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특별기고]수원 평동 벌말 도당에서 펼쳐진 경기도당굿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별기고]수원 평동 벌말 도당에서 펼쳐진 경기도당굿

  • 양종승
  • 등록 2022.05.20 19:04
  • 조회수 4,647

양종승 (샤머니즘박물관 관장)

 

1 평동 벌말 도당 안에 모셔져 있는 김부대왕 및 안씨부인.jpg
[국악신문] 평동 벌말 도당 안에 모셔져 있는 김부대왕 및 안씨부인 2022.05.17.

 

2022517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6시간 동안에 걸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수원특례시, 평동행정복지센터가 후원하고 경기도도당굿보존회와 평동도당굿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경기 도당굿'이 수원 평동 벌말 도당에서 개최되었다. 마을 부녀회와 주민들이 준비한 제물 그리고 문화재청 및 수원특례시의 재정적 지원으로 지난번 도당굿 후, 두 해를 지내고 삼 년째 되는 올해 이른바 이태 말미 삼 년 시력의 정성으로 치른 것이다. 도당 인근의 공군비행장에서 매번 날아오르는 비행기 굉음이 의례에 적지 않은 지장을 주긴 했지만, 마을의 오랜 전통을 이어가려는 벌말 주민과 도당굿 전승자 모두의 정성을 억누르지는 못했다.

 

13 군웅굿에서 화랭이와 무녀가 함께 쌍군웅굿춤을 추고 있다.jpg
[국악신문] 군웅굿에서 화랭이와 무녀가 함께 쌍군웅굿춤을 추고 있다. .2022.05.17.

 

수원 평동 벌말은 서호천(西湖川아래의 물이 풍부한 벌판 한가운데에 형성된 전통 마을이다이곳에 약 2백여 년 전부터 도당이 있었다행정구역상 수원특례시 권선구 평동로76번길 2-7(평동)이며, 2003년 11월 27일 수원특례시가 지정한 향토유적 제12호이다도당 안에는 말을 탄 김부대왕과 안씨 부인이 그려져 있는 신화(神畵)가 정면 벽에 걸려 있으며그 밑으로 제단이 설치되어 있다


2 굿패가 줄지어  마을을 돌며 돌돌이를 하고 있다.JPG
[국악신문] 굿패가 줄지어 마을을 돌며 돌돌이를 하고 있다.2022.05.17.

 

벌말 도당의 주신(主神) 김부대왕(金傅大王, 재위 기간 927-935)은 신라 마지막 임금 경순왕(敬順王)이 시호(諡號)를 받기 전의 칭호이다. 경순왕은 신라 제56대 마지막 왕이었고, 당시 신라가 고려와 대립하여 전쟁을 일으켜 많은 백성의 목숨을 잃게 하는 것보다는 시대적 개혁과 새로운 나라 건립에 순응하였던 군주였다. 시운을 다한 신라를 전쟁 참화로부터 피하게 하였던 것이고, 그로 인해 민중들은 김부대왕이 죽은 후 사당을 지어 영검한 신으로 신봉하게 된 것이다


김부대왕이 이곳 벌말 도당에 모셔진 까닭도 시흥 군자봉 구준물(구지정마을)에 서낭신으로 모셔져 있는 김부대왕이 마을로 내려와 유가(遊街)를 돌다가 이곳에 머물렀기 때문이다그로부터 평동 벌말 주민들은 이곳에 도당을 짓고 김부대왕을 모시면서 구준물의 작은당이라고 불렀다경기 도당굿 큰 무녀로 활약했던 오수복(1924-2011)은 구준물 도당을 원도당이라 하였고안산 잿머리 도당은 처가 도당이며이곳 벌말 도당은 작은 도당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10 명복발원을 위한 제석굿에서 제석고깔 위에 제섹미를 올려서 제석고깔춤을 추고 있다.JPG
[국악신문] 명복발원을 위한 제석굿에서 제석고깔 위에 제섹미를 올려서 제석고깔춤을 추고 있다.2022.05.17.

