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막소설 '아름아리'] 제9화 ‘문경새재’도 아리랑?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막소설 '아름아리'] 제9화 ‘문경새재’도 아리랑?

  • 삼목
  • 등록 2023.02.11 11:11
  • 조회수 15,432

삼목  

  

KakaoTalk_20230211_154159304.jpg

 

"선생님, 제가 보낸 카톡 사진 보셨어요? 점촌 버스터미널 사거리에 걸린 프랭카드인데요, 내일 강연 안내인데, 아리랑연합회 김** 선생 문경에 온다는 내용만 있어요. 아리랑 강연 내용은 없고요. 점촌 시내 곳곳, 문경읍 면 단위에는 200개나 부쳤다고 합니다. 재밌네요.”


문경시가 주최하는 시민 대상 아리랑 특강 안내 프랭카드. 내용이 아리랑을 강의한다는 내용이 아니라 아리랑 연합회 김**가 문경에 온다는 식의 표현이라서 어색하고 재미있다고 기찬숙 선생이 알려온 것이다. 이 시기 문경아리랑은 물론 아리랑에 대한 인식이 이렇게 부족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20012년 6월이다. 문경새재아리랑이 부상하는 계기를 마련한 강연이었다. 강연 주제는 아는 이들이라면 센세이션을 일으킬만한 내용이다. 70분간의 강연은 다음의 세 문장으로 요약이 된다.


"모든 아리랑의 후렴에 나오는 아리랑고개는 바로 문경새재입니다

문경새재가 바로 '아리랑 고개'라는 말입니다

문경은 아리랑의 고향입니다.”


이 요지의 강연을 계기로 문경지역에서는 소위 문경아리랑 붐이 일어났다. 당시 송옥자 회장이 문경아리랑을 알려오고 있었지만, 시청과 문화원과 일반인들에게 "문경에도 아리랑이 있다는 인식이 번지게 된 것이다.


이로부터 2020년까지 문경지역에서 아리랑을 주제로 행해진 사업과 행사를 보면 그야말로 획기적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분망하게 이뤄졌다. 정선이나 밀양 또는 진도 지역에서 20여년간 이뤄진 것들이 한 시장의 5년 임기 내에 이뤄진 것이다. 대충 추려도 이럴 정도이다.


첫째는 문경새재아리랑제가 대규모, 정례화, 대외 행사로 확대, 개최 

둘째는 국립아리랑박물관 건립을 공식화, 국회 정책발표회, 아리랑 가사 서예 작품화

셋째는 문경새재아리랑과 다듬이 소리 브랜드화 행사(광화문 천명 다듬이 행사)

넷째는 문경시 아리랑도시선포

다섯째는 경복궁 중수 후의 아리랑과 문경새재아리랑의 연결고리 학술 담론화

여섯째는 헐버트 채보아리랑과의 연결, 독일 홈볼트 아카이부 독일포로 고려인 유리콜라이 아리랑 음원 전시 및 관련자 초청 행사

일곱째는 최초의 통속아리랑  H. B. 헐버트 채보 아리랑악보비 건립

여덜째는 문경시장 사할린아리랑제 동행 및 해외 연주자 초청 공연

아홉째는 민요학회 주최 문경새재아리랑 주제 학술대회 등 개최

열 번째는 전승단체 문경새재아리랑보존회와 아리랑문화단체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 양립


이상의 과정에는 문경시청이라는 관의 지나친 주도로 전승주체가 소외되는 이율배반적 상황이 10여 년간 점령하였다는 부정적인 평가, ‘아이디어만 빼 먹는 관이라는 구태도 구설에 올랐다. 이 중심에 삼목이 있었다. 삼목은 이 아리랑 공사公事에 스스로 "공도 있고 과도 있다.”고 평가하는 입장이다.


그런데 이 기간에 드러나게 거론되지는 않았지만 크게 주목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문경새재아리랑의 존재와 그 위상이 정립 또는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 문헌과 음반 기록으로 그 실체를 밝혀냈다는 사실이다.


