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문체부, 내년도 예산안 6조 8,273억 원 편성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모/전시

문체부, 내년도 예산안 6조 8,273억 원 편성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상과 문화’ 준비
기초예술 역량 강화 등 문화예술 향유 기반 조성으로 국민행복 기여
신한류 확산, 미래먹거리 육성 등을 통한 국가경제성장 견인
한국어·한

  • 편집부
  • 등록 2020.09.02 13:25
  • 조회수 65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91() 국무회의를 통과한 2021년 정부 예산·기금 운용계획안 중 문체부 예산안은 총 68,273억 원으로 올해 대비 총 3,470억 원 증액 편성했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삶을 살아갈 국민들의 안정적인 문화생활을 위해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했고, 문화예술·텐츠·관광·체육 등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업계의 조기 회복을 지원하는예산을 대폭 반영했다.

온라인 실감형 한국대중음악(K-pop) 공연제작 지원(290억 원), 디지털 인문뉴딜(11억 원), 온라인 미디어 예술활동 지원(49억 원),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지원(20억 원), 예술인 창작안전망 구축(524억 원), 관광산업 융자지원(6,000억 원) 스포츠산업 금융지원(1,192억 원)

 

또한,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올바른 국어 사용 및 한글을 통한 한류 확, 콘텐츠 정책금융 확대를 통한 투자 활성화와 해외 수출 기반 조성, 모두가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열린 관광환경 조성과 관광기업의 혁신적인 성장,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예산을 중점 편성했다.

한국어 진흥기반 조성·확산(894억 원), 문화콘텐츠 투자활성화(283억 원), 위풍당당콘텐츠코리아펀드 출자(1,278억 원), 관광산업 인재 발굴 및 전문역량 강화(108억 원),국내관광 역량 강화(421억 원), 관광사업 창업지원 및 벤처 육성(751억 원)

 

< 2021년 문체부 부문별 예산안 편성 현황 >

(단위: 억 원 / %)

구 분

20년 본예산

21년 정부안

전년 대비 증감

예산액(A)

비 중

예산액(B)

비 중

증감액(B-A)

증가율

합 계

64,803

100.0

68,273

100.0

3,470

5.4

문화예술

21,213

32.7

21,832

32.0

619

2.9

콘텐츠

9,650

14.9

10,470

15.3

820

8.5

체 육

16,961

26.2

17,491

25.6

530

3.1

관 광

13,491

20.8

14,859

21.8

1,368

10.1

기 타

3,488

5.4

3,621

5.3

133

3.8

 

부문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부문에 한국어 진흥기반 조성·확산(894억 원),예술의 산업화 추진(146억 원), 함께누리 지원(205억 원) 재외 한국문화원 운영(928억 원),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1,397억 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619억 원이 증가한 21,832억 원을 편성하였으며,이는 부문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콘텐츠 부문에는 음악산업대중문화산업 육성(542억 원), 게임산업육성(650억 원), 위풍당당콘텐츠코리아펀드(1,278억 원), 영화제작 지(482억 원),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393억 원), 콘텐츠 분야 연구개발(R&D) 사업(893억 원) 등 올해 예산 대비 8.5% 증가한 1470억 원을 편성하여 부문 총액 1조 원을 돌파했다.

 

체육 부문에는 스포츠산업 금융 지원(1,192억 원), 국제대회 국내 개최지원(182억 원), 스포츠산업 활성화 지원(601억 원), 스포츠윤리센터 운영(45억 원), 국민체육센터 건립 지원(2,725억 원), 스포츠산업 연구개발(R&D, 221억 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530억 원이 증액된 17,491억 원을 편성했다.

 

관광 부문에는 관광산업 융자 지원(6,000억 원), 관광사업 창업 지원 및벤처 육성(751억 원), 도시관광 및 산업관광 활성화(399억 원), 스마트관광활성화(246억 원), 고품질 관광기반 조성(167억 원), 한국관광텐츠 활성화(204억 원) 등을 포함해 올해 예산 대비 10.1%가 증가(1,368)14,859억 원을 편성했다.