 

평동 벌말 도당집은 원래 초가였으나, 6, 25전쟁 때 파괴되어 보수하면서 오늘과 같은 한 칸의 시멘트 벽돌에 기와를 얻은 당집이 되었다. 매년 정월 초, 길일을 받아 마을에 닥칠지도 모를 화()를 피하고 풍년이 들 것을 염원하는 목적으로 제를 지냈는데, 큰굿으로 할 때는 이태 말미 삼 년 시력으로 하고, 평년에는 마을 아녀자들이 모여 동탱이(퉁탱이굿)로 굿을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의례는 마을 주위에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점차 도시화되어 가자 풍농의 목적보다는 대동을 기원하는 굿으로 바뀌게 되었다. 굿을 하는 날도 조광현(1941년생)만신이 당주가 되면서 매년 정월 열하룻날로 변경하여 개최하다가, 올해부터는 추운 겨울을 피해 늦은 봄날에 하게 된 것이다.


굿 형식도 변화를 겪어 과거에는 당주 집에서 당주굿을 먼저 하였다. 도당굿을 행하기 전날 오후부터 당주집에서 가족 성원 모두에게 혹여라도 붙어있을 좋지 못한 잡귀 잡신을 몰아내고 명복을 발원하는 굿을 한 것이다. 당주굿을 한 후에 다음 날 아침부터 마을을 한 바퀴 도는 돌돌이를 하고 본격적인 도당굿을 했었다. 또한 도당굿이 시작되면 마을의 남녀노소 모두가 당 앞으로 나와 풍장을 울리고 축제의 한판을 펼쳤다. 마을 공동체는 통돼지를 잡아 굿상을 차리고 마을민 모두가 함께 제물을 나눠 먹으며 대동 잔치에 펼쳤던 것이다. 이러한 모습의 도당굿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이어졌었다. 그 형식과 모습이 마치 동해안지역의 별신굿, 호남지역의 당산굿, 강화지역의 곶창굿, 서울지역의 도당굿 및 부군당굿, 황해도지역의 대동굿, 평안도지역의 성황굿과 같은 것이었다.

 

14 군웅굿에서 화랭이가 사방을 돌며 방수밟이춤을  추고 있다.JPG
[국악신문] 군웅굿에서 화랭이가 사방을 돌며 방수밟이춤을 추고 있다. 2022.05.17.

 

평동 벌말 도당굿 주관은 관습적으로 경기도 일대의 세습 화랭이집단에 의해 행해졌다. 화랭이는 세습무계를 잇고 있는 남자이며, 도당굿에서 청배를 하고 굿 음악을 바라지 하는 잽이이다. 이러한 화랭이 세습무계 집단에 소속된 여자 무당을 미지라고 하는데 이들은 선굿을 담당하였다. 화랭이와 미지는 서로 간에 부부관계를 맺어 가족 집단을 이루면서 무업을 함께 하였다. 그러면서 화랭이 세습무 집단은 때에 따라서는 판소리를 하면서 광대 역할을 하기도 하고 국악판이나 놀이판에서 여러 가지 기예능 재주를 보이기도 한 것이다.


경기지역 화랭이패 무당들이 집단을 이루며 활약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마을마다 당골판 조직체계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무교에 대한 마을민들의 종교 신앙심과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적 인식이 공존하면서 마을 단위의 공동체 신앙체계가 절대적 종교 가치관으로 확립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화랭이패 집단은 당골판이 형성된 마을에 매여 있으면서 정기적인 마을굿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마을민들의 갖가지 신앙 행위를 만족시키는 데에도 일익을 담당하였다

 

16 화랭이가 도당굿을 마무리하는 뒷전을 하고 있다.jpg
[국악신문] 화랭이가 도당굿을 마무리하는 뒷전을 하고 있다. 2022.05.17.

 

그러면서 마을민의 신앙 욕구를 충족하여 주면서 그에 대한 적절한 대가를 받아 내는데 이를 영동이라 하였다. 마을 각 가정에서는 봄가을 햇곡식을 거두면 으레 화랭이패 집단에 내어 줄 곡식을 따로 정해 두었다가 무당이 영동에 나서면 내주곤 한 것이다. 이러한 당골판 세습무는 자연스럽게 그들 후손에게 대물림 되었고, 그러한 관습은 적어도 1970년대 중반까지도 면면히 이어졌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그 실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강신무가 세습무의 기예능을 학습하여 도당굿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게 되었다. 한편, 경기 도당굿의 과거 흔적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 해동죽지(海東竹枝)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들 자료를 보면, 오래전부터 도당굿이 행해졌었고, 그 유래는 고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목적은 매년 시월 큰 굿을 행하여 풍년의 은혜를 갚는 것이라 하였다.


