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2 (일)

[학술] 전등 가지마다 자리한 대한제국의 꽃…돈덕전 밝히던 샹들리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술] 전등 가지마다 자리한 대한제국의 꽃…돈덕전 밝히던 샹들리에

국립고궁박물관, 조명기구·궁궐 관련 기록 등 자료 발간

AKR20240126098300005_06_i_P4.jpg
이화문 샹들리에 세부 모습 (사진=국립고궁박물관)

 

최초의 근대 국가이자 황제 국가였던 대한제국에서는 자두나무꽃 즉, 이화(李花) 문양을 곳곳에서 활용했다.

근대식 공문서, 우표를 도입하면서 그 문양을 활용했고,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하던 궁궐 안팎과 그 안에서 쓰는 각종 황실 물품도 이화문으로 화려하게 꾸몄다.

26일 국립고궁박물관의 소장품 도록 '조명기구'(照明器具)에 따르면 1900∼191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샹들리에도 그중 하나다.

AKR20240126098300005_02_i_P4.jpg
이화문 샹들리에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에서 만든 이 조명기구는 가지 위아래로 긴 잎과 줄기가 덩굴처럼 감싼 형태로, 5장의 꽃잎과 꽃술로 이뤄진 이화문이 곳곳에 장식돼 있다.

가지 덩굴마다 대한제국 황제의 문장(文章·국가나 집안 등을 나타내기 위해 쓰는 상징적 표지)인 이화문이 장식된 점을 볼 때 주문 제작한 상품으로 보인다.

박물관 관계자는 "표면에 남은 금빛 흔적, 전구를 끼우는 기구에 새겨진 상표, 당대 발행된 신문 등을 고려할 때 1904년경 덕수궁 돈덕전 접견실 회랑에 설치됐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AKR20240126098300005_03_i_P4.jpg
화유옹주묘 출토 등잔대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도록에서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에 쓰인 다양한 조명기구를 살펴볼 수 있다.

사방으로 창을 내고 내부에 초나 등을 넣어 쓰는 바닥용 조명기구인 좌등(座燈)을 비롯해 개항 이후 들어온 서양식 촛대와 석유등 등 95점의 사진과 설명이 담겼다.

조선 영조(재위 1724∼1776)의 딸 화유옹주(1740∼1777) 무덤에서 나온 등잔대, 고리를 달아 매달거나 손으로 들 수 있도록 한 초롱(燭籠)·등롱(燈籠) 등은 눈길을 끈다.

AKR20240126098300005_05_i_P4.jpg
고문헌 국역 총서 '궁궐지'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박물관은 조선시대 궁궐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 자료인 '궁궐지'(宮闕志)를 우리말로 옮긴 총서도 최근 펴냈다.

숙종(재위 1674∼1720) 대에 편찬된 궁궐지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유물로, 1695년 6월에 숙종이 직접 쓴 어제 서문(御製序文)과 주요 궁궐 전각과 관련한 정보 등을 담고 있다.

이름은 같으나 고종(재위 1863∼1907) 대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궁궐지는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전각 규모, 위치, 구조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연구 가치가 크다.

AKR20240126098300005_04_i_P4.jpg
궁궐지' 왼쪽은 숙종 연간 추정 궁궐지, 가운데부터는 고종 연간 추정 궁궐지 (사진=국립고궁박물관)

 

박물관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때 훼손돼 없어진 전각 위치와 형태 정보가 기록돼 있어 향후 궁궐의 옛 모습을 복원하거나 재현하는 자료로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장품 도록과 총서 등 이번에 발간한 책자는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볼 수 있다.

박물관 측은 책자를 국공립 도서관과 여러 연구기관에도 배포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AKR20240126098300005_01_i_P4.jpg
'조명기구' 자료 (사진=국립고궁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