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대한민국 외신보도 10년전보다 10배 증가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 외신보도 10년전보다 10배 증가

74개국 2006개 매체, 기사 12만 5375건 분석·발표

associate_pic
방탄소년단_NBC 지미 팰런쇼_IDOL_단체. 2020.09.29. (사진 =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제공)

 

대한민국에 관한 연간 외신 보도는 10년 전 9010건에서 90951건으로 10배 넘게 증가했고,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등 신남방 국가의 보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문화홍보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일인 2017년 5월 10일부터 4년 반이 되는 시점인 2021년 11월 9일까지 74개국 2,006개 매체, 기사 12만5375건을 8개 세부 분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국제사회에서의 우리나라의 위치를 이해하고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다.

해문홍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국정 1~2년 차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국정 3~4년 차에는 코로나19 대응, 국정 4~5년 차에는 케이팝과 한류 콘텐츠 열풍 등이 보도량 증가를 견인했다. 외신이 본 대한민국의 이미지는 ‘책임 있는 중견국’, ‘연대와 협력을 이끄는 중재자’, ‘국제질서를 선도할만한 역량을 갖춘 선진국’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보도 비중은 한반도 정세(38.4%) > 코로나19 대응(13.7%) > 한국문화(케이 컬처, 11.6%) > 한일관계(7.3%) > 정상외교(6.2%) > 경제(5.6%) > 사회(5.6%) > 국제(3.6%) > 국내정치·환경기술(2.8%) 순으로 나타났다.

 

associate_pic
방탄소년단_미국 CBS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제임스 코든_단체. 2021.12.17.

 

국정 4년 반 동안 한국 관련 외신 보도는 10~20%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국정 2년 차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로 정의되는 일련의 대북 대화 노력, 국정 3~4년 차에는 '케이(K)-방역'으로 일컬어지는 한국식 방역 모델, 국정 4~5년 차에는 '방탄소년단(BTS)', '기생충', '오징어 게임' 등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성장이 보도량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권역별로 보면 미주권의 보도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국정 1년 차와 4년 차의 보도량을 비교했을 때, 남북미(60%) > 아시아·태평양(23%) > 유럽(18%) > 아프리카·중동(15%)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남북미 지역 보도량 급증은 케이-역과 한류콘텐츠에 대한 미국의 관심 증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야별로 보도량 상위 20개국을 뽑아봤을 때, 국정 3년 차부터 한류 관련 미국의 순위가 급상승(1212523)한 것이 이 같은분석을뒷받침한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중동에서도 한류 열풍현상이 다수보도됐고, 일본에서는 4의 한류 붐이 일어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associate_pic
영국 런던 웨스트필드 쇼핑몰의 오징어게임 술래인형. (사진: 넷플릭스 트위터) 2021.11.8

  

국가별로 봤을 때에는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 신남방 국가의 보도량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인도의 경우 4년 전 846건에서 현재 2086건으로 2.5배 증가했다. 이는 '인구 14억' 인도가 지난해부터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채택하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19월 옥스퍼드사전에 한국어 표현 26개 단어가 무더기로 등재었다. 이처럼 전례 없는 일에 대해 옥스퍼드사전 측은 "우리는 모두 한류라는파도의 정점에 올라타 있다.”라고 설명했다. 지역 구분 없이 수많은 외신들이 자국 내 한류 열풍 현상과 그 이유를 분석하는 기사들을 쏟아냈다. 한류 현상은 케이 붐(K-Boom)’으로 표현됐고, 세계인의 생활양식을 바꾸는유행(신드롬)’으로 불렸다. 외신들은 문화산업의 질적 성장, 정부의 체계적 지원,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의 발전 등이 한류 열풍의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케이 붐'의 주된 계기로는 그룹 방탄소년단의 인기와 팬클럽 '아미'들의 활약,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의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넷플릭스 콘텐츠 '오징어 게임'의 대성공 등이 거론됐다. 이 사건들을 기점으로 한국문화(케이 컬처) 관련 보도량이 급증해, 국정 5년 차인 '반년' 동안 보도된 양이(3300건) 국정 1년 차 한 해 동안 보도된 양(1669건)의 두 배에 달했다.


박정렬 해문홍 원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케이 방역과 한류 콘텐츠 열풍이 한국 사회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한국회의 병폐에 관한 보도들이 한류 성장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문화적 성찰중요하다.”고 장조했다.

"늘어난 취재 수요에 맞게 향후 '코시스센터'를 외신 취재지원의 거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