 

문체부는 앞선 중점 사업을 포함해,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상과 문화준비, 기초예술 역량 강화 등 문화예술 향유 기반 조성으로 국민행복 기여, 신한류 확산 및 연관 산업 동반수출을 통한 국가 경제성장 견인, 한국어·한국문화 교류 확대 및 국제스포츠대회 지원으로 문화진국 위상 제고라는 4가지 기조와 아울러, 문화 부문 한국판 뉴딜 추진을통한 선도형 문화산업 육성을최우선적으로 고려해 내년도 예산을 편성했다.

<< 문체부 2021년 예산안 편성기조 및 주요 사업 >>

 

1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상과 문화준비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는 온라인 비대면 문화콘텐츠 확산

 

코로나19 이후 공연장 등 현장 중심의 예술창작 활동과 문화소비는 위축되고 있으나, 온라인에서의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비대면 환경 중심의 문화콘텐츠 사업 예산이 대폭 확대된다.

 

비대면 예술창작과 예술 향유 활동 영역을 확장하는 온라인 예술콘텐츠 제작사업을 지원(900)한다. 학교·사회 문화예술교육도 현장 수요에 기반한 온라인·비대면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한다. 이는 코로나19로 촉발된 환경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형태의 예술 활동을 활성화하고, 예술의 지평을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온라인 미디어 예술활동 지원: (’21년 안) 49억 원(신규)

*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21년 안) 20억 원(신규)

 

대중음악 분야에서는 온라인 실감형 한국대중음악(K-pop) 공연 제작 지원사업을 통해 온라인 공연 전용 스튜디오를 조성하여, 대형 기획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비대면 공연이 중소 기획사를 포함한 대중음악계 전반으로확대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온라인 실감형 한국대중음악(K-pop) 공연 제작 지원: (’21년 안) 290억 원(신규)

 

스포츠 분야에서는 영세한 스포츠 기업들이 코로나19 피해를 극복하고 새로운 환경에 대비하도록 비대면 스포츠 시장 육성사업을 지원한다. 를 통해 비대면 스포츠 융합인력 1,000명을 양성하고, 660개 스포츠시설을비대면 사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비대면 스포츠 시장 육성 사업: (’21년 안) 39억 원

 

문화예술·콘텐츠·체육·관광 등 피해 산업 생태계 회복 지원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문화콘텐츠·관광·스포츠 산업 생태계 회복 지원을 위한 예산도 대폭 증액했다. ·저예산 한국영화 대상으로 투자하는 모태펀드 영화계정의 출자 금액을 240억 원에서 내년도350억 원으로 확대해 다양하고 참신한 영화들이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영화제작 지원 투자·출자: (’20) 240억 원 (’21년 안) 350억 원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업계 현장에 대한 융자 지원을확대한다. 여행업·호텔업 등 관광업계 자금 지원을 6,000억 원으로 늘리고, 소규모 관광사업체 대상 신용보증부 특별융자도 약 500억 원 규모로시행한다. 민간 체육시설업체 운영, 설비자금 등을 지원하는 스포츠산업 융자사업은 ‘20662억 원에서 ’211,062억 원으로 늘려 산업 경쟁력을강화한다.

 

* 관광산업 융자 지원: (’20) 5,500억 원 (’21년 안) 6,000억 원

* 스포츠산업 융자: (’20) 662억 원 (’21년 안) 1,062억 원

 

코로나19 고용충격 대응을 위한 일자리 확대

 

코로나19로 문화·체육·관광 현장의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도록 11,606, 949억 원의 일자리 예산을 편성했다. 이에 따라 올해 대비 1,294개의 일자리가늘어날 예정이다. 학예사 등 박물관 전문인력, 생활체육지도자, 문화관광설사 등 직접일자리 사업에 787억 원을 편성했고, 마이스(MICE)산업, 임산업 등 문화콘텐츠 전문인력 양성과 취업지원 예산도 계속 지원한다.

