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음반] 정창관의 신보유람 43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음반] 정창관의 신보유람 43

최명화 피리 정악 <지공> / 피리 민속음악 <류>

  • 특집부
  • 등록 2021.06.29 07:30
  • 조회수 308

 

정창관/한국고음반연구회 부회장  

 

43-신보유람-최명화1.jpg
[국악신문] 최명화 피리 정악 <지공> (2021년 다날엔터테인먼트 D-13362C)

  

피리 정악 <지공>의 지공이란 관악기(피리)에 뚫린 구멍을 일컫는 말이고 피리 민속음악 란 산조에 있어 한 유파를 의미하는 말이다.

 

<지공>에는 피리 독주의 상령산과 피리, 아쟁(정계종), 대금(김상준), 장구(사재성)로 구성된 4중주의 관악영산회상이 수록되어 있다. 첫 곡인 상령산은 평조회상의 첫 곡인 상령산을 원가락으로 풀고 꾸밈음을 넣어 연주하는 독주곡으로 대표적인 정악 독주곡이다

 

2번째 곡인 관악기가 주가 되는 관악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의 9악장에서 하현도드리가 빠진 8악장(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정만방지곡, 삼현영산회상이라는 아명을 가지고 있으며 관악합주의 백미이다.


42-신보유람-최명화2.jpg
[국악신문] 피리 민속음악 <류> 피리 민속음악 <류>

 

최명화 피리연주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마쳤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6호 대취타 및 피리 정악 이수자로 현재 KBS국악관현악단에 재직하고 있다. 2010년 첫 음반 <Fair Wind>를 출반한 이래 2, 3번째 음반이다.

 

대나무 관대에 구멍을 뚫고 겹서를 끼워 입에 물고 세로로 부는 악기인 피리, 합주에 있어 주선율을 담당하는 악기인 피리, 그 피리 소리를 정악곡으로 그리고 민속음악으로 들을 수 있다.

 


 

 

* 관련음반 : http://www.gugakcd.kr/music_detail.asp?cd_num=D-13362C&page=1

* 관련음반 : http://www.gugakcd.kr/music_detail.asp?cd_num=D-13363C&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