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국립극장이 연말기획공연 '세 가지 선물'

김니은 기자
기사입력 2022.11.30 10:00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우리 전통소리. 전통무용을 선사하는 국립극장은 연말기획공연 '세 가지 선물'20부터 31까지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국립극장 3개 전속단체가 12일간 펼치는 세 편의 연말 무대로, 국립창극단 창극 콘서트 <연작(連作)>, 국립무용단 전통춤 모음 <수작(秀作)>, 국립국악관현악단 송년 음악회 <명작(名作)>을 각각 이틀씩 선보인다.


    창극 콘서트_연작_참고 사진_국립창극단_리어.JPG
    국립창극단 '리어' 공연 사진. (사진=국립극장 제공) 2022.11.30

     

    첫 무대는 국립창극단의 창극 콘서트 <연작(連作)>이다. 여러 창극 작품의 주요 곡을 갈라 콘서트 형식으로 선보여 창극 음악의 진면목을 압축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국립창극단 대표 레퍼토리 6<변강쇠 점 찍고 옹녀> <트로이의 여인들> <패왕별희> <나무, 물고기, > <귀토> <리어>에서 33곡을 엄선했다. 

     

    국립창극단 전 단원이 독창부터 중창합창까지 다양한 구성으로 창극 음악의 정수를 들려준다


    국악기와 서양 악기로 구성된 39인조 오케스트라가 함께 무대에 오른다. 강원도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활동 중인 계성원이 음악감독을, 다수의 작품에서 지휘작곡음악감독으로 참여해온 김창환이 지휘를 맡았다.


    전통춤 모음_수작 참고사진_국립무용단_추석만월.jpg
    국립무용단 공연 사진. (사진=국립극장 제공) 2022.11.30.

     

    국립무용단 전통춤 모음 <수작(秀作)>은 다채로운 한국 춤으로 우리 전통의 매력을 감상하는 무대다. ‘아름다운 순환을 주제로 계절의 변화에 빗댄 무용수들의 몸짓을 통해 세대를 넘어 이어지는 우리 춤의 영속성을 담아낸다·여름·가을·겨울다시 봄까지 총 5장으로 구성되는 이번 공연에서는 전통 소품 레퍼토리와 더불어 우리 춤사위를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한 안무를 동시에 만날 수 있다


    꽃이 피어나는 봄의 생동감을 그리는 부채춤부터 수확의 풍요로움을 드러내는 경쾌하고 화려한 소고춤과 장구춤’, 새로운 봄이자 다음 세대를 기다리는 희망을 담은 선비춤’, 흥과 신명의 에너지를 나누며 새해 복을 기원하는 농악’ 등 총 9개 춤을 엮어냈다.


    송년 음악회_명작_참고사진_국립국악관현악단_소소음악회.JPG
    국립국악관현악단 공연 사진. (사진=국립극장 제공) 2022.11.30.

      

    국립국악관현악단 송년 음악회 <명작(名作)>은 국악관현악 명곡부터 다양한 음악가와의 협연까지 장르와 세대를 넘나드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선보인다. 국악관현악곡으로는 따뜻한 봄기운을 담아낸 홍민웅의 화류동풍’, 최지혜의 메나리토리에 의한 국악관현악 감정의 집’, 거센 풍랑을 이기고 힘차게 항해하는 모습을 그린 박범훈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뱃노래’ 3곡을 연주한다

     

    라틴 음악, 대중가수와의 만남도 마련된다. 반도네온 연주자 고상지가 협연자로 나서 탱고의 거장 아스토르 피아졸라(Astor Piazzolla)의 대표곡 망각(Oblivion)’과 작곡가 장석진의 위촉 초연곡 반도네온과 젬베를 위한 더블 콘체르토 풍경화:風景畵를 연주한다. 가수 신용재와 차세대 보컬 HYNN(박혜원)이 각자의 대표곡을 국악관현악 연주에 맞춰 부른다. 지휘는 진솔이 맡았다.

     

    '세 가지 선물'의 총연출은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폐회식 총연출과 2018 평창 문화올림픽 총감독을 지낸 김태욱이 맡았다. 무대디자인은 BTS싸이를 비롯한 케이팝 스타의 콘서트 무대, 평창올림픽 개회식 무대 등을 만든 유재헌이 맡았다. 무대는 각 단체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유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150면적의 LED 전광판을 활용한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