 

이외에도 여성 어르신이 유아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할머니업을 124억 원(4,130)으로 증액하고, 근현대 기록유산(문서, 사진 등)을 수집하는 국학진흥 어르신 일자리 창출사업을 신규로 편성했다. 34이하 문화예술 전공자를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으로 채용하는 예산도 확대해, 실무 경험·역량 향상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즉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예술계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20) 850억 원 (’21년 안) 949억 원

- 전통이야기 계승 및 활용: (’20) 105억 원 (’21년 안) 124억 원

- 국학진흥 어르신 일자리 창출: (’21년 안) 10억 원(신규)

- 예술인력 육성: (’20) 145억 원 (’21년 안) 212억 원

 

2

 

기초예술 역량 강화 등 문화예술 향유 기반 조성으로 국민행복 기여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및 국민문화향유 확대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게 문화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의 지원 금액을 개인별 연간 10만 원으로 1만 원 인상한다. 또한, 소외계층에게 체육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포츠강좌이용권을 전년 대비 12,450명이 늘어난 72,000명에게 지원한다.

 

* 통합문화이용권: (’20) 1,033억 원 (’21년 안) 1,261억 원(177만 명)

*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20) 277억 원 (’21년 안) 339억 원(72천명)

 

장애인 생활체육 저변 확대를 위해 장애인 국민체육센터’(반다비 체육센터)건립을 지속 추진(신규 30개소, 누적 83개소)하고, ‘장애인 체력인증센터2개소 확대(신규 2개소, 누적 10개소)하며, 소외 지역을 방문해 체력측정ㆍ스포츠체험 등을 제공하는 장애인 스포츠버스시범사업을 신규로 시작한다.

 

* 생활밀착형 장애인 국민체육센터: (’20) 630억 원 (’21년 안) 840억 원

* 장애인체력인증센터: (’20) 13억 원 (’21년 안) 17억 원

* 장애인 스포츠버스: (’21년 안) 5억 원(신규)

 

또한 기업 내 자유로운 휴가 문화 조성을 위해, 기업과 근로자가 공동으로휴가비를 적립하면 정부가 추가적으로 지원하는 근로자 휴가 지원사업을’21년에는 중소기업 근로자 등 10만 명을 대상으로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 근로자 휴가 지원: (’20) 85억 원 (’21년 안) 110억 원(10만 명)

 

예술인 기초예술 창작 및 장애예술인 지원 확대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는 공연예술가들이 창작활동을 어갈 수 있도록 국립예술단체별로 특성화 사업을 신규 추진해, 침체된 공연시장을 활성화하고, 안정적 일자리를 도모할 계획이다.

* 특성화 사업: 디지털시대 공연 창작, 유료형 온라인 기반 구축, 한국적 공연콘텐츠 개발 및 기초 예술사업 확대, 청년음악가 지원, 발레꿈나무 육성지원 등

 

장애인 예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함께누리 지원예산을 대폭 증액(89억 원,79%)하여 장애예술 공연장을 조성하고, 장애예술단 창단 지원 등 민간기업의장애예술인 고용을 촉진하여 일자리도 확대할 계획이다.

* 함께누리 지원: (’20) 116억 원 (’21년 안) 205억 원(89, 79% 증액)

 

문화·관광 향유 기반시설 및 생활형 체육시설 지속확충

 

일상 속에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기반시설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국민행복에 기여한다. 전국 13개 국립지방박물관을 역사와 지역성을 반영한고유 브랜드로 특성화하는 지방박물관 브랜드 육성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이로써 국립지방박물관의 지역 대표 문화기관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한다. 이에 더해 지역 소재 공립 박물관·미술관을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박물관·미술관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4차 산업시대 정보기술 활용 및 디지털 미디어 확산을 위해 전국 도서관에미디어 창작공간(90개소, 22억 원)을 조성하고, 비대면 서비스 일환으로 지하철역 등에 무인 대출반납시스템(U-도서관)20개소 설치한다.

