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베트남·인도에 세종학당 생긴다…16개국 19개소 신규 지정

이정하 기자
기사입력 2023.06.20 11:33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023년 6월 현재 기준 전 세계 세종학당 현황. 85개국 248곳으로 지정 해제된 세종학당(5개국, 15개소) 반영.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3.06.20..jpg
    2023년 6월 현재 기준 전 세계 세종학당 현황. 85개국 248곳으로 지정 해제된 세종학당(5개국, 15개소) 반영. (사진=문화체육관광부) 2023.06.20.

     

    문화체육관광부는 세종학당재단과 함께 2023년 세종학당 지정 공모를 진행한 결과 16개국 19개소를 새롭게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2023년 기준으로 전 세계 85개국 248개소에서 한국어를 배울 수 있게 됐다.

     

    아시아를 넘어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K-컬처가 확산되면서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세종학당이 처음 개설된 2007년에 740명에 불과했던 세종학당 수강생은 2022년 처음으로 10만 명*넘어 117,636명으로 집계되어 한국어 학습 열풍을 객관적으로도 보여주고 있다.

      

    [서울=뉴시스]세종학당 수강생 수 추이.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3.06.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학당 수강생 수 추이. (사진=문화체육관광부) 2023.06.20.

     

    이러한 한국어 학습 수요에 발맞추어 세종학당 신규 지정을 위한 2023공모에 총 35개국 81개 기관이 신청했다. 한국어 교육, 해외 지역 등 각계전문가로 구성된 세종학당 지정심사위원회는 한국어 학습 수요와 공급 현황,세종학당 운영기관 강의실·자료실 등 시설 여건, 한국어 교원·운영 요원 등 인력 역량을 서류뿐만 아니라, 현지 실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약 4개월에 걸쳐심사한 후 최종 19개소를 선정했다.

     

    특히, 페루와 말라위, 코트디부아르,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6개국에는 처음으로 세종학당이 들어서게 되면서 보다 전문적인 한국어교육을 할 수 있게 됐다.

     

    <권역/국가별 신규 지정 개소(밑줄은 세종학당 없던 국가 중 신규 지정)>

     


    문체부 정향미 문화정책관은 "언어 학습은 문화 간 이해와 연결성을 진하는 문화교류의 열쇠이고, K-컬처 확산은 다시 한국어 학습 열풍으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한국어 학습 열풍이 세계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도록 세종학당 지정을 전 세계로 확대해 나가는 한편, 학습자의 학습 목적과 수준에 맞춘 교육과정, 한국어 전문 교원 및 교재 다양화를 통해 세종학당 서비스를고도화해 나가겠다. 이를 통해 세종학당이라는 브랜드만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한국어 전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