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이무성 화백의 춤새(52) 하보경 명인의 '밀양북춤' 춤사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무성 화백의 춤새(52)
하보경 명인의 '밀양북춤' 춤사위

1980년 국가무형문화재 제68호 '밀양백중놀이' 보유자 지정

  • 특집부
  • 등록 2023.05.17 07:30
  • 조회수 702

춤새-하보경 명인의 밀양백중놀이2.JPG

 

밀양북춤

밀양북춤은 밀양백중놀이 셋째마당에서 연희되고 있다. 민속악에 있어 북춤은 크게 외북춤과 양북춤으로 나뉘는데, 밀양북춤은 외북춤과 밀양오북춤이다. 다섯(五)이라는 동양철학적인 의미가 가미되어 다섯 명의 북잽이들에 의해서 추어지는 군무(群舞)형태이다. 경상도의 꿋꿋한 심성이 북가락에도 그대로 드러나, 꾸밈이 없이 원박 위주로 진행되며, 남성적인 힘이 배여 있다. 구조적 완결성이나 동작의 다양성 등에 있어 단조롭지만 독특한 춤사위는 독창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민속춤이다.


하보경 명인의 춤사위 특징은 장대하고 든든한 체격에 활기있고 기운찬 신명을 끌어내는 자연의 품안에서 섭리대로 살아가려는 풍요로운 멋과 의연함이 표출된다. 틀에 맞추려는 꾸밈이 없고 정형화 되지 않는 자연스런 호흡에 따르는 춤사위가 특징이다. 그만큼 장소나 관객에 따른 즉흥성이 압권이다.


무형식의 밀양오북춤은 1971년 하보경 옹에 의해 재구성 되어 1974년 5명의 군무로 정형화 되어오다가 손자인 하용부의 노력으로 점차 무대화 되어 국내외 큰 무대에서 많은 공연을 해 왔다. 이때 해외 공연에서 소박한 한국 민속춤의 춤사위로 큰 호평을 받아왔다. 특히 넓은 무대 공간이라도 넘나드는 독무의 춤사위와 북소리가 하나가 되어 공간을 채우는 조화미가 두드러지고, 정중동의 미와 신명성은 가히 관객 반응이 압권이다. 이러한 솟구치는 신명을 일으키는 내재적 동인은 민중적 미의식에의 존립 근거인 '놀이정신'의 발현이라고 본다. 


하보경 (1906-1997)

경남 밀양 출신. 밀양백중놀이의 보본계(報本契)라는 친목단체 농악단원이었던 하성옥(河聖玉)·이삼선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놀이판에서 춤을 배웠고 20대에 기방춤에 전념하여 영남 한량춤 가락을 창출하였다. 김성숙에게 북과 북춤, 부친에게 북과 양반춤, 백내원에게 범부춤 사사받있다. 걸립농악단의 모갑(某甲)이면서 큰북을 치기 시작하여 가락과 춤동작을 나름대로 연구하여 독특한 맛을 내는 일에 열중하다가 20세에 백중놀이 정식회원이 된다.

1980년 밀양백중놀이를 정립하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받게 된다. 김상용·권재업·조병환(趙炳煥)에 이어 박동영(朴東英)과 손자인 하용부(河龍富)가 대를 계승했다. 밀양 민속놀이 발굴과 복원작업과 보유자 지정 이후 평생 밀양백중놀이 전승활동에 전념하였다.


수상 및 경력

밀양아랑제 등 밀양 지역 민속놀이 발굴, 복원

1925년 밀양백중놀이의 보본계 가입

1946년 오삼친목회 결성

1960년 밀양국악협회 발족

1971년 밀양오북춤 재구성

1980년  '밀양백중놀이' 정립

1980년·1981년·1982년 민속경연대회 경남 예선에서 연속 최우수상을 수상

1980년 제주도 민속경연대회에서 국무총리상

1980년 국가무형문화재 '밀양백중놀이' 기예능보유자 인정

1981년 인천국악경연대회 문화공보부장관상 수상

          미국 뉴욕·워싱턴·로스앤젤레스 등 7개 도시, 일본 동경 등 순회공연

1988년 올림픽 문화예술축제 ‘노스토이(Nostoi)’ '천상의 신'배역

1993년 제25회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수상

1999년 제1회 밀양시민대상 수상(작고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