 

* 지방박물관 브랜드 육성 (’21년 안) 179억 원(신규)

- 13개 지방박물관의 브랜드: (경주) 신라문화, (광주) 아시아 도자문화, (전주) 선비문화,(대구) 복식문화, (부여) 사비 백제, (공주) 웅진 백제, (진주) 임진왜란, (청주) 금속공예, (김해) 가야 문화, (제주) 섬 문화, (춘천) 정신문화, (나주) 독널 문화, (익산) 고대 사원

* 스마트 박물관·미술관 구축 지원: (’21년 안) 82억 원(신규) (80개관 1억 원 지원)

* 스마트 도서관 구현: (’20) 10억 원 (’21년 안) 50억 원

 

지역별 문화관광 기반 조성을 위한 사업들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역 고유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21년에 제2차 문화도시를 지정하여 문화 중심의 지역 발전 토대를 강화해 나간다. 또한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은 ’201, 5개 도시가 선정되었으며, 도시별로 수립되는 기본계획에 따라 ’21년부터 콘텐츠 개발, 관광 기반 및 서비스 개선 등의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 문화도시 조성: (’20) 100억 원 (’21년 안) 184억 원

* 관광거점도시 육성: (’20) 159억 원 (’21년 안) 383억 원

- 관광거점도시 선정: 국제관광도시(부산), 지역관광거점도시(강릉, 전주, 목포, 안동)

 

공공체육 기반시설 확충으로 누구나 손쉽게 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는 국민체육센터 건립 예산도 확대한다. 내년에는 수요자 중심의 생활권형 국민체육센터를 더욱 확충하고, 국민들의 이용 선호도가 높은 생활밀착형(수영장 포함) 국민체육센터를 친환경, 에너지 절감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 국민체육센터 건립 : (’20) 2,553억 원 (’21년 안) 2,725억 원

- 생활밀착형 등 국민체육센터 건립 (’20258개소 ’21274개소)

-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친환경 에너지 절감 시설 조성 지원(393억원)

 

3

 

신한류 확산, 미래먹거리 육성 등을 통한 국가경제성장 견인

 

한류콘텐츠 다양화, 연관산업 동반성장으로 신한류 진흥 추진

 

신한류는 문화 분야뿐만 아니라 소비재서비스 등 연관산업 분야에서 국가경제성장을 견인할 신성장동력인 바, 범정부한류협력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지난 7월 발표한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3가지 전략에 따라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편성하였다.

 

재외공관(10개소)과 연계해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해외예술가와협업해 한국적 가치를 담은 대표 공연콘텐츠 개발 및 공연지원사업 등으로 한류 콘텐츠의 다양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더불어 한류로 연관 산업 견인을 뒷받침하기 위해, 실감형 기술을 활용한한류 관광자원 체험과 홍보를 지원하는 등 한류관광 활성화 지원을 확대한다. 한류 콘텐츠의 단계별 해외진출과 연관 산업 마케팅 지원도 확대해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한류 확산의 토대 형성을 위해 현지에서 파급력 있는 한국문화 종합행사를 주요 거점도시별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주요 한류 소비 지역인 신남방신북방 국가의 문화를 국내에 소개하고, 이들 가의 대중문화예술인 초청 연수를 지원하는 사업을 새롭게 추진함으로써지속가능한 쌍방향 문화교류의 기초를 다져나간다.

