독도에 가서 ‘독도는 한국 땅’이란 깃발 아래 아리랑을 부르기 위해 ‘찾아가는 아리랑학교’를 개최하기로 기획하였는데 아도위 40여 명의 회원은 그날이 오기를 기다리며 벌써 가슴 부푼 나날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