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43) 백자철화편병편과 수물(受物)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연대회

[금요연재] 도자의 여로 (143)
백자철화편병편과 수물(受物)편

  • 특집부
  • 등록 2024.05.03 07:30
  • 조회수 20,250

같은 백자가마터 출토품이라는 것도

 

   이규진(편고재 주인)


편병은 병을 만든 후 앞과 뒤를 누르거나 두드려 면을 만든 그릇이다.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만든 기종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전기 것은 마치 몸통이 접시 두 개를 붙여 놓은 듯 옆면이 좁은 편이며 후기 것은 분청사기에서 보이는 형태처럼 둥글고 편평한 모습이다. 후기 쪽으로 가면서는 크기 또한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경기도 광주시 송정리 백자가마터는 꽤 여러 곳이 알려져 있다. 그 중 두 곳이 발굴이 되었는데 한적했던 이곳에 시청이 들어서면서 긴급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간지를 통해 송정리 백자가마터는 1649년에서 1653년경에 도자기를 제작했던 관요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는 선동리를 이은데 이어 유사리로 연결시키는 17세기 중간 시기의 것임도 아울러 알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가마터가 시청이 들어서면서 뭍혀 버린데 반해 1호 가마터는 그대로 남아 있다. 다만 마차길과 무덤 사이 단애에 퇴적층이 노출되어 있었던 것이 그대로 남아 있기는 하지만 시청 뒤편 주차장을 나서면 바로 문밖에 위치하게 되어버려 옛모습과는 너무도 다른 모습에 당황스럽기조차 하다.


20240503_033254927.jpg
백자철화편병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x높이 11x9x2Cm 백자철화수물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x높이 6.5x5x1Cm

 

백자철화편병편과 철화수물편은 모두 송정리 1호 백자가마터에서 오래 전 인연을 맺었던 것이다. 80년대 무렵으로 기억이 되니 벌써 40여 년 전 일이다. 이처럼 오래 간직해 오고 있는 것은 나름대로 특징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선 백자철화편병편은 고운 태토에 기벽은 얇은 편이며 굽다리가 있었던 흔적이 보인다. 하지만 백자철화편병편의 가장 큰 특징은 아무래도 철화로 그려진 대나무 문양이 아닐까 생각된다. 무심하게 툭툭 친 듯한 대나무 그림은 농담을 주어 선명하면서도 산뜻한 느낌을 주고 있다. 전체가 살아있었더라면 대단히 아름답고도 우아한 편병이었을 것으로 짐작되기도 한다.


백자철화수물편은 남아 있는 부분이 작아 어떤 기형이었는지는 알수가 없다. 유약도 없는 초벌구이인 것도 아쉬운 점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도편에서 주목되는 것은 철화로 씌어진 두 글자다. 하지만 수물(受物)이라는 글자가 어떤 물건을 받거나 어떤 물건을 받고자 한다는 뜻인지 전혀 그 의미를 알 수가 없어 답답하다보니 아쉬운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 보면 두 글자만이라도 이처럼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에 오히려 감사라도 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왜냐하면 도자기를 통틀어 나는 아직까지 수물이라는 글자가 들어 있는 것을 어디서고 한 번도 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내 나름으로는 귀중하다고 여기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연재를 하면서 한 점이 아니라 이처럼 이질적인 두 점을 함께 소개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인 것 같다. 하지만 따로따로 소개하기에는 무언가 미진해 보이는 점이 있기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두 점 모두 같은 송정리 백자가마터 출토품이라는 것도 한 몫을 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이유야 어찌 되었던 같은 시기 백자철화편병편은 미적인 관점에서, 그리고 철화수물편은 자료적인 측면에서 나름의 의미와 가치가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보아야 힌다는 것이 나의 변함없는 생각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