 

* 한류협력위원회(’202): 문체부 장관 주재 13개 관계부처, 12개 공공기관 참여

** 신한류 확산 관련 주요 사업

- 전통문화 해외거점 조성: (’21년 안) 10억 원(신규)

- 전통·현대 융합 한류 공연콘텐츠 개발지원: (’21년 안) 16억 원(신규)

- 한류관광 활성화: (’20) 62억원 (’21년 안) 90억 원

- 문화콘텐츠 국제협력 및 수출기반조성: (’20) 323억원 (’21년 안) 342억 원

- 재외문화원 한국문화제 개최: (’21년 안) 80억 원(신규)

- 동반성장 디딤돌 및 신한류 문화다리 사업: (’21년 안) 25억 원(신규)

 

인공지능·실감콘텐츠, 연구개발 지원으로 미래먹거리 육성

 

5세대 통신 상용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음악게임영상문화콘텐츠와 인공지능, 위치기반 서비스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실감콘텐츠를 문화콘텐츠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게임 분야는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신기술 기반 게임제작 활성화와콘솔 및 아케이드 시장 구축을 위해 게임 제작지원사업을 지원하여 한(K)-게임의 경쟁력 강화 및 중소기업 성장을 도모한다.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높아진 비대면 문화수요를 감안해 문화술 실감서비스 기술개발도 새롭게 지원해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문화산업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실감콘텐츠 기술을 육성할 예정이다.

 

* 인공지능·실감콘텐츠 등 미래먹거리 사업

- 인공지능 연계 콘텐츠 확산 기반 조성: (’21년 안) 55억 원(신규)

- 5세대 통신(5G) 위치 기반 실감서비스 개발 지원: (’21년 안) 54억 원(신규)

- 게임산업 제작지원: (’20) 127억 원 (’21년 안) 242억 원

- 문화예술 실감서비스 기술 개발 : (’21년 안) 52억 원(신규)

 

문체부 연구개발 편성예산안은 1,129억 원으로 최초로 1,000억 원을 돌파했다. 특히, 체육 분야는 지역사회기반 장애인 재활운동 서비스 기술개발’, 비대면 스포츠 서비스 핵심 기술개발등 첨단기술 기반 스포츠산업 육성을신규로 지원해 경쟁력을 강화한다.

* 문체부 연구개발(R&D) 예산 : (’20) 955억 원 (’21년 안) 1,129억 원

 

분야별 정책금융 및 산업 육성 지원으로 성장동력 확보

 

콘텐츠산업의 제작·유통 활력 제고를 위해 투·융자 정책금융 지원이 확대된다. 모태펀드 문화계정의 출자예산 확대와 문화산업 완성보증 계정 출연금도 증액했다. 방송영상콘텐츠 분야는 실감형 콘텐츠 및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특화콘텐츠 제작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관련 업계와 협업을 통해 국내 방송영상콘텐츠의 해외수출 확대를 위해 현지어 재제작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모태펀드 문화계정 출자: (’20) 1,130억 원 (’21년 안) 1,278억 원

* 문화산업 완성보증 출연: (’20) 200억 원 (’21년 안) 250억 원

*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지원: (’20) 285억 원 (’21년 안) 393억 원

 

코로나19 이후 침체된 관광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관광기업 육성을 위해기업의 혁신적인 전환과 성장, 해외 진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스포츠 창업 지원사업과 스포츠 중소기업 지원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 가능성이높은 기업을 적극 지원한다.

 

* 관광사업 도약 및 성장 지원: (’20) 108억 원 (’21년 안) 172억 원

* 스포츠산업 활성화 지원: (’20) 556억 원(’21년 안) 601억 원

 

4

 

한국어·한국문화 보급, 국제스포츠대회 지원으로 문화선진국 위상 제고

 

신남방·신북방 지역 한국어 교류확대 및 쉽고 바른 우리말 쓰기 확산

 

우리나라의 문화자원인 한국어세계화로 문화 위상 제고를 도모한다. 신남방·신북방 지역에서 한국어교원, 현지어-한국어 통번역 인력을 육성한다.올해 최초로 200개소를 돌파한 세종학당은 내년에는 235개소로 늘어난다.

