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2010 전통음악축제 <바람도 노니는 풍류한마당> 9월 29일 ~10월 2일

김지연
기사입력 2010.09.26 19:5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1. 일시 : 2010년 9월 29일(수 )~10월 2일(토) (4일간) 늦은 7시 30분 2. 장소 : 가곡전수관 신축 공연장 http://gagok.tistory.com/ 9월 29일(수) 1. 일요풍류 ■ 소 개 일요풍류회는 2008년 이삼스님의 대금 독주회를 계기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인 풍류문화가 사라져 가는 것을 아쉬워하는 연주자들이 모여 만든 풍류단체이다. 이삼스님이 요양 중이던 퇴촌에서 발족한 일요풍류회는 매월 둘째주 일요일 퇴촌에 모여 연주를 하다가 현재는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으로 장소를 옮겨 공연을 계속하고 있다. 이삼스님을 주축으로 한 일요풍류회의 주요 연주자로는 최종민, 이동규, 김영기, 송인길, 사재성, 이오규, 윤문숙 등이 있다. ■ 프로그램 * 기악합주 ---------------------- 평조회상 상령산 초장, 2장 ~ 중령산 5장 ~ 세령산 * 대금독주 ---------------------- 청성 자진한잎 * 별곡 합주 * 가곡 * 남창 언락 * 여창 우락 * 남창 편락 * 여창 편삭 * 남여창 태평가 ■ 출연진 (사회) 최종민,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장구) 사재성, 무형문화재 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전수조교, 추계예술대학교 겸임교수 (피리) 곽태천,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가야금) 송인길, 전 국립국악원 정악원 예술감독 (거문고) 윤선숙, 전 국립국악원 정악단원 (해금) 윤문숙, 국립국악원 정악단원 (대금) 이삼스님, 고 녹성 김성진 선생 사사 9월 30일(목) 2. (가)시조의 밤 ■ 소개 전국에 시조를 하는 사람들이 꽤 많지마는 막상 한 자리에서 여유로운 마음으로 풍류를 즐기고 호연지기를 누릴 수 있는 기회를 갖기는 그리 쉽지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오늘 마산가곡전수관 대공연장 신축을 축하하는 자리에 우리 시조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선조들의 아름다운 지혜를 본받아 어우르고, 보살피고, 소통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합니다. 경제, 내포제, 완제, 석암제, 영제 등의 명창들을 초대하여 그 지역의 정서에 잠겨보고 그 지역 시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즐기고 또한 진주, 마산, 부산, 등 이 지역의 모든 시조인들이 부담 없이 잠시나마 만나서 마음을 나누는 시간을 가짐은 가치 있는 일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 시조 각제 (경제. 내포제 완제. 석암제. 영제) 합동 공연. * 반주 대금 - 장원석, 김창선, 정나례, 장구 - 서월당, 이병도, 정동주, ■ 공연 내용 및 출연진 -案- 1. 경제시조 * 출연자 - 강숙현 * 연주곡 - * 대금 - * 장구 - 2. 내포제시조 * 출연자 - 김연소(내포제시조 문화재 후보자) * 연주곡 - 1. 사설시조- 부소산 2. 엮음질음시조- 학 타고 저 불고 * 대금 - * 장구 - 3. 완제시조 * 출연자 - 김영희(완제시조 보존회 이사장) * 연주곡 - 1. 평시조- 이화우 흩날릴제. 2. 사설시조- 팔만대장 * 대금 - * 장구 - 4. 석암제시조 (1) 진주- 진주통합지회 회원(지회장: 이태호- 한국전통예악총연합회) * 출연자 - 유장환. 이태호. 김창선, 김영목, 이병갑, 정호식, 하영세, 이병도, 오태식, 문병록 * 연주곡 - 1. 평시조- 두류산 양단수 2. 엮음지름- 푸른산중 백발옹 * 대금- 김창선 * 장구- 이병도 (2) 마산 - (지회장: 배동수 - 한국전통예악총연합회) * 출연자 - 김정순, 황선순, 주진수, 이용남, 김지연, 주수현. 조동제, 최목림, 손만억, 임 형, 엄찰열, 배동수. * 연주곡 - 1. 평시조- 한산섬. 2. 여창지름- 달 밝고 서리 친 밤 * 대금- * 장구- 배동수 (3) 마산 - 대한시조협회 경상남도지부(지부장 : ) * 출연자 - 서혜숙, 서상수, 우영이, 김명섭, 양재욱, 조명제. 