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한국 민속예술의 꽃! 탈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기원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민속예술의 꽃! 탈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기원

[크기변환]3.png

 

세계탈문화예술연맹(IMACO)에 따르면 등재 신청한 '한국의 탈춤'(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은 13개 국가무형문화재와 5개 시·도 무형문화재로 구성돼 있다.

하회별신굿탈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양주별산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통영오광대(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고성오광대(국가무형문화재 제7호), 강릉관노가면극(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강릉단오제), 북청사자놀음(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봉산탈춤(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동래야류(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강령탈춤(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수영야류(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송파산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은율탈춤(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가산오광대(국가무형문화재 제73호), 속초사자놀이(강원무형문화재 제31호), 퇴계원산대놀이(경기무형문화재 제52호), 진주오광대(경남무형문화재 제27호), 김해오광대(경남무형문화재 제37호), 예천청단놀음(경북무형문화재 제42호) 등이다.

 

'한국의 탈춤'은 무용, 음악, 연극의 요소가 전부 들어있는 종합예술이다

.[크기변환]5.png

 

[크기변환]4.png


[크기변환]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