 

* 세종학당: ’20213개소(신남방·신북방 81개소) ’21235개소(신남방·신북방 92개소)

 

대외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를 바르게 가꾸기 위한 국내 대상언어 사업에도 박차를 가한다. 박양우 장관 취임 이래 문체부 중점 사업으로추진하고 있는 공공언어 개선 사업을 통해 국내 신문사, 방송사 등과 함께 쉬운 우리말 쓰기 홍보를 확대하고, 공공기관의 어려운 용어 개선 및 전문용어(학술용어) 정비사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 쉬운 우리말 쓰기: (’20) 35억 원(’21년 안) 50억 원

 

주요 국제스포츠대회 참가·개최·유치 지원 성과 창출

 

국제스포츠대회 지원을 통한 스포츠강국 위상을 제고한다. 올해 유치한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개최 준비 예산 및 ‘2022 전북 아·태 마스터스대회지원 예산을 편성했으며, 주요 국제경기대회의 안전한 국내 개최 원 예산도 확대했다. 또한, 코로나19로 연기된 ‘2020 도쿄하계올림픽·럴림픽에 우리나라 대표선수단이 안전하게 참가해 마음껏 기량을 펼칠 수있도록 방역을 포함, 종목별 특별훈련, 집중관리팀 운영 등을 지원한다.

 

*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대회 지원: (’21년 안) 40억 원(신규)

** 국제대회 국내개최 지원(종목별, 지자체 개최 등 약 50): (’20) 91억 원 (’21년 안) 97억 원

 

국제교류 확대 및 공적개발원조(ODA)사업을 통한 국가이미지 향상

 

수교 계기 문화행사, 상호문화교류의 해 추진, 미래혁신 포럼 등 문화를 통해 국가 간 우호 증진 및 신뢰를 구축하고, 문화 분야 공적개발원조 사업을통해 국제사회 공여국으로서 국가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방침이다. , 내 문화예술 창작자들의 해외진출을 돕는 재외문화원 어울림 문화교류 사업(프로젝트)과 재외 한국문화원의 내외부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상으로 한국의 미디어예술과 문화를 소개하는 미디어예술 활용 한류 확산사업으로 외국인들이 한국문화를 접할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 수교 계기 문화행사 및 상호문화교류의 해 : (’20) 58억 원 (’21년 안) 67억 원

* 재외문화원 어울림 문화교류 프로젝트 : (’21년 안) 13억 원(신규)

* 미디어예술 활용 한류 확산 및 국가이미지 제고: (’21년 안) 100억 원(신규)

 

아울러, 국내외 태권도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태권도원 수련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태권체험을 운영하고, 세계태권도연맹(WT)이 승인하는 국제적 규모의 태권도 대회를 정례 유치해 태권도 모국으로서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 태권도 관광 육성: (’21년 안) 10억 원(신규)

 

5

 

문화 부문 한국판 뉴딜 추진을 통한 선도형 문화산업 육성

 

디지털, 그린, 안전망 강화 분야 51개 과제, 3,145억원 반영

 

문체부는 한국판 뉴딜(7.14, 7차 비상경제회의)정책 기조에 맞춰, 실감·융합콘텐츠 등 디지털뉴딜 분야 과제 47, 친환경 생활 SOC 구축 등 그린뉴딜 분야 과제 2, 예술인 고용보험 도입 등 안전망 강화 분야 과제 2개를 포함, 51개 세부과제(제도개선 과제 포함)를 발굴하였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 수요 급증*, 5세대 이동통신(5G)·인공지능(AI)·실감기술 등첨단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대전환등에 대응하기 위한 문화 부문디지털 뉴딜과제를 중점적으로 반영했다.

