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 육성...정책 금융 1조원 전폭 지원

문체부 박보균 장관, 'K-콘텐츠 수출전략'

김니은 기자
기사입력 2023.02.23 15:28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56(0).jpg
    [국악신문] 지난해 9월 16일 오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에미상 수상 기념 간담회에서 황동혁 감독을 비롯한 배우와 스태프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오징어게임은 74회 에미상 드라마 부문에서 황동혁 감독이 감독상을, 배우 이정재가 남우주연상을 받는 등 6관왕을 차지했다.(사진=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3일 윤석열 대통령이 청와대 영빈관에서 주재한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수출 전선의 구원투수로 나설 'K-콘텐츠 수출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를 통해 박 장관은 "콘텐츠 산업 내 자금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정책금융을 대폭 확대하고 10만 영세 콘텐츠 기업의 해외 지사 역할을 하는 콘텐츠 해외 거점을 확충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콘텐츠 기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적극 해소하겠다"며 "2027년 세계 콘텐츠 4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수출 규모가 늘어나고 전후방 연관 효과까지 고려하면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수출에 있어 K-콘텐츠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어 "정부와 민간기업, 금융 기관, 관련 단체들이 '팀 코리아'라는 원팀으로 뭉쳐야 한다"며 "원팀이 돼서 2023년에는 우리 수출과 산업 진흥을 위해서 다 함께 힘쓰자"고 당부했다.

    K-콘텐츠 수출은 10년 연속 흑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고 지난 5년간 연평균 9%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지난 2021년 콘텐츠 수출액 규모는 124억5000달러로, 전체 서비스 수출의 10.3%를 차지하며 수출전선의 '게임체인저'로 부상했다. 드라마, 영화 분야에서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K-팝에서도 BTS(방탄소년단) 등 성공사례가 나왔다. 

     

    실제로 콘텐츠 수출액은 2021년 124.5억 달러로 가전제품, 2차전지, 디스플레이 패널을 크게 추월했다. 코로나19와 세계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지난 5년간(2017~2021년) 연평균 9.0%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10년 연속 흑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K-콘텐츠는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프리미엄 효과를 통해 제조업, 서비스업 등 연관산업의 성장과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콘텐츠산업 내 자금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정책금융을 대폭 확대하고 10만 영세 콘텐츠 기업의 해외 지사 역할을 하는 콘텐츠 해외거점을 확충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귀담아듣고 콘텐츠 기업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적극 해소하겠다"며 "이를 통해 2027년 세계 콘텐츠 4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