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2 (일)

[학술] 서울역사박물관, '한양의 세거지' 발간, 회동정씨·관동이씨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술] 서울역사박물관, '한양의 세거지' 발간, 회동정씨·관동이씨

동·서·남·북·중 5개 지역별 거주자 특성

[서울=뉴시스]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선시대 한양의 거주지 실태 양상을 연구한 '한양의 세거지(世居地)-서울기획연구 11'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에는 안대회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책임으로 이종묵 서울대학교 교수, 오세현 경상대학교 교수, 김하라 연세대학교 교수, 김세호 경상대학교 교수가 참여했다.

조선 후기 한양의 거주 양상을 살펴보면 신분별·직업별로 모여 사는 경향이 있었다. 조선 후기 한양 인구는 약 19만 명이었다. 한양을 동·서·남·북·중 5개 지역으로 나눠 ▲(동촌) 반인(伴人)과 무관 ▲(서촌)하급관리 ▲(남촌)남인과 소론·소북 ▲(북촌)양반과 종친 ▲(중촌)중인과 시전 상인이 주로 살았다.

또 양반들의 경우 서울 곳곳에 세대를 거듭해 모여 사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러다 보니 거주 지역명이 본관의 별칭처럼 불리기도 했다. 한 곳에 오래 모여 거주하다 보니 집안의 고유한 문화가 지역성으로 자리 잡은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조선 500년 간 서울 회현동에 터를 잡고 살았던 동래정씨를 '회동정씨'라고 말해도 한양사람들에게는 통칭됐던 것이다. 회동정씨는 조선 개국 이래 회현동에 세거하면서 한양 조망이 가능한 쌍회정, 재산루, 홍엽정 등을 조성했고 인근 남산의 경관을 형성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한양의 동촌에 터전을 이룬 연안이씨는 '관동이씨'로 불렸다. 초기 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석형이 동촌에 자리를 잡으면서 이곳에 연안이씨가 모이기 시작했고 그 후손 이정귀가 관동에 거주하면서, '관동파'라는 조선 중기 문인들의 모임을 주도했다.

 

사대부 명문가의 주요 세거지를 5 지역으로 분류했다. 

 

회동정씨(정굉필 후손의 회현동 세거), 전주이씨: 영해군파의 세거지 북동과 용호, 관동이씨(연안이씨의 동촌 세거),정동이씨(여주이씨와 그 이웃들), 장동김씨(김상용 김상헌 집안의 장의동 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