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도자의 여로 (41)청자운학문접시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자의 여로 (41)
청자운학문접시편

  • 특집부
  • 등록 2022.04.29 07:30
  • 조회수 91,572

 

꼬리 미자에 뫼산자를 쓰는 미산은

              

  이규진(편고재 주인)

 

강진 청자는 왜 사당리 미산에서 막을 내리고 있는 것일까이는 내 오래 된 의문이다미산은 바닷가이다 보니 포구가 있다따라서 강진의 청자가 개성을 비롯해 타 지역으로 가려면 이곳에서 배편을 이용해야 했을 것이다그렇다고 하면 이상하지 않은가미산은 왜 초기 청자가 아니라 대미를 장식한 끝물의 청자를 만들었던 것일까생각해 보자강진군 대구면의 청자는 계곡 저 위쪽의 정수사가 있는 용운리에서 시작해 계율리를 거쳐 사당리로 내려온다사당리 중에서도 당전부락에서 정점을 이루었던 청자는 길 건너 미산부락으로 이동해 마지막 임종의 순간을 맞는 것이다나는 이것이 이상하다는 것이다.


도자기를 굽는 일은 특공대처럼 적의 후방으로 침입해 작전을 벌리는 일이 아니다교통이나 수운이 편리한 곳부터 개척해 입지를 넓혀가는 것이 순리다그렇다고 하면 포구로서 청자가 외지로 나가는데 창구 역할을 했던 미산은 마지막이 아니라 최초로 가마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그래야 점차 길도 넓혀가며 도자기를 굽다 점차 사당리 당전으로 진출해서 계율리를 거쳐 용운리로 올라갈 수 있는 것이 아닌가그런데 그 정반대인 것이다설혹 화목을 위한 나무 때문이라고 해도 마찬가지다몇 백 년 후를 감안해 교통이나 수운이 좋은 인근의 나무들은 남겨두고 특공대처럼 교통이 불편한 계곡 깊숙한 곳으로부터 시작을 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이상하지 않은가여기에는 도대체 무슨 사연이 있는 것일까.

 

KakaoTalk_20220428_235355643.jpg
[국악신문] 청자운학문접시편(편고재 소장) 현지름x굽지름x높이 11.5x6.5x2.5Cm

 

아주 오래 전 미산 포구에서 바닷바람을 맞으며 서 있었던 적이 있었다물이 빠져 갯벌이 꺼멓게 드러난 포구에는 끼룩 거리는 갈매기 한 마리 없이 조용하기만 했다강진청자가 성황을 이루었던 시절의 이 포구는 얼마나 분주하고 떠들썩했을까세월은 그 모든 것을 앗아가 버린 듯 조용하기만 한데 그 침묵 앞에서도 나는 자꾸만 왜 미산이 강진청자의 대미를 장식할 수밖에 없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 때의 추억을 되살리기라도 하는 듯 내게는 미산에서 만난 '청자운학문접시편'이 한 점 있다접시편은 굽는 과정에서 밖으로 주저앉은 듯 배가 약간 불러 보인다질적으로 하락한 말기청자답게 고급청자를 생산하던 시절에 사용하던 규석받침과 갑번의 흔적은 보이지 않고 굽은 모래받침에 유색은 갈색을 머금은 어두운 청색이다문양 또한 흐트러지기는 마찬가지다중앙에는 두 줄의 원 안에 흑백상감의 쌍학문을 배치하고 원 밖으로는 구름이 퇴화된 우점문 안에 여기에도 세 마리의 학을 배치하고 있다전체적인 인상은 청자라기보다는 흡사 분청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사실 이 시절을 경계로 강진요 도공들이 자기소를 이탈 전국의 여러 곳으로 흩어지며 강진 유형의 청자를 생산하다 분청으로 이행했던 과정을 생각하면 이러한 유사성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말기 청자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아직도 아쉬운 점이 많다서해안 무안 도리포 해저유물로 출수된 청자들이 사당리 10호 요지와 관련이 있다거나 간지나 정릉명 청자 등 출토품에 대한 연구는 있어도 실제 강진청자의 대미를 장식한 미산부락에 대해서는 발굴은 물론이거니와 연구도 거의 없는 편이다명품 청자들을 생산한 곳이 아니기 때문에 세간의 주목을 받지 못했기 때문일까그러나 나는 궁금하다왜 미산이 청자의 시작이 아니라 끝물이었는지그리고 말기라고는 하지만 명맥을 근근이 이어가다 왜 어느 날 갑자기 여기서 막을 내릴 수밖에 없었는지물론 왜구의 노략질과 중앙정부의 통제력 약화 등이 청자 쇠퇴의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더 의문인 것은 꼬리 미자에 뫼 산자를 쓰는 미산은 그 이름 때문에 운명처럼 청자가 막을 내릴 수밖에 없었던 지명이요 장소였는지도 지금으로서는 궁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