경기 도당굿은 지역적 특징을 담고 있는 도살푸리, 살푸리, 살푸리모리, 발뻐드래, 올림채, 올림채모리, 겹마치(또는 곁마치), 진쇠, 부정놀이 등의 다채로운 장단으로 경기 시나위 곡이 연주되고 부정청배, 시루청배, 제석청배, 조상청배, 군웅청배, 손님노정기, 군웅노정기, 뒷전 등의 신가(神歌)가 가창 된다. 굿 순서는 돌돌이 및 장문잡기 부정청배 및 선부정굿 도당모시기 시루청배 및 시루돋음 살풀이춤 제석청배 및 제석굿 손굿 신장대감굿 무감 군웅청배 및 군웅굿 서낭대 내리기 뒷전 등이다. 여기서 무감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공()거리(또는 공구리), 즉 정식 굿거리가 아닌, 굿판에 참여한 마을민들이 신복을 입고 장단에 맞춰 춤을 추면서 신명놀이를 하는 것이다. 무감을 서고 나면 일 년 내내 신덕(神德)을 입어 병도 없고 복을 받는다고 믿는다


한편, 이번 평동 벌말 도당굿에 참여한 전승자는 당주 조광현 그리고 보존회장 승경숙을 비롯한 전승교육사 오진수, 장영근, 변진섭, 이수자 소명자, 김순중, 유홍란, 박덕근, 백윤하, 이철진, 김영은, 목진호, 고현희, 전수생 고미순, 이인자, 김정분, 김지혜, 정웅태, 박용철, 박지혜, 우성정, 안중범, 이세영, 이재섭, 송병주, 김현아, 남기선, 류정호, 유은경, 김형구 등이다.

 

15 농기를 서낭대  삼아 마을민이 서낭대를 내리고 있다.jpg
[국악신문] 농기를 서낭대 삼아 마을민이 서낭대를 내리고 있다.2022.05.17.

 

경기도당굿이 세간에 널리 알려진 것은 1970년 이후부터이다. 집안 대대로 세습무계를 이어 온 오산 출신의 화랭이 이용우(1899-1987)를 비롯한 1990년 경기도당굿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보유자로 인정된 조한춘(1919-1995), 오수복(1924-2011) 그리고 전승교육사 방돌근(1941-2001) 등이 경기지역의 전통신앙 옛 모습을 공개적으로 선보이며 그 참모습을 세간에 드러내면서부터이다. 그러다가 명인들이 작고하자, 한때 그 전승의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근년에는 조광현(1941년생)도 활동을 못 하는 상황에 이르면서 위축되었고, 경기도도당굿보존회 자체 갈등으로 적지 않은 고통도 겪었다. 다행히도 분열을 극복하고 일어나 미래 발전을 위한 화합의 장을 마련하였고, 이번 평동 벌말도당굿 또한 개최하게 된 것이다. 이와함께 참여 주민들도 옛 도당굿 모습을 살리려는 노력과 성의가 덧보여 흐믓하였다.


앞서 논한 바와 같이 경기 도당굿은 경기지역 일대의 마을 곳곳에서 풍농 및 풍어 그리고 마을민의 안과태평과 대동단결을 위한 목적으로 이어져 왔던 지역 공동체 민간 신앙이었다. 그러나 마을의 집단조직이 산업화 및 도시화로 붕괴하면서 굿 목적도 바뀌게 되었다. 인근의 영동 거북산당 도당이나 고색동 큰말 코잡이 도당 그리고 부천의 장말 도당, 시흥의 군자봉 서낭당도 마찬가지이다. 관계자 모두가 모두 애를 쓰면서 산이제 도당굿을 행하고는 있지만, 공동체의 옛 모습은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형편이다


그래서 굿 형태 또한 과거와는 달리 전통문화 및 신앙예술을 표방하는 굿으로 전환되어 가는데에 의미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 도달한 경기 도당굿은 지역 신앙으로서의 전통을 최대한 지킬 수 있도록 노력을 하되, 또 다른 한편으로는 범국가적 및 세계 속의 한민족 전통문화로서의 신앙의례 그리고 민족예술 증표로서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20 경기도당굿 전승자 일동.jpg
[국악신문] 경기도당굿 전승자 일동, 2022년 5월 17일 화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6시간 동안에 걸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수원특례시, 평동행정복지센터가 후원하고 경기도도당굿보존회와 평동도당굿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경기 도당굿'이 수원 평동 벌말 도당에서 개최되었다.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