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4 (화)

김숙자류 경기무속 및 전통춤판 이정희 의 매헌춤 6월 26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뉴스

김숙자류 경기무속 및 전통춤판 이정희 의 매헌춤 6월 26일

  • 김지연
  • 등록 2005.06.07 14:18
  • 조회수 1,613
서울문화재단 시민문화예술지원 선정작
김숙자류 경기무속 및 전통춤판 이정희 의 매헌춤
일 시
2005년 6월 26일(일) 늦은 7시
장 소
세종문화회관 소극장
주 최
매헌춤 보존회
문 의
02-720-4303
후 원
(재)서울 문화재단, 도살풀이 보존회, 경기도당굿보존회, 전통신문사
특별출연
오수복 -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당굿 보유자 제82-라호
정영만 - 남해 별신굿 보유자
유창 - 제57호 경기소리 전수조교
매헌춤
보존회
- 중요무형문화재 제 97호 도살풀이 춤의 보유자 故김숙자의 춤을 비롯아여 경기도당굿의 독특한 장단과 춤사위는 물론 경기화성 재인청에 속했던 故김숙자의 선대의 무의 전통을 그대로 계승하는 단체로서 현제 故 김숙자의 큰 제자였던 이정희를 대표로 그이 제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故 매헌 김숙자 중요무형문화재 97호 도살풀이춤 보유자 매헌 김숙자 선생은 경기 안성지방의 세습무가에서 태어났다. 판소리 경제(京制)의 명창이었던 조부 김석창에게 소리를, 화성, 안성의 재인청에서 예인들을 가르친 판소리와 춤의 명인이었던 아버지 김덕순에게 판소리와 가야금 그리고 춤을 배웠으며 어린 시절부터 도살풀이를 비롯한 경기 도당굿 전반에 걸친 무속춤과 경기재인청 전통춤과 예악에 능통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 97호인 도살풀이 춤은 도당굿 장단인 섭채(6박)장단에 추어지는 춤으로 용사위, 목젖놀이, 학사위 등의 멋들어진 춤사위가 내재되어 경기도만의 독특한 춤사위를 지니고 있다.
프로그램
도살풀이(군무), 축원, 제석, 부정놀이, 승무, 매헌입춤, 한량무, 회심곡, 도살풀이
- 이정희 - 78년 故매헌 김숙자 선생문하에 입문하여 87년 전주 대사습 무용부문에 도살풀이춤으로 최고상인 장원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故 매헌 김숙자선생님의 원형의 춤과 정신을 이어가고자 ‘매헌춤 보존회'를 설립하여 그이 제자들에게 김숙자 선생님의 12가지 춤을 전수하고 있다. 이정희는 특히 도살풀이춤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다. 이는 현재 도살풀이춤이 경기 도당굿 장단이 아닌 호남장단인 4박에 의해 추어지고 있기에 원형을 알리고자 도살풀이춤에 있어서 4박이 아닌 경기도당굿 장단인 섭채(6박)장단을 고수하며 제자를 양성하고 故김숙자선생 춤에 대한 인식이 4박이 아닌 6박에 추은 춤이라는 이 많이 알려졌으며 원형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현재 이정희는 김숙자류 매헌춤 보존회 회장으로서 고인이 되신 김수자 선생의 춤맥과정신을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