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을지로 아니리] (43) ‘파움’과 ‘공청(公廳)’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을지로 아니리] (43) ‘파움’과 ‘공청(公廳)’

다운로드 (37).jpg

 

국악과는 전혀 무관한 듯한 두 용어가 공연 기사에 나왔다.(국악신문, 107일자, 소리꾼 강효주 서울, 장안의 소리’ 13~14) 경기민요 중진 강효주가 서울, 장안의 소리라는 타이틀을 달고 발표회(남산국악당)를 갖는다는 소식에서다. 기사에는 "예전 서울 사대문 안에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을 비롯해, 경기소리 애호가, 귀명창 등이 한데 모여서 소리를 주고받으며 즐기던 파움과 같은 이 시대의 공청(公廳)을 열어보고자~” 준비한 공연이라고 한 것이다.


이 두 용어를 설명하기 전에 발표자 강효주의 가보(歌譜)를 따라가서 일러야 쉬울 듯하다. 발표에서는 조선 말기 서울 장안의 대중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누렸던 종목인 잡가1910년대 서울 지역에서 많이 부르던 경기민요를 발표한다고 했다. 경기잡가와 경기민요의 판이다.


강효주의 스승은 이춘희이다. 1947년 생으로 한국전통민요협회를 이끌고 있다. 이 단체는 안비취(1926~1997)가 설립한 단체이다. 이를 물려받았으니 이춘희의 스승임을 알 수 있다. 안비취는 묵계월, 이은주와 함께 경기12잡가 인간문화재이다.


안비취는 조선권번 출신이다. 당시 경성의 4대 권번 중 조선권번이 가장 유명하고, 교육과정 역시 잘 마련된 곳이다. , , 화를 포함하여 예인으로서 갖춰야 할 여러 덕목을 갖춰 교육한 곳이다. 그런데 조선권번에서 가곡, 가사, 민요를 지도한 선생이 하규일(河圭一18671937)이 었다. 이 분은 1911년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 학감(學監)1912년 조선정악전습소 상다동(上茶洞) 여악분교실장(女樂分敎室長)을 겸하였다. 그리고 1912년에는 대정권번(大正券番)을 창립하고, 1924년에는 조선권번을 창립하기도 하였다. 이런 정황에서 하규일은 안비취의 스승임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하규일은 문식이 높은 관리 출신이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가인필휴(歌人必携)’를 지어 발간한 사실이다. 이 책은 1931년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에서 발행하였는데, 조선권번(朝鮮券番)에서 기녀들에게 가곡·가사·시조를 가르치기 위하여 발간한 가집이다. 여기에는 가곡의 노랫말과 8곡의 가사·시조가 수록되었다. 그런데 오늘의 음악사에서는 이런 대목으로 기술하고 있다.


"가사 가운데 처사가(處士歌) 양양가(襄陽歌) 매화타령(梅花打令) 수양산가(首陽山歌)와 같은 가사는 하규일(河圭一)과 같은 풍류방의 가객이 부르기 꺼리던 것이라 한 것으로 봐서, 임기준(林基俊(18681940)과 같은 공청의 가객들에 의해서 발전된 것이다.”


위의 인용문에 나오는 임기준은 동시대 음악계의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그러나 구사한 음악은 결이 달랐다. 바로 풍류방공청이란 말에서 드러나기도 한다. 곧 풍류방과 공창은 동 시대 결이 다른 음악이 향유되고 소통되던 공연장이며 음악인 공동체 상징임을 알 수 있다. 풍류방(風流房)은 조선조 말기 민간 상류 계층에서 줄풍류나 대풍류를 연주하던 방을 이르던 말이다. 율방(律房)과도 통하는 말로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사로이 연주 활동을 하던 곳이다.


그런데 이 시기 파움공청"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사로이 연주 활동을 하던 곳이기는 한데 조금은 결이 다른 곳이다. 전자는 겨울 땅을 파서 만든 토굴로 파를 보관하거나 키우는 움인데, 여기에 일부 공연자와 관객이 모여 소리를 즐기는 곳이었다. 이를 스스로 높여 부른 것이 후자이다. ‘은 공적인 업무를 보는 관청 같은 곳을 이르는 말이지만, 민간에서는 자신들의 업무를 보는 처소나 기구를 높여 부른 것이다.


이런 용어가 통하던 시기, 이런 곳에서 잡가, 가사, 각곡이 소통하던 시기, 함께 거론되는 이들이 장계춘(張桂春, 18681946)·이경준(李慶俊, 1860한인호(韓仁浩, 1860??)·박춘경(朴春景, 1850?1920?)·박춘재(朴春載, 1877 또는 18811948)·최경식(崔景植, 18741949 또는 18761948)·주수봉(朱壽奉, 1870??)·최경식·김홍패(金紅濬, 18771950)·보패(寶貝, 18601945)·박천복(朴天福오영근(吳英根김경호(金慶浩) 같은 이들이 있다.


이어서 1900년 전후 출생자들인 최정식(崔貞植유개동(柳開東, 18981975)·정득만(鄭得晩, 1907이명길(李命吉, 18851960)·탁복만(卓福萬박인섭(朴仁燮원경태(元慶兌이창배(李昌培, 19131984)·김수현(金洙鉉, 18981970)·김순태(金順泰, 19131978)·엄태영(嚴泰泳, 18831951)·김태운(金泰運, 18951951) 같은 이들이 거명 된다.


이들이 즐긴 소리 중에 대표적인 종목이 경기12잡가가 있다. 안비취, 묵계월, 이은주가 전승한 소리다.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 적벽가 선유가 출인가 방물가 평양가 집장가 형장가 달거리 등이다. 이들과 이들이 부른 오늘날의 12잡가가 탄생하고 향유된 곳이 발로 파움과 공청인 것이다.


정리하면 파움공청은 강효주의 계보상 3대 윗대 스승들이 소리를 즐기고, 연구하던 시기의 음악공동체를 이르는 말로, 그 시대의 소리를 재현, 오늘의 상황에서 판을 벌인다는 뜻이 된다.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