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인터뷰] ‘옛 노래를 붓으로 부르다’ 한얼 이종선 書藝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옛 노래를 붓으로 부르다’ 한얼 이종선 書藝展

12월 09~15일, 오픈식 9일 오후 4시
인사동 백악미술관 3층 전시실
우리음악 사설, 다양한 서체 52점
3년만의 개인전 주목

"한글은 상형성象形性에 취약하기 때문에 독자미獨自美의 표출이 어렵다

당연히 글자와 글자 행과 행의 조화기 필요하다

글자와 행과 여백의 소통을 통해 전체를 하나로 이끄는 것이 내 작업의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글자의 가독성可讀性을 확보하며, 글감의 의미를 담아내기 위해 조형과 획에서 구사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구체화시킨다.”

 

20211102210434_3459e6bcab23aef3eb1be1eea0a87ba2_7s46.jpg
[국악신문] 이정보 선생의 시를 쓰다 한얼 육십구 (2021, 문양지에 먹, 10 × 28cm) 손바닥만한 소품이지만 민체의 맛이 잘 표현된 작품이다.

 

우리나라 한글 서예계의 중진인 한얼 이종선의 대표 작품 훈민정음 서문의 자평 일부이다

 

한글서예의 특징과 속성을 명료하게 제시한 대목이다. ‘한글서예의 성립 자체가 한글이 전용되면서 부터이니 그 역사는 아직 백 년 정도밖에 되지 않아 그만큼 작가적인 운용 여지가 많은 분야이다. 이 분야의 주역 중 일인이다.

 

서여기인(書如其人)이라 했던가. 2년 남짓한 연재 한글서예로 읽는 우리 음악사설’ 64편에는 작가만의 작품세계가 반영되어 있다. 주요 서체인 궁체, 민체, 고체와 한문 행초서체와 예서, 호태왕비체의 필의筆意를 더해 자, 행간을 자유롭게 운용하며 균형을 이루는 질량분활법을 잘 드러냈다

 

이는 한글에 한자가 섞인 우리 노래 시조·가곡·잡가의 다양한 변격을 탁월하게 표현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우직하고 질박한 우리 노래의 속성을 고저장단은 물론 시김새 까지도 표현한 듯하니, 이동식 대기자가 표현했듯 "글씨로 눈으로 우리 선인들의 노래를 들려준~”(본지 1128일자) 것이다.

 

국악신문 20200920일자 제1회 작품 가곡원류소재 시조 梅影~’로부터 20211124일자 제64회 안민영의 어리고 성긴 가지~’ 까지 64편 중 52편이 선별, 전시하게 되었다. 서예 전문 화랑인 백악미술관 3층 전시실에서 일주일간 열린다.

 

인터뷰사진5 한글서예를 말하는 이종선 씨.jpg
[국악신문] 한얼 이종선 서예가가 한글 서예의 아름다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동국 기자). 2021.12.05

 

작품은 노래로 또는 율창律唱으로 가까이 할 수 있는 대가 열성(列聖)에서 명공석사(名公碩士)는 물론 기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작가의 명작이다. 물론 잡가 처세가같은 뛰어난 무명씨의 작품도 있다. 글감은 대체적으로 잘 알려진 가집인 청구영언·가곡원류·남훈태평가·해동가요·교주가곡집 소재 선정작이다.


전시작의 형태도 다양하다. 우연욕서偶然欲書로 좋은 글귀를 만나 불현듯 글씨가 쓰고 싶어 붓을 들었는데 마땅한 종이가 없어 옛 서책의 남는 종이에 쓴 잔지여묵殘紙餘墨도 있어 손바닥 크기에서 2메타 남짓한 크기도 있다. 바탕지도 다양하다. 장지는 물론, 최고급 냉금지, 다양한 문양지, 시전지, 중국산 선면 문양지까지다.

 

작가 이종선(李鍾宣)1953년 경기도 용인 출생이다. 노장적 삶을 살고 있는 성정대로 한얼醉月堂을 호로 쓰고 있다. 한국서학회 이사장, 성신여대 미술대학 동양화과 초빙교수와 한국서총 총간사를 지냈고, 지금은 경희대 교육대학원 초빙교수,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강사, 중국난정서회 서울연구원장으로 유농서회惟農書會를 주재하고 있다. 불교방송개국기념비, 고려대학교 100주년기념관비 등의 금석문을 남겼고, 국립현대미술관,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 성균관대학교, 한글학회, 김대중기념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언제부터 인지도 모르게 늘 그 모습으로 있어 왔던 자연스러움에 나는 더 애착을 느낀다. 이것이 전통에 바탕을 둔 서예 미학을 기본 조건으로 하여 나의 작품이 진행되는 이유이다.”

 

작가의 서예에 대한 서론緖論이며 자신만의 작품세계에 대한 서론書論이다. 이에 기반한 작가의 한글궁체와 흘림, 한문 전서와 예서, 국한문 혼서의 폭넓은 작품세계를 감상하는 귀한 기회이다.

 

20211130071739_aa0d80d74072c91acf645f1d9fb689b5_7q2c.jpg
[국악신문] ‘옛 노래를 붓으로 부르다’ 한얼 이종선 書藝展 포스터, 2021 (포스터 제작=(주)국악신문)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