1896H. B. 헐버트가 기록한 -아르랑 아르랑 아라리오/ 아르랑 얼싸 배 띄어라// 문경새재 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간다-라는 대표사설은 이후 구아리랑에서부터 1926년 밀양아리랑과 '주제가 아리랑'까지 전승된다는 사실에서 역사적 의미가 담겨있다. , 경복궁 중수(1865~1872)7년 기간에 문경의 새재에서 나는 특산물인 박달나무가 공사장 도구 자루로 다 베어져 나간다는 상실감을 표현한 것이고, 또한 이 새재는 경복궁 중수 기간 삼남의 부역꾼들이 반강제적으로 오가며 넘었던 고개이다. 여기에서 새재고개, 고개는 고난의 상징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는 곧 문경새재아리랑의 존재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삼목은 1985년 헐버트 기록을 발굴, 소개하였다. 이후 계속해서 1905오키타 긴조(㳞田錦城)한국의 이면韓國 裏面소재 아리랑 기사, 1925년 동아일보의 박달나무 민요’. 1929개벽開闢문경요聞慶謠’, 1930년대 이재욱의 영남민요조사자료의 문경지역 민요자료 등을 발굴하여 존재를 밝혀냈다. 이러한 문헌 전승을 통한 문경새재아리랑의 존재 확인은 거의 삼목의 몫이었다.


화면 캡처 2023-02-12 215139.jpg
<문경새재아리랑 전국 확산…방송·음반 발매 기록 발견>,매일신문, 2017-11-03

 

한편 이 시기 더불어 거둔 성과가 또 있다. 그것은 일제시대 발매된 지역 아리랑 음반의 발굴이다. , 1936년 밀리온 레코드사가 발매한 최계란 소리 대구아리랑(1936년)2008년에 발굴되고, 1937년 오케이레코드사가 발매한 서영신 소리 '동래아리랑(1937년)2009년 발굴 되고, 같은 해 '신밀양아리랑(1936년)' 등이 신나라음반 자료실에서 발굴되었다. 이미 장소성을 부여한 강원도아리랑과 밀양아리랑과 진도아리랑이 널리 알려진 상황에서 대구와 부산의 지명 아리랑이 뒤늦게 발굴됨으로써 다른 지역의 지명 아리랑도 발굴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를 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동안 음반 수집가들에 의해 또는 대학 연구소 음원 아카이브가 주목한 장르는 판소리 명창 음반이나 월남 이상재 선생이나 손기정 선수 같은 역사인물의 육성 음반 등이었다. 지역 아리랑에 대한 관심은 그리 두지 않았다. 그러다 2000년대 들어, 특히 2012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전국적인 아리랑 신드롬과 함께 지역 아리랑 음반들에 관심을 보여 발굴되었다. 이에 의해서 경주’, ‘춘천’, ‘문경지명의 아리랑도 음반으로 발매되었으리라는 추정을 하게 되었다.


삼목으로서는 당연한 기대였으며, 국내와 일본 및 해외의 음반 판매사의 싸이트를 주목하고, 1930, 40년대 신문 광고도 살피게 되었다. 201711월 초, 10회 문경새재아리랑제 개최를 준비하기 위해 문경을 바쁘게 오가던 시기이다. 고속버스가 충주를 거쳐 점촌을 향하는 중에 기 선생 특유의 높은 톤이 들려왔다. 기 선생이 안국동 아리랑연합회 사무국에서 일제시대 신문기사 색인 작업을 통해 아리랑연표를 작성하다 찾아낸 것이다.


"포리돌 음반 광고에 문경새재라는 것이 나옵니다. 이건 분명 문경새재아리랑인 것 같아요. 왜냐면 오태석과 정남희 반주에 조앵무와 임소향이 부른 것으로 나오기 때문에 확실합니다. 분명 이건 문경아리랑 음반입니다.”


나는 문경문화원 일을 보면서도 건성이었다. 마음 한쪽은 빨리 서울에 들어가서 기록을 보고 싶어서 다. "일제강점기 문경아리랑이 음반으로 나왔다?”는 기대는 했지만, 실제 그 존재가 드러날 줄은 몰랐다. 요 몇 년 동안 추정한 것이 실제 현실로 드러난 것이니 신비하기도 했다.


급한 마음으로 서울에 돌아 온 삼목은 기 선생이 출력해 놓은 조선일보 1939119일자 포리도루 조선음반 신보광고를 보았다. 분명하게 2월 신보 광고란에 聞慶새재가 들어있다. 반주자 두 분과 노래한 두 분도 분명히 나와 있다. 다만 아리랑이라는 단어가 없을뿐이다. 그러나 삼목은 확신을 했다. 여러 문헌에서 아리랑이 붙지 않은 문경요박달나무 민요가 모두 문경아리랑이었기 때문이다. 1949년 성경린과 장사훈이 펴낸 朝鮮民謠에서도 聞慶새재로 곡명을 달았는데, 그 가사는 문경새재아리랑이다.


그런데 이 광고만으로는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 가지 의문을 갖게 되는데, 하나는 실제 음반이 발매되었다는 기사와는 다르게 광고 게제 일시와는 시점이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음반은 발매 되지 않고 광고만 나왔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광고만 나오고 발매는 되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70여년이 지나도록 실물이 확인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그렇게 볼 수도 있는 것이다.

