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6. 20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뉴스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6. 20

  • 김지연
  • 등록 2009.06.10 18:31
  • 조회수 1,425
* 일시 : 2009년 6월 20일(토) 5pm * 주최 : 물기획 * 후원 : 서울문화재단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서울특별시 / (재)엘아이지 문화재단 * 협찬 : 고흥곤 국악기 연구원 * 입장 : 일반 20,000원 / 학생 15,000원 * 예매 : 인터파크 http://ticket.interpark.com/1544-1555 * 문의 : 011-9868-7646 ● 출 연 - 고지연 - 최창우(문샤이너스 버튼 멤버,동아방송예술대학 겸임교수) - 류성규(원주시향 상임부지휘자) - TIMF 앙상블(이지영,김종철,정수경,김현남,강주이) - 가야금 프로젝트 그룹 '물'(최현영,최윤진,송정아) ● STAFFs - 총감독 : 고지연 - 비쥬얼 아트 디렉터 : 이형주 - 그래픽 디자인 : 최병일 - 무대감독 : 문원섭 - 조명감독 : 이관형 - 음향감독 : 오영훈 - 영상기록 : 남지웅 - 기획/홍보 : 송재훈 ● 공연개요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고지연은 <가야금 앙상블 사계>의 리더와 <숙명 가야금 연주단>의 음악감독을 역임하고, 현재<비빙>의 음악동인 및 가야금 솔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는 한국전통음악에 뿌리를 둔 동시대적 소통의 획득, 가야금 중심의 복합예술장르 개발, 특정 형식에 매몰되지 않는 가야금의 다양한 편성, 대중적이면서도 예술적인 가야금 음악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연예술 프로젝트이다. 2007년 예술의 전당 자유 소극장에서 선보인 <기포>를 시작으로, <잎.물.빛-이건용의 가야금 음악>이 2009년 6월 LIG 아트홀에서 두 번째 무대로 마련된다.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잎.물.빛-이건용의 가야금 음악>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총장을 역임하고 현재 음악원 작곡과 교수로 재직중인 이건용은 <제3세대> <민족음악연구회> <한국음악극찾기운동> 등의 행보와 수많은 이론,저술서를 통해 자생적인 한국음악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키고 한국 음악계에 이와 관련한 다양한 작품을 양산하게 한 작곡가,이론가,교육자 및 교육 행정가이다. 이건용의 가야금 작품들은 새로이 창작되고 있는 가야금 음악들을 질적으로 보다 높이 성장시키며 가야금 예술음악의 토착화에 그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가야금 산조 이후에 만들어진 가야금 창작곡들 중에서 소중한 음악 유산으로 남을 작품들, 후대의 음악 문화에 양분으로 작용하며 그 생명력을 전할 수 있는 가야금 예술작품들에게 기운을 더해 보고자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잎.물.빛-이건용의 가야금 음악>을 기획하였다. 삶, 존재, 자유, 감동, 가치, 자생, 제도,경계, 존중, 도전, 허물기, 실천, 참여, 관조, 소통의 개념을 가야금 위에서 일깨워 주고 있는 이건용의 음악을 무대에서 만나본다. 25현 가야금 독주곡 <잎.물.빛> <별과 시> <옹헤야(초연)>와 중주곡 <검은 강 스케치> <저녁 노래5> <저녁 노래 7>이 연주된다. ● 프로그램 * 비올라와 25현 가야금을 위한 <저녁노래 V> * 네 대의 가야금을 위한 <검은 강 스케치> * 25현 가야금을 위한 차음악<茶樂>-잎.물.빛 * 25현 가야금을 위한 <별과 詩> * 25현 가야금 독주를 위한 허튼 변주곡 <옹헤야> * 콘트라베이스와 다섯 악기를 위한 <저녁노래 VII> ● 고지연 프로필 <고지연 高知延 Koh,Ji-Yeon> - 국립국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국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 국립국악중.