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아리랑칼럼] (36) ‘2005’의 아리랑 강원도의 아리랑 전승 실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리랑칼럼] (36)
‘2005’의 아리랑<10> 강원도의 아리랑 전승 실태

기찬숙/아리랑학회 연구이사

  • 특집부
  • 등록 2021.05.08 09:16
  • 조회수 60,731

지금까지 7회에 걸쳐 강원도의 아리랑 상황을 지역별 아리랑 전승실태 조사보고서를 통해 살펴왔다. 강원도의 아리랑은 전국 7개 아리랑 권역 중 중요도나 전승 범위의 광역성에서 단연 주목이 된다. 그런 만큼 다양한 논점을 살피게 되었다. 이번 회에서는 아라리, 엮음아라리, 자진아라리의 전승 범위를 2005년 상황에서 검토하기로 한다.

 

"아라리의 전수자가 강원도의 거의 전역에 풍부하게 존재해 온 것은 이 노래가 이 지역 민중들의 기층적 삶에 이처럼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아라리는 향토민요로서 강원도의 기층문화로 뿌리 깊고 넓게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아라리는 문화적 뿌리가 튼튼한 노래이기에, 민요생태학적 측면에서 볼때 자연스런 전승이 단절된 오늘의 상황 아래에서도 아리랑 전수자들이 아직 도처에 적지 않게 존재하는 일이 가능할 수 있었다.”

 

화면 캡처 2021-05-08 093244.jpg
謠河 김병하(金丙河,1946-2007년) 강원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라리 명예기능보유자, 김길자:강원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예능보유자

  

인용문은 2003년 발행된 김시업 편 정선의 아라리같은 조사자료에서 확인되는 전승 상황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민요의 전승 조건이 상실된 상황이지만 강원도의 아리랑은 다른 지역과 달리 전승자가 적지 않게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아라리가 지역민들의 기층적 삶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 아라리는 문화적 뿌리가 튼튼한 노래라는 것이다.

 

여기에서 아라리는 긴아라리, 엮음아라리, 자진아라리, 강원도의 아리랑을 말한다. 이들은 인위적 조건에서 전승되기도 한다.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유자들을 통한 교육 전수를 말한다. 긴아라리와 엮음아라리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으로, 자진아라리는 강원도 무형문화제 제5호 학산오독떼기종목에서 체계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전자는 보유자 4, 이수자 6, 전수장학생 14명에 의한 정선아리랑보존회로 조직되었고, 후자는 보유자 3, 이수자 3, 전수장학생 4, 보존회 회원 40여명이 학산오독떼기보존회를 결성하여 전승하고 있다.

 

다운로드 (10).jpg
[국악신문] 학산오독떼기보존회

 

주목되는 것은 보존회 회원 중에는 자연스럽게 체득한 이들이 상당수라는 점이다. 자연적 체득이란 전수교육과 같은 인위적 전승이 아니라 가족공동체 또는 마을공동체에서 자연스럽게 체득한 것을 말한다. 민속의 가장 바람직한 전승 형태이다. 보유자 김길자의 경우 가정에서 할머니 정옥선과 부친 김병하(2007년 작고)로부터 자연스럽게 소리를 익힌 사실이 그 한 예이다. 이러함에서 정선지역이 비교적 자연적 전승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정선이 우리나라 아리랑의 전승 중심지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이 두 지역 보존회는 전수교육 중심의 정기적 축제, 공개 공연, 창극공연, 경창대회, 시장공연, 전수교육, 그리고 가사 짓기 같은 활동을 통해 전승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괄목할 것은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성과와 경창대회 정례화와 타지역 경연자를 참여시켜 교류를 확대시켜왔다는 사실이다. 이는 강원도 아리랑의 원심력과 구심력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거둔 것이다.

 

문화재청 발간 지역별 아리랑 전승실태 조사보고서강원도의 아리랑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아라리, 엮음아라리, 자진아라리는 아리랑문화의 원형으로 보호할 필요성 또한 크게 요구되고 있는데, 다행스럽게도 강원도의 경우는 전수자 일부가 자연 체득자여서 인적 자원이 두텁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전체 아리랑사의 위상을 강조하였다.

 

"강원도 향토민요 아리랑은 아리랑 노래문화의 모태이면서, 아리랑 노래문화를 성장시킨 자원아라는 면에서 그 문화사적 의미를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