 

* 온라인/모바일 콘텐츠 이용비율:(사회적 거리두기 이전)54.8%(기간 중) 69.1%(출처)

 

문체부는 5세대 이동통신(5G)를 기반으로 증강·가상현실(AR·VR),홀로그램 등 실감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고(15개 세부과제, ‘211335억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4차 산업혁명과 문화 분야를 접목하는 융합콘텐츠도 개발 및 확산을 추진한다.(10개 세부과제, ‘21521억원)

 

또한"방역과 일상의 공존을 위한문화·예술·체육 부문의 비대면 서비스를지원하고(14개 세부과제, ’21521억원), 언어 말뭉치 빅데이터·관광 빅데이터 등문화 부문의 데이터 기반을 구축(8개 세부과제, ’21301억원)한다.

 

마지막으로 국민체육센터, 공립문화시설 등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생활 SOC)친환경 혁신을 도모하고,(2개 과제, ’21393억원), 장애인 대체자료 제작 등 문화 부문 안전망 강화(2개 과제, ’2174억원) 또한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문체부 작년과 달라지는 주요 사업 목록 >>

분야

사업명

담당자

전체

문화부문 한국판 뉴딜 사업

오종석

044-203-2279

별첨

전체

문체부 분야별 지표의 변화

이동준

044-203-2233

1

문예-1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 확대

이하영

044-203-2518

2

문예-2

한국어 진흥기반 조성 및 확산

최혜연

044-203-2532

3

문예-3

장애예술인 지원 확대

박상희

044-203-2724

4

문예-4

예술인력육성 지원 확대

조민규

044-203-2714

5

문예-5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박효진

044-203-2766

6

문예-6

문화도시 조성 확대로 지역문화 자생력 강화

이은주

044-203-2607

7

문예-7

4차산업시대를 선도하는 스마트 K-도서관 구현

고재철

044-203-2612

8

문예-8

스마트 박물관·미술관 구축 지원

김민호

044-203-2643

9

문예-9

재외한국문화원을 통한 한국문화 홍보 기능 강화

원경덕

044-203-3327

10

콘텐츠-1

미래를 선도하는 실감 콘텐츠 산업 육성

조원정

044-203-2416

11

콘텐츠-2

온라인 실감형 케이팝(K-Pop) 공연 제작 지원

조영권

044-203-2464

12

콘텐츠-3

콘텐츠기업 투·융자 지원 확대

최은상

044-203-2425

13

콘텐츠-4

세계 게임을 선도하는 한국 게임산업 육성

배승환

044-203-2442

14

콘텐츠-5

영상전문투자조합 출자 확대

최영주

044-203-2432

15

콘텐츠-6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박성욱

044-203-3236

16

체육-1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박성필

044-203-3136

17

체육-2

스포츠산업 융자

김지은

044-203-3157

18

체육-3

비대면 스포츠 시장 육성

김지은

044-203-3157

19

체육-4

국민체육센터 건립 지원

정현자

044-203-3124

20

체육-5

생활체육 프로그램 지원

박성필

044-203-3136

21

체육-6

스포츠윤리센터 운영

김구환

044-203-3117

22

체육-7

태권도 관광객 유치 확대

이동희

044-203-3165

23

체육-8

체육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

허권

044-203-3179

24

관광-1

관광한국 실감콘텐츠 제작

정영균

044-203-2855

25

관광-2

관광산업 융자지원 확대

변상봉

044-203-2821

26

관광-3

스마트관광도시 조성 확대

장새미

044-203-2816

27

관광-4

열린관광환경 조성 확대

장새미

044-203-2816

28

관광-5

지역 관광거점 육성

조상훈

044-203-2893

29

관광-6

관광기업 혁신 성장 및 해외 진출 기반 마련

민창기

044-203-2865

30

관광-7

지역 특화형 숙박시설 조성

윤숙일

044-203-2870

31

 


 

 

 



첨부파일 아래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세요.

  • 붙임_1_작년과_달라지는_주요사업.hwp (592.0K)

  • 붙임_3_문체부_예산안_정보그림인포그래픽_pdf_합본.pdf (12.6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