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내 책을 말한다] 샤머니즘박물관.....'신복 神服'을 발간하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 책을 말한다] 샤머니즘박물관.....'신복 神服'을 발간하며

금성당∙샤머니즘박물관(관장: 양종승)

  • 특집부
  • 등록 2023.03.02 15:41
  • 조회수 10,371
화면 캡처 2023-03-03 223743.jpg
[국악신문] 샤머니즘박물관은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 도록을 발간했다. 사진은 최영장군 의대. (사진=샤머니즘박물관). 2023.03.01.

 

샤머니즘박물관에서는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 도록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살아있는 신령 그림 신도(神圖)” (2018), "샤먼 영물(靈物)” (2019)에 이어 발간되는 샤머니즘박물관의 도록 시리즈입니다. 이번에 발간되는 '신복(神服)>에는 의대(衣襨)를 비롯한 띠, 가사, , , 주머니, 가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록되는 신복 모두가 신앙 현장에서 쓰였던 것이고, 서울굿 금성당제 신복의 경우에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표지시안.jpg
[국악신문] 샤머니즘박물관은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 도록을 발간했다. 2023.03.01.

 

신복은 무교의 본질과 신앙 구조를 비롯한 기능의미형태 등을 알게 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유형적 자료입니다


이들은 신앙성이 강조되는 신성한 귀물(鬼物)이면서 신물(神物)이며 인간이 신과 만나는 매개체로서의 성물(聖物)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신복을 한 권의 도록으로 묶어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게 된 것입니다.


화면 캡처 2023-03-03 223947.jpg
[국악신문] 샤머니즘박물관은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 도록을 발간했다. 사진은 화관. (사진=샤머니즘박물관). 2023.03.01.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 굿은 함경도굿, 평안도굿, 황해도굿, 서울굿, 경기도굿, 충청도굿, 전라도굿, 경상도굿, 남해안굿, 동해안굿, 제주도굿으로 나누어집니다. 이와같은 구분은 굿의 형태가 지역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지역적 굿에 따른 신복 또한 형태와 의미 등이 다르게 응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한편, 도록에 수록된 신복은 서울굿, 황해도굿, 평안도굿의 것입니다. 황해도굿과 평안도굿은 북한지역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남한에서 전승이 이어지고 있고 그 종류도 무척 다양합니다. 서울굿은 한때 한양굿으로 불리면서 인접 지역의 경기도굿과 다소 차이를 갖고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두 지역의 굿이 섞이면서 신복 또한 혼합된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에 본 도록에서는 서울굿 신복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신복(神服발간에 도움 주신 평안남도무형문화재 성황대제 예능 보유자 이정연님을 비롯한 송석란 전승교육사님, 최송인 이수자님, 황해도무형문화재 해주본영대동굿 김정숙 보유자님, 국가무형문화재 서울새남굿 이수자 및 금성당제보존회 강민정 부회장님에게도 고마움 전합니다. 끝으로 은평구 김미경 구청장님과 은평구의회 기노만 의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모든 분께도 감사의 말 전합니다.


화면 캡처 2023-03-03 224055.jpg
[국악신문] 샤머니즘박물관은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 도록을 발간했다. 사진은 부인 의대. (사진=샤머니즘박물관). 2023.03.01.

  

금성당·샤머니즘박물관(관장 양종승)에서는 2022년 사업으로 신복(神服도록을 발간하였다


이는 살아 있는 신령 그림 신도(神圖)(2018)샤먼 영물(靈物)(2019)에 이은 세 번째 도록(圖錄) 시리즈이다.


신복은 신앙성이 강조되는 신성한 귀물(鬼物)이면서 신물(神物)이며 인간이 신과 만나는 매개체로서의 성물(聖物)이기도 하다. 따라서 신복(神服)은 무교(巫敎)의 신앙 의례적 본질과 구조를 비롯한 기능, 의미, 형태 등을 알게 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유형(有形)의 자료라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


이번 신복(神服에 수록된 유물은 샤머니즘박물관의 소장품으로써 의대(衣帶)를 비롯한 띠, 가사, , , 주머니, 가체(加髢) 등 과거 신앙 현장에서 쓰였던 것과 현재도 전승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금성당제 신복을 포함하고 있다


신복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그 하나하나에 담긴 유무형 유산의 의미는 한민족 전통신앙 및 민속의 한 면을 알게 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에, 이번 샤머니즘박물관이 발간한 신복(神服도록은 앞으로의 민속학 및 복식학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