 

image01문경새재.jpg
[국악신문] 매일신보 1938년 7월 17일자와 9월 25일자 경성방송국(JODK) 국악 프로그램에서 ‘문경새재’가 송출되었다.

 

삼목과 기 선생은 이 두 가지 의문을 염두에 두고 음반을 찾기 시작했고 관련 기록을 수소문 했다. 이 과정에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매일 색인 검색을 하는 김종욱 선생에게 부탁한 결과 의미있는 자료가 왔다. 그것은 매일신보 1938717일자와 925일자 경성방송국(JODK) 국악 프로그램에서 문경새재가 송출되었음을 확인했다. 여기에 따르면 부른 이는 다르지만 같은 반주자에 의해 방송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음반 발매 여부와는 또 다르게 문경새재가 국악인들에 의해 연주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삼목과 기 선생은 광고자료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음반 존재 가능성이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발굴을 독려하는 차원에서 이를 언론에 알리고자 했다. 그러자 기 선생은 "우리가 음반을 찾고 발표해야지 이 자료만 알리면 안된다"라는 의견을 냈다. 이어 "그 음반 찾게 되면 가격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 기사를 보고 찾았으면서도 마치 자신의 눈이 밝아서 '최초 발굴'이라고 떠들면서 찾았다는 기사를 내는 노략질을 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라고 일갈했다


그러나 삼목으로서는 누가 찾든 빨리 음원을 확보하여 문경아리랑의 위상을 제고하고, 연구 자료화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의견을 달리했다드디어 2017113, 문경문화원 고성환 사무국장을 통해 문경매일신문과 대구매일신문에 자료를 공개했다.


"문경새재아리랑 전국 확산방송·음반 발매 기록 발견.

한민족아리랑연합회와 아리랑학회는 2일 문경새재아리랑이 1938717일 오후 8KBS라디오 전신인 조선방송(JODK)에 방송됐고, 영국의 레코드사가 취입해 음반으로도 내놓았다는 당시 조선일보 기사와 광고를 비롯한 방송자료를 발견해 매일신문에 공개했다.”


기사의 말미는 이렇게 여몄다.

"-구전으로만 전해오던 문경새재아리랑은 헐버트 선교사가 서양 악보로 채보하기 시작한 1890년대부터 1930년대 방송을 타고 임소향이 음반을 낸 이후인 1940년대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서 널리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만일 임소향이 월북하지 않았다면 문경새재아리랑은 해방 후에도 전국에서 널리 불렸을 것이다-고 했다.”


이 기사는 문경새재라는 음반명과 곡명을 아예 문경새재아리랑으로 특화, 단정하였다. ‘문경새재문경새재아리랑또는 문경아리랑으로 특정, 검색 키워드로 제시했다는 사실에서 음반이나 기타 문헌에서 문경새재아리랑을 찾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했다. 이 기사로 문경과 소장자들에게 전해져 반향이 컸다. 유튜브 정창관의 아리랑운영자 정창관 선생이 공감을 표해왔고, 아리랑도시문경시민위원회 이만유 회장도 "문경아리랑이 다른 지역 아리랑과 함께 중요한 위치였음을 확인시켜 주어 고맙다는 인사를 받기도 했다.


드디어 기사의 결과가 나왔다. 존재에 대한 기사가 나간지 1, 국악음반박물관 노재면 관장이 소장 자료를 공개했다. 광고 문안과 동일했다.


"Polydor X-517-A(10386BF) 南道雜歌 梅花打鈴·聞慶세재 吳太石·丁南希·曺鸚鵡·林素香 伴奏 韓成俊·金德鎭·鄭海時


南道雜歌 聞慶새재불은 라밸의 폴리도루 음반, 너무나 반가운 음반이다. 그리고 2년 후 역시 노재명 관장이 가사지歌詞誌까지 발굴, 공개했다. 획기적인 발굴이다. 이로서 3절의 가사가 분명하게 밝혀졌다.

 

image01ㅍ.jpg

 

"(중모리) "문경새재는 웬 고갠고 구부야 구부 구부야 눈물이 난다.
아르르르르르 아르르르르르 아라리요.
아리랑 장단에 노래허여 아리랑 고개 고개로 넘어가세.
이 밭을 매고 저 논 갈아 양친 부모님을 봉양허세.
아르르르르르 아르르르르르 아라리요.
아리랑 장단에 노래허여 아리랑 고개 고개로 넘어가세.
이 물을 건너고 저 산 넘어 우리 님 계신 곳을 찾어가세.
아르르르르르 아르르르르르 아라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