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가객 김나리, "뉴욕 카네기홀에서 정가로 평화를 노래하다"

이정하 기자
기사입력 2024.02.04 15: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024-02-04 150848.jpg

     

     

    ‘정가’의 대중화를 넘어 세계화에 앞장 선 가객 김나리, 꿈의 무대 뉴욕 카네기홀에서 정가로 평화를 노래하다 ‘Peaceful Voice’ 


     한국의 전통 노래 ‘정가’의 과거와 미래 사이의 허리 역할을 해내고 있는 중견 가객 김나리가 정가의 미래 세대들을 이끌고 전세계 아티스트들의 꿈의 무대 뉴욕 카네기홀 입성을 앞두고 있다. 


     가객 김나리는 소프라노 김원진과 함께 평화를 노래하는 도시 미국 뉴욕에서 전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전하고, 세계 평화를 소망하는 메시지를 전하는 합동공연을 펼친다. 


     2월 11일 뉴욕 카네기홀에서 진행되는 <Peaceful Voice> 공연에서는 클래식 성악과 한국 전통 성악가들이 장르를 넘어 평화를 소망하는 마음 하나로 뭉쳐, 1부에는 소프라노 김원진과 함께 영 아티스트 성악가들의 무대가 펼쳐지고, 2부에는 가객 김나리와 2030세대 대표 여류 가객들의 노래가 울려 퍼질 예정이다.  


     1부에는 소프라노 김원진, 테너 임덕수, 바리톤 김영진, 10명의 젊은 성악가들의 아름다운 목소리로 ‘사랑의 속삭임(Whisper of Love)’, ‘절망에서 희망으로(From Despair to Hope)’, ‘감사를 담아(With Gratitude)’, ‘축제(Celebration)’라는 네 가지 주제의 9곡을 노래한다. 


     2부에는 고상하고 우아한 멋을 품은 한국 전통 성악곡인 정가로 ‘자연(Nature)’, ‘사랑(Love)’, ‘삶(Life) 세 가지 주제를 노래한다. 기존의 정가는 수많은 악기 반주 위에 목소리를 얹어 노래하지만, 이번 공연에서는 오로지 가야금과 양금만을 반주 악기로 하여 사람의 목소리가 더 간절하게 울려 퍼질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날 부르는 가객들이 모여 부르는 노래는 전통 정가의 멋을 살린 ‘현대 정가 창작곡’으로, 용혜원 시인의 시를 가사로 하는 ‘별.. 그리움’, 수양산가와 춘면곡을 재해석한 신원영 작곡가의 ‘무상풍류(無常風流)’, ‘I’m waiting’ 등 총 7곡이 무대에 오른다. 


     특히 김나리가 이번 공연을 위해 직접 작곡한 ‘I’m waiting’ 은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전통 성악곡 가곡 <우락>을 모티브로 하여 이번 공연의 메시지와 어우러질 수 있도록 평화를 기다리고 기대하는 마음을 가사로 담아 처음 선보이는 곡이다. 


     이 무대에는 현대 정가 장르의 대표 가객 김나리와 2030 세대를 대표하는 여류가객 7명이 함께한다. 정가앙상블 소울지기로 활동하는 조의선, 이지원, JTBC 프로그램 ‘풍류대장’ 출신 구민지, 국가문화무형문화재 가곡 이수자 안정아, 이슬기 그리고 장지유가 함께 노래하고, KBS 국악관현악단 단원 권서영 연주자의 아름다운 가야금 반주가 함께한다. 


     <Peaceful Voice> 2부 공연을 직접 구성한 김나리는 "정가를 통해 사랑, 자연, 그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삶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서로를 한 송이의 꽃과 같은 아름다운 존재라는 것을 마음에 품고, 우리의 삶의 터전인 자연을 아끼고 보존하며, 이 생에 주어진 아름다운 삶을 살아가길 소망한다”라고 무대에 담은 메시지를 전했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