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휴일의 詩] (131)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김춘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휴일의 詩] (131)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김춘수

  • 특집부
  • 등록 2023.04.29 07:30
  • 조회수 10,884

다운로드 (52).jpg

비무장 상태로 적십자 유니폼을 입고 부상병을 간호하다가 총격으로 사망한 부다페스트 소녀(1956년)

 

 다뉴브강에 살얼음이 지는 동구(東歐)의 첫겨울

 가로수 잎이 하나 둘 떨어져 뒹구는 황혼 무렵

 느닷없이 날아온 수발의 쏘련제(製) 탄환은

 땅바닥에

 쥐새끼보다도 초라한 모양으로 너를 쓰러뜨렸다.

 순간,

 바숴진 네 두부(頭部)는 소스라쳐 삼십보(三十步) 상공으로 튀었다.

 두부(頭部)를 잃은 목통에서는 피가

 네 낯익은 거리의 포도(鋪道)를 적시며 흘렀다.

 ―너는 열 세 살이라고 그랬다.

 네 죽음에서는 한 송이 꽃도

 흰 깃의 한 마리 비둘기도 날지 않았다.

 네 죽음을 보듬고 부다페스트의 밤은

 목놓아 울 수도 없었다.

 죽어서 한결 가비여운 네 영혼은

 감시의 일만(一萬)의 눈초리도 미칠 수 없는

 다뉴브강 푸른 물결 위에 와서

 오히려 죽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소리 높이 울었다.

 다뉴브강은 맑고 잔잔한 흐름일까,

 요한슈트라우스의 그대로의 선율일까,

 음악에도 없고 세계지도에도 이름이 없는

 한강의 모래 사장(沙場)의 말없는 모래알을 움켜쥐고

 왜 열 세 살 난 한국의 소녀는 영문도 모르고 죽어 갔을까,

 죽어 갔을까, 악마는 등 뒤에서 웃고 있었는데

 한국의 열세 살은 잡히는 것 하나도 없는

 두 손을 허공에 저으며 죽어 갔을까,

 부다페스트의 소녀여, 네가 한 행동은

 네 혼자 한 것 같지가 않다.

 한강에서의 소녀의 죽음도

 동포의 가슴에는 짙은 빛깔의 아픔으로 젖어든다.

 기억의 분(憤)한 강물은 오늘도 내일도

 동포의 눈시울에 흐를 것인가,

 흐를 것인가, 영웅들은 쓰러지고 두 달의 항쟁 끝에

 너를 겨눈 같은 총뿌리 앞에

 네 아저씨와 네 오빠가 무릎을 꾼 지금,

 인류의 양심에서 흐를 것인가,

 마음 약한 베드로가 닭 울기 전 세 번이나 부인한 지금,

 십자가에 못 박힌 한 사람은

 불면의 밤, 왜 모든 기억을 나에게 강요하는가.

 나는 스물두 살이었다.

 대학생이었다.

 일본 동경 세다기야서 감방에 불령 선인으로 수감되어 있었다.

 어느 날, 내 목구멍에서

 창자를 비비 꼬는 소리가 새어 나왔다.

<어머니, 난 살고 싶어요.>

 난생 처음 들어보는 그 소리는 까마득한 어디서,

 내 것이 아니면서, 내 것이면서……

 나는 콩크리트 바닥에 머리를 부딪고

 북받쳐 오르는 울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누가 나를 우롱하였을까.

 나의 치욕은 살고 싶다는 데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내던진 죽음은

 죽음에 떠는 동포의 치욕에서 역으로 싹튼 것일까.

 싹은 비정의 수목들에서보다 치욕의 푸른 멍으로부터

 자유를 찾는 소녀의 뜨거운 피 속에서 움튼다.

 싹은 또한 인간의 비굴 속에 생생한 이마아쥬로 움트며 위협하고

 한밤에 불면(不眠)의 담담한 꽃을 피운다.

 인간은 쓰러지고 또 일어설 것이다.

 그리고 또 쓰러질 것이다. 그칠 날이 없을 것이다.

 악마의 총탄에 딸을 잃은 부다페스트의 양친과 함께

 인간은 존재의 깊이에서 전율하며 통곡할 것이다.

 다뉴브강에 살얼음이 지는 동구의 첫겨울

 가로수 잎이 하나 둘 떨어져 딩구는 황혼 무렵

 느닷없이 날아온 수 발의 소련제 탄환은

 땅 바닥에 쥐새끼보다도 초라한 모양으로 너를 쓰러뜨렸다.

 부다페스트의 소녀여.

 

추천인:김연갑(아리랑연합회)

"55년 전쯤 국어 시간에 배운 시. 지난 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이 시를 떠 올리고 돌아와 다시 읽는다. 80년대를 뜨겁게 살아 온 내 또래들은 이 시의 저의(底意)를 안다. 여행은 과거를 소환하는 기제라지만 반 세기를 거슬러 가 본다. ‘문장형 시제(詩題)’로만 기억했던 이 시의 이곳을 기억에 담았다. 그런데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여기에 아리랑 사연이 담길 줄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