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한국생황연구회 제2회 정기연주회 서울시민과 함께하는 특별연주회 “和合(화합)”

김지연
기사입력 2006.08.30 10:06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한국생황연구회 제2회 정기연주회
    서울시민과 함께하는 특별연주회 “和合(화합)”


    일 시 : 2006년 8월 31일 (목) 오후 7시30분
    장 소 : 국립국악원 예악당
    주 최 : 한국생황연구회
    후 원 : 서울특별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문 의 :☎02-583-0115~6, 017-238-7328

    한국음악연구회는 2006년 8월 31일 (목) 오후7시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한국생황연구회가 주최하는 서울시민과 함께하는 특별연주회 “화합”을 공연합니다.



    ㅁ줄거리
    한국의 전통생황은 약 1,700여년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삼국사기 및 고구려악에도 보이고 악학궤범에는 조선시대 초기까지 사용되었었던 산형도에 까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매우 소중한 우리나라의 전통악기이다. 조선시대 세종6년에는 중국에서 보내온 생황을 본받아 21관 생황을 만들었고, 그 당시에는 포부악기인 생황이 몸통은 박통이 아니라 목재로 변해 있었기 때문에 난계박연의 상소문에 의해 원형대로 몸통을 목재대신 박통으로 고쳐서 포부악기에 맞추어 다시 제작하였으나, 임진왜란 및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예전에 있었던 생황 종류가 없어져 청나라에 가서 사오도록 하였다. (인조 25년) 이 시기 부터는 빈번히 청나라에 가서 생황을 사오기 시작하였고, 악기를 사 올 때마다 음율을 해독할 수 있는 악생을 동시에 보내고 음율을 배워오게 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여 (악장등록, 영조실록) 생황을 청나라에서 밀수하여 사대부 집안의 장식용이나 권번의 기생에게 고가로 매매되었고, 기생들이 생황을 연주하는 모습은 조선시대 중기 화가 신윤복과 김홍도의 작품에 많이 출현되고있다. 생황 연주자의 명맥이 어렵게 조선시대을 거쳐 일제 강점기에는 김태섭선생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어 해방이후 한국예술종합학교전통예술원 정재국교수님으로 전승되어 현재에는 국립국악원에 재직 중인 손범주에게 그 명맥이 유지되면서 오늘의 한국생황연구회를 탄생시켜 연주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한국생황연구회는 전통생황의 복원작업 및 전통음악의 복원·창작음악 레퍼토리 확장과 생황의 보급에 정진 할 것 입니다.

    ㅁ 프로그램 사회/ 이윤경 (국악방송 편성부장)
    1. 전통생황 합주 '수연장지곡 & 송구여지곡'
    ☞ 수연장지곡/허지영 김계희 김남희 김성준 천혜승 윤보영 김지현
    송구여지곡/김효영 안형모 홍영주 안은경 김보미 진윤경 김태경
    대금/김상준 아쟁/정계종 장구/이충우
    2. 생황·단소·아쟁 삼중주 '수룡음·水龍吟'
    ☞ 생황/손범주 단소/김상준 아쟁/정계종
    3. 생황과 함께하는 '북청사자놀음 변주곡'
    ☞ 24관창작생황/안형모 퉁소/김동근 해금/한갑수 가야금/연지은 타악/양재춘
    4. 명상음악 '월당승용음·月堂勝龍吟' (작곡 김영동)
    ☞ 24관창작생황/허지영
    5. 바람의 소리 '풍향' (작곡/이준호 구성/손범주)
    ☞ 24관창작생황/홍영주 피아노/박경훈 퍼크션/이충우
    6. 탱고음악 'Oblibion·Libertango'
    ☞ 24관창작생황/안슬기 진윤경 피아노/성기문
    콘트라베이스/이 검 드럼/박근혁 퍼크션/이충우
    7. 집시음악 'Adios' (Sergei Trofanov)
    ☞ 24관창작생황/김효영 피아노/박경훈 콘트라베이스/이 검 드럼/박근혁 퍼크션/이충우
    8. 영화음악 'Reodor's Ballade,Moment'
    ☞ 24관창작생황/김계희 피아노/성기문 콘트라베이스/이 검 드럼/박근혁 퍼크션/이충우
    가야금/강향경
    9. 째즈음악 'Walking' (작곡/최명화)
    ☞ 36관창작생황/최명화 피아노/성기문 콘트라베이스/이 검 드럼/박근혁 퍼크션/이충우

    경연대회

    경연대회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