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국악계 "새 교육과정 시안에서 국악 배제"…교육부 규탄

성취기준·체계표 삭제…"국악 축소 우려"
연구진 5명 중 국악 전공 1명…"국악홀대"
음악 교육과정 개정 중지 및 재검토 요구

편집부
기사입력 2022.04.21 05:07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202204211258293312_l.jpg
    국악 연주장면. (사진=국립국악원 제공) 2022.04.21.

     

    올해 하반기 고시를 앞둔 새 교육과정에서 국악 교육이 실종될 위기에 놓였다는 학계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국악교육자협의회(협의회)는 21일 오전 성명을 내고 "고유한 국악 요소와 개념 체계가 무너지고, 학교 국악교육이 전면 축소될 우려가 있다"며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교육과정 시안에서 학생들이 음악을 공부한 뒤 배워야 할 내용을 제시한 '성취기준'에서 국악이 사라졌다고 보고 있다. 또 교사들이 가르쳐야 할 항목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표'도 없어졌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국악 내용이 총 6개 성취기준으로 개발돼 있었다"면서 "새 시안 개발 연구에는 성취기준이 단 하나도 없고 참고·선택 사항인 성취기준 해설에 끼워넣기 식으로 제시됐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악교육의 정상화, 질적 제고를 위한 그간의 노력이 전면 부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협의회는 새 교육과정을 제작하는 연구진이 서양음악 전공자에 편중돼 있다고도 지적했다. 협의회는 "기초연구는 서양음악 전공자 2인이 맡았으며, 시안 개발 연구 교수진은 서양음악 전공자 4명, 국악 전공 1명"이라며 "국악에 부정적인 인식에 기초해 연구 쟁점을 추출해 편향적, 부정적 의견을 중점적으로 수렴했다"고 주장했다.

    또 "연구책임자는 시안 개발 과정 모든 내용을 처음부터 비공개로 했다"며 "전공 분야에 차별을 뒀을 뿐만 아니라, 검토·의견 수렴을 위한 절차를 매우 형식적으로, 불투명하게 운영했다"고 지적했다.

     


    국악계는 교육부를 향해서도 책임론을 제기했다. 협의회는 이번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에 대해 "4000만원의 적은 용역비로 고작 6개월 동안 수행된 졸속 연구"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교육부에 교육과정 개발 관련자를 문책할 것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책임자의 해촉을 요구했다.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