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강사 역임 - 서울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원광대학교, 명지대학교 강사 역임 - <가야금 앙상블 사계> 창단, 리더(1999-2004) 역임 - 숙명여대 대학원 겸임교수 및 <숙명 가야금 연주단> 음악감독 역임(2005-2007) - 현재 <물기획> <가야금 프로젝트 그룹 물> 대표 <비빙> 음악 동인, <민족음악 연구회> 회원, <아시아 금 교류회> 회원 ● 음반활동 *제작음반* - 2001. <가야금 앙상블 사계 1집> - 2004. <가야금 앙상블 사계 2집> - 2004. 고지연 가야금 앨범 1집 <누운 나무> *참여음반* - 1998. 어어부 프로젝트 2집 <개,럭키스타> - 1998. 영화 <아름다운 시절> OST - 1999. <1999 DMZ 프로젝트> - 2000. KBS-FM 시리즈 <엄마와 아기를 위한 우리 음악> - 2002. 윤상 4집 앨범 <이사> - 2003. 독일재즈밴드 살타첼로 - 2003. 한영애 - 2003. 신영옥 - 2003. 영화 <스캔들> OST - 2004. 아트 선재 센터 프로젝트 앨범 - 2006. 숙명가야금연주단 - 2006. 변계원 <일상 속에 잊혀진 사랑> - 2006. 숙명가야금연주단 - 2006. 최승준 타악기 음반 - 2006. 우리의 전통악기로 만나는 크로스오버의 세계 - 2009. <신(新)춘향> <바리> <이와 사>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 전바탕> (발매예정) ● 연주활동 - 2007. 05. 11 아람누리 개관 기념예술제 안은미의 경기도 새라새 극장 05. 15 고지연 가야금 프로제트 <기포>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09.13-16 심포카 <안은미의 바리>-이승편- 아르코 예술 극장 10. 04 선화 김정자 교수 정년퇴임 기념 음악회 국립국악원 예악당 10. 06 이건용 작곡 발표회 <우리가.물이.되어>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크누아홀 10. 08 아시아 금교류회 제10회 정기연주회 광주 10. 10 안은미 현대무용 국민대학교 - 2008. 01. 25-29 바비 맥퍼린 내한 공연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울산 현대예술관 04. 03 백현진 개인전_산만과 실체_오프닝 퍼포먼스, 아라리오 서울 05. 24 2008 서울 젊은 작가, 클럽 타 05. 30 아시아 금교류회 제11회 정기연주회, 국립국악원 예악당 06. 02 2008 정덕미 춤 <방언>, 정동극장 09. 05 황병기명인의 창작이야기 -황병기의 초기 작품 독주회,남산 국악당 09. 23 가락-강태홍류 가야금 산조 전바탕 독주회, 락고제 10. 02-05 비빙, <불교음악프로젝트 "이와 사">LIG 아트홀 11. 19 피나 바우쉬 페스티벌 초청 공연 <포카 "안은미의 바리"> 독일(부퍼탈) 12. 09-11 팟저 프로젝트 <운 고아>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 ● 리뷰 그의 모든 시도에 내재된 겸손함과 진실함, 자유로움과 엄격함, 모범생의 성실함과 그 장막 속에 주체하지 못하고 삐져나오는 자유와 일탈에 대한 열정. 이 둘 사이의 긴장감은 그의 음악적 결과에 상관없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무엇 하나 부족함 없이 보이지만 그는 늘 외롭고 마음이 가난하다.그는 외롭고 가난한 마음을 타개하는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제도권에 더 깊숙이 들어가 거기에 안주하고 타협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찾아 거친 벌판으로 나서는 험한 길을 자처하고 있다. '예술적 자유'와 '음악적 설득력'을 획득하여 한국음악을 한 발자국이라도 진보시켜야 하는 과제는 고지연 혼자만의 과제가 아니다.현재 우리 음악계 혹은 한국음악가라면 회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그러나 누구나 그런 과제를 정면으로 대하는 건 아니다. 고지연이 소중한 이유는 그 과제를 대면하는 몇몇 용기있는 음악가들의 외로운 길에 동참할 뿐더러 이제 그가 중요한 레퍼런스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이소영 음악평론가 -"이완,비움 그리고 거침없는 에너지 [공연리뷰] 고지연 가야금 프로젝트 <기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