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8 (수)

[아리랑칼럼] (37)‘2005’의 아리랑 정선의 아라리 기층(1)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칼럼] (37)
‘2005’의 아리랑<11>
정선의 아라리 기층(1)

기찬숙/아리랑학회 연구이사

  • 특집부
  • 등록 2021.05.16 10:40
  • 조회수 101,235

어떤 특정 민속(민요현상의 출처 또는 발상지를 알 수 있을까? 예컨대 민요나 아리랑의 발상지가 어디인지를 알 수 있느냐라는 말이다. 이에 관심을 품은 이들은 1세대 국학자들이다. 최남선은 민요의 역사를 "주몽의 고개를 넘어 단군의 마루턱에 나아가도 민요의 하늘은 계속되고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최영한(崔永翰)도 그 시원이 무한함을 기술하였다. "붉은 땅에 푸른 풀이 싹 돋는 조선에 있어서 반만년의 오랜 역사를 가진 조선인의 원시적 생활이 또한 그러하였을 것도 사실인즉 조선 민요의 역사는 조선민족 생활의 최초로부터 시작하였을 것이다.”라고 한 것이 그것이다. 민요의 시원을 민족의 시원에 닿아있다고 하였다.

 

1986.jpg
[국악신문] 우리나라 최초 전국 지역 아리랑 가사집,(김연갑, 아리랑, 현대문예서, 1986) 무세중 선생이 1986년 필자에게 전해준 책이다.

민요 아리랑의 출처를 언급한 이는 민요 학자 고정옥(高晶玉,1911~1969)이다. 그는 1946朝鮮民謠硏究에서 아리랑의 출처가 있다는 전제로 기술했다. , 아리랑이 "최초 단 한 개의 멜로디에서 출발한 것은 사실인 듯하다. 그것이 시일의 경과에 따라 각 지방의 음악적·사상적·언어적 특징에 물들어 경기·서도·강원·영남 등의 각종 아리랑이 생긴 것.”이라고 하였다.

 

 ‘단 한 개의 멜로디가 출현한 곳을 아리랑의 출처(출현지)라고 돌려 말하였다. 이후 역시 민요학자 임동권(任東權/1926~2012)1964한국민요사에서 "아리랑타령이나 도라지打令 같은 곡조는 일조일석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취사선택되어 집단의 공감을 주는 것으로 정립되어 오늘날의 민요가 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아리랑의 멜로디또는 곡조가 출현한 곳을 출처라고 한 것이다.


아리랑 관련 자료가 집대성된 1980년대 중반 아리랑연구가 김연갑은 1986아리랑에서 흥미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소위 도너츠 이론인데, 민속현상의 출처를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호수에 처음 낙하물이 떨어져 파장을 일으키면 그 영향으로 물가에 모래톱과 같은 흔적을 남긴다. 그러나 처음 충격이 있었던 곳의 흔적은 사라져 버려 찾을 수 없다. 이는 마치 처음 밀가루 덩이에서 눌러 구멍을 내고 이를 늘려서 도너츠 모양을 만들면 처음의 밀가루 덩어리는 없어지는 것과 같다. 아리랑도 어딘가에서 출현하여 오긴 했지만, 그 처음의 출현지를 규정하기란 쉽지 않다.”


문화인류학자 메롤로 몽타(Merleau-ponty. M)는 또 다른 견해를 피력했다. "전승문화는 기원에 대한 망각을 수반한다.”는 주장이다. 원인은 다르지만 역시 출현지를 찾기 어렵다고 한 것이다. 곧 민요, 또는 아리랑의 기원을 찾는 것은 어렵다고 한 것이다.


그런데 2000년대 들어서까지도 강원도 정선군민들이나 일반인들은 물론, 일부 학자들도 "아리랑의 고향은 정선이다.”라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쓰고 되었다. 말하자면 정선지역이 아리랑의 출처라고 한 것이다. 과연 이런 표현을 쓸 수 있는 것인가? 앞서 살핀 대로 누구도 명확한 근거를 댈 수는 없다.


다만 일부 연구자는 전파론을 들어 정선 아라리서울경기아리랑식의 계통도로 설명하였다. 정선에서는 "정선의 뗏목꾼들에 의해 서울로 전파되었다.”는 주장을 하는 것이 그 하나이다. 그러나 이 전파론은 오늘의 문화인류학계에서도 크게 인정을 받고 있지 못하는 이론이다


1982_4700_5410.jpg
[국악신문] 임재해(林在海) 안동대 명예교수,국학연구원장, 박물관장, 인문대학장을 역임, 실천민속학회장, 한국구비문학회장, 비교민속학회장,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장 등의 학회활동을 했다. 현재 남북역사문화교류협회 공동대표,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이사. 주요 저서로 '민속문화를 읽는 열쇠말',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신라 금관의 기원을 밝힌다', '마을문화의 인문학적 가'치, '고조선문명과 신시문화' 등 33권의 책이 있다.

 

예컨대 강강수월래의 경우 해남과 진도를 출처로 하여 경북 해안의 월월이청청이나 내륙의 안동놋다리밟기로 전파되었다고 보았다이는 1985년 영남대 김택규교수가 한국농경세시의 연구에서 한 주장이다. 그러나 1992년 안동대 임재해 교수는 강강술래와 놋다리밟기의 전승양상과 문화적 상황이란 논문에서 이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원무(圓舞)와 여성의 가무놀이의 통시적/공시적 보편성 등을 들어 이는 "인류 보편적 의식과 주술적 관념 속에서 저마다 생성된 것이라는 다원발생설로 반박한 것이다. 합리적인 반박이다.


아리랑 역시도 메나리토리 노래가 발생될 여건은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산악지대 곳곳이 공통으로 지닌 것이었다. 이 때문에 메나리토리 노래의 출처를 특정할 수 없는 실정이다. 다만 현재의 전형성을 근거로 전승 중심지또는 전승 주변지로 삼을 수는 있는 것이다. , 기층성을 파악하여 중심지와 주변지로 구분할 수는 있다는 말이다. 이를 적용하면 정선지역 일대가 아라리의 전승 중심지이고 영월 평창 태백 강릉 지역이 전승 주변지역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