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명인 한 컷]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의 명인. 녹야 김윤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명인 한 컷]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의 명인. 녹야 김윤덕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예능보유자(1968년)

  • 특집부
  • 등록 2023.06.22 19:30
  • 조회수 1,769
녹야 김윤덕..jpg
가야금과 거문고 연주가로 널리 알려진 녹야(鹿野) 김윤덕 명인(1918-1978)

 

녹야 김윤덕은 1918년 어두운 시대에 태어났지만, 풍류를 익히는 즐거움으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33년 정읍농업학교를 졸업하고 정지선에게 양금정악을 배운 것에서 시작해 가야금정악, 거문고 정악을 배우며 지방 풍류를 두루 익혔다.


1947년 상경한 김윤덕은 다양한 산조를 접하게 되었고 풍류에 대한 그의 열정은 더욱 커졌다. 산조에 대 한 지평을 넓혀가던 그는 정남희의 음악적 깊이와 격조에 큰 인상을 받았는데, 정남희의 산조가 뿌리가 실한 산조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가야금산조는 조선 말기 김창조가 시나위음악을 토대로 판소리 음악을 도입해 연주하며 유명해졌는데, 그즈음 한숙구와 박팔괘가 가야금산조를 짜서 연주하였고, 그 이후에 가야금산조 명인들이 탄생해 나름대로 가락을 지어 보유자의 이름을 딴 가야금산조들이 등장했다.


정남희는 가야금산조 1세대인 김창조와 한숙구가 사사한 안기옥에게 가야금산조를 전승받았고, 김윤덕은 자신이 인정한 정남희에게 가야금산조를 배웠다. 가야금산조의 기본은 탄탄한 오른손 터치와 왼손 농현, 그리고 성음인데, 각자가 배운 산조가락을 변형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독창적인 연주법을 창안하는 것이 실력 차이를 만들어낸다.


음악적 재질이 매우 뛰어났던 김윤덕은 스승인 정남희의 산조에 새로운 가락을 짜 넣어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를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그의 산조는 이영희, 황병기, 원한기, 이재숙, 김승희 등에게 이어졌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는 중중모리와 자진모리장단에서 헤미올라(Hemiola)·신코페이션(Syncopation) 등 장구 장단과 엇갈리어 떨어지는 가락이 3배나 되는 등 복잡하고 다양한 리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담백한 농현의 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흐름이 남성적이고 묘법이 뛰어나며 미세한 삼라만상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해 듣는 이로 하여금 깊은 감동을 끌어낸다는 평을 받는다.


김윤덕은 가야금을 반주하며 노래를 부르는 가야금 병창에도 뛰어났고, 거문고산조 등 다양한 민속 풍류를 아우르는 명인이었다. 당시 민속악인으로 유일하게 자신의 가락을 악보로 만들어 놓기도 했다.


그는 1945년부터 1950년까지 대한국악원 국극사의 단원으로 활동하였고, 1950년부터 1961년까지 국립국악 원에 출강하며 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1960년대 이후부터 서울대학교와 국악예술학교 등에 강사로 재직하면서 후진 양성에 애정을 보였다. 그가 제자들을 ‘제자님’이라고 존대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기도 한다.


음반 작업도 활발히 했는데, 1960년대에 거문고산조 음반을 취입하였고, 1977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기록 음반에 가야금산조를 취입하였다. 또한 『가야금구음정악보』, 『현금산조보』, 『현금정악보』, 『가야금풍류국문 신보』, 『가야금정악보』 등의 악보를 발간하기도 했다. 김윤덕은 국악기 명인들과 함께 해외공연을 다니며 우리 전통음악을 세계에 알리는 문화 사절단 역할도 톡톡히 했는데, 미국 카네기홀에서는 10회 앙코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지난 4월에 그를 기념하는 기념우표가 발행됐을 만큼 근대 국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재청)


녹야는 어려서부터 정자선(양금풍류), 김화동(가야금병창), 김광석(가야금풍류), 김용근(거문고풍류)에게 풍류 음악을 익혔고, 20대 후반부터 정남희, 강태홍에게 가야금산조를 한갑득에게 거문고산조를 전수받았다. 가야금산조와 거문고산조의 명인. 그의 가락은 형식과 구성에 있어 우조, 계면조, 평조의 구분이 확실하고 흐름이 남성적이었으며 단모리 가락의 묘법이 뛰어나고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1968년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가야금과 거문고 외에도 양금·설장고 등 많은 악기에 고루 능했고 가락을 기록할 때는 한글 문자보다 양악의 오선보를 병용했다. 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다.

그의 가락은 형식과 구성에 있어 우조, 계면조, 평조의 구분이 확실하고 그 흐름이 남성적이었으며 단모리 가락의 묘법이 뛰어나고 미세한 삼라만상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던 것이 특징이었다. 스승의 전통을 이어 받아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와 '김윤덕류 거문고산조'를 만들었으며, 1968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저서에 〈현금산조보〉, 〈현금정악보〉, 〈가야금구음정악보〉, 〈가야금풍류국문신보〉, 〈가야금정악보〉 등의 악보가 있다.


녹야 김윤덕 약력

전북 정읍 출생(1918-1978)

1930년 천원공립보통학교를 졸업

1933년 정읍농업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정자선(鄭慈善)에게 양금을, 

1932년 김광석(金光錫)에게 가야금을, 

1933년 김용근(金容根)에게 거문고를 배웠다. 

1947년 정남희(鄭南希)에게 가야금산조, 

1948년 한갑득(韓甲得)에게 거문고산조 전수받음

1945년 대한국악원 국극사의 단원으로 활동

1950~1961년 국립국악원 국악사 및 국악사양성소 강사 겸직
1961년 서울대학, 숙명여고, 서울국악예술학교 재직

일본·멕시코·유럽·미국 등지에서 해외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