김길연, 신가매, 김광순, 김도해, 김성례, 김종숙. * 연주곡 - 1. 온지름- 기러기 떼떼 2. 남창지름- 푸른 산중 하 * 대금- * 장구- 서혜숙 (4) 부산 - 부산광역시지회(지회장: 장원석- 한국전통예악총연합회) * 출연자 - 황병주. 손대식. 곽홍태. 옥영봉. 김정갑. 김장한. 신희범. 여운원. 신동줄. 류광수. 이종순. 손옥희. 백일숙. 류차선. 곽정희. 김종식. 김흥조. 김정석. 김문호. 이분선 계- 22명 * 연주곡 - 1. 평시조- 청산은 어찌하여 2. 중허리- 산촌에 * 대금- 장원석 * 장구- 서월당 5. 영제시조 * 출연자 - 심기영. 곽차연. 지용만. 전철수. 고동숙. 김신자. 이점이. 박점조. 이매자. 김경임. 허용도. 허태수. 허수연. 이한기. 조수연, 김나령, 김동영, 신근영, 정동주, 정나례 * 연주곡- 1, 평시조- 내 고향 남쪽바다. 2. 반사설- 벽사창이 * 대금 - 정나례 * 장구 - 정동주 9월 31일(금) 3. 정음 ■ 소 개 예비사회적기업 <국악연주단 정음>은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널리 보급·선양하기 위해 2009년 9월 창단된 경남 최초의 정악연주단이다. 정음(正音)은 일단(一) 그쳐서(止) 생각하는 음악을 추구한다는 뜻으로 국악 중에서도 정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연주단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야금, 거문고, 대금, 피리 등 악기를 연주하는 악사와 노래하는 가인으로 구성된 국악연주단 정음은 창단이후 현재까지 전통예술의 발굴과 창작,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국악공연 및 교육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 프로그램 ? 기악합주 <평조회상> 세령산∼군악 ? 세악합주 <취타> 가·거·단·양 ? 일반인 가곡 평조 이삭대엽 <버들은> · 가곡연주 가곡 계면조 이삭, 평롱, 환계락, 계락, 편삭, 대받침(오날이) 10월 2일(토) 4. 가곡전수관 개관기념 2010 학술발표회 가곡과 가객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전수관 개관 4주년을 기념하여 <가곡전수관 개관기념 2010 학술발표회>가 열린다. <가곡과 가객>이라는 제목으로 기획된 이번 학술발표회는 지역마다 특성이 있는 시조와는 달리, 전국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전승되어 온 가곡의 전승 과정과 이러한 가곡을 짓고, 부르며 전승한 가객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으로 마련되었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10여명의 발표자와 토론자들이 가곡에 담긴 숨겨진 이야기들을 풀어놓을 예정이다. · 좌 장 : 박연호(충북대 국문과) ■ 발 표 · 가곡의 전승과정 ----- 신경숙(한성대 한국어문학과) · 이세보... -------------- 박규홍(경일대 문화콘텐츠학과) · 하순일... -------------- 권순회(교원대 국어교육과) · 박효관과 안민영 ----- 이상원(조선대 국문과) ■ 토론자 · 권오경(부산외대) · 서철원(경남대 국문과) · 박순철(대구대 국어교육과) · 임주탁(부산대 국문과) 5. 동보악회 ■ 소 개/ 거문고연구회 '동보악회(桐普樂會)' 2001년 창단한 거문고연구회 동보악회는 거문고 앙상블 미리내가 그 전신으로 2007년 거문고연구회 동보악회로 그 이름을 새롭게 하였다. 동보악회는 오동나무 동(桐)과 넓을 보(普)를 사용하여 거문고를 널리 알린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뜻을 잇기 위해 거문고를 전공한 여러 동인들이 모여 거문고의 멋을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또한 끝없는 열정과 젊음을 바탕으로 왕성한 연주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거문고의 미래를 위한 선구자적인 역할과 새로운 음악의 창출을 위한 힘찬 도약을 하고 있다. ■ 프로그램 ? 거문고 합주 수리재 /정대석(作) ? 거문고 합주 선물 /정대석(作) ? 거문고 합주 달무리 /정대석(作) ? 거문고 독주 산조 /정대석(作), 정대석 연주 ? 거문고 합주 미리내 /정대석(作) ? 거문고 합주 고구려의 여운 /정대석(作)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