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이윤선의 남도문화 기행 (21)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윤선의 남도문화 기행 (21)

송가인의 시김새

  • 특집부
  • 등록 2021.12.13 07:30
  • 조회수 9,610

 이윤선(문화재청 전문위원) 


음악의 맛을 내는 전통적인 남도소리의 기술. 시김새를 맛에 비교해 설명하는 것이 적절하다. 나는 이를 젓갈, 김치와 비교해 오랫동안 고찰해왔다. 시김새는 악기로 말하면 농현(弄絃)이다. 성악에서 시김새로 소리를 장식하듯이 기악에서 음을 흔들거나 꺾어 장식함을 말한다. 앞선 칼럼에서 술을 삭힌다는 데서 마음을 삭인다는 뜻으로 치환되는 흔적을 추적한 적이 있다. 이른바 남도의 씻김굿 의례 중 '이슬털이'가 그것이다. 그 음악적 총체는 '겨루기'와 '끼어 넣기' 방식이 만들어낸 시나위에 들어 있음도 살펴본 바 있다.

 

1123251_800911_1932.png
사진=송가인 인스타그램

 

예컨대 남도의 씻김굿 시김새 중 최다출현 빈도를 보이는 것이 꺾는 음인 이유를 설명하는 방식이다. 꺾는 음 즉 <꺾는 목>은 통상 단2도 정도를 미끄러지듯 하강시키는 기술이다. 이를 겹겹이 이어서 발성하는 방식을 남도소리의 '거드렁제'라 한다. 시김새의 꺾는 음은 일정한 유형을 가진 판형 즉 템플릿(Template)이다. 시김새는 음식을 삭히는 기능과 연결되어 있고 마음을 삭이는 기능과 연결되어 있다. 시대적 배경을 신드롬이라는 이름으로 살펴보았지만, 이 발성 기능 또한 그러하니 송가인의 노래를 애호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어떤 특정한 시기에 발달한 시대적 특성이기도 하다. 나는 항용 판소리와 민요를 통해 이를 설명해왔는데 송가인이 힌트를 주었다. 이 기술의 반복과 프렉탈 구조, 나아가 시대적 배경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는 다시 송가인의 트로트를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