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공공도서관 기반시설과 서비스 관련 지표 꾸준히 개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모/전시

공공도서관 기반시설과 서비스 관련 지표 꾸준히 개선

  • 편집부
  • 등록 2020.07.30 12:40
  • 조회수 200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대관)과 함께 ‘2020(’19년 기준) 공공도서관* 통계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기반과 서비스 관련 지표는 꾸준히 개선되어 지식정보사회, 문화예술사회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도서관 확충에 따라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단위: , ,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연평균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공공도서관 수

978

1,010

3.3

1,042

3.2

1,096

5.2

1,134

3.5

3.8

1관당

인구수*

52,688

51,184

-2.9

49,692

-2.9

47,287

-4.8

45,723

-3.3

-3.5

도서(인쇄)

자료 수

93,838,190

98,823,835

5.3

104,965,121

6.2

110,329,315

5.1

115,084,930

4.3

5.2

정규 사서

직원 수

4,073

4,277

5.0

4,461

4.3

4,792

7.4

5,090

6.2

5.7

프로그램 수

91,228

93,225

2.2

94,558

1.4

93,423

-1.2

98,499

5.4

2.0

* 1) 각 지자체의 연도별 주민등록 인구수(행정자치부)를 연도별 공공도서관 수로 나눈 값임 

 2) 1관당 인구수가 적을수록, 증감률이 낮을수록 공공도서관 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2019년 공공도서관 수 1,134개관, 전년 대비 3.5% 증가

 

공공도서관 수는 20181,096개관에서 20191,134개관으로 38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전년 대비 3.5% 증가) 전국 인구 대비 공공도서관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는 45,723명으로 전년 대비 봉사대상 인구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공공도서관 이용객이 더욱 편안하고 쾌적하게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와 서울의 공공도서관 수가 가장 크게 증가

 

지역별로 공공도서관 수를 살펴보면, 경기 277개관, 서울 180개관, 경남 72개관, 전남 70개관, 경북 66개관, 충남 63개관 순으로 공공도서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공공도서관은 경기지역에서 13개관, 서울지역에서7개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도권 지역의 도서관 확충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1관당 봉사대상 인구수를 볼 때여전히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의 공공도서관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국민 1인당 장서 수 2.22권으로 4.2% 증가

 

공공도서관의 장서 수는 약 11,508만 권(전년 대비 3.3% 증가)이며, 1관당장서 수는 101,486권으로 0.8% 증가,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2.22권으로 4.2%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공도서관 수뿐만 아니라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증가해 공공도서관의 전반적인 기반시설과 서비스가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 공공도서관 1관당 장서 수, 국민 1인당 장서 수

(단위: , , , %)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증감률

장서 수

93,838,190

98,823,835

104,965,121

111,360,408

115,084,930

3.3

1관당 장서 수

95,949

97,845

100,734

100,665

101,486

0.8

국민 1인당 장서 수

1.82

1.91

2.03

2.13

2.22

4.2

* 출처: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2020)

 

2019년 공공도서관 직원 수 17,558, 1관당 직원 수 0.4명 증가

 

공공도서관의 직원 수(사서직, 행정직, 전산직, 기타)17,558명으로 201816,576명에서 982명 증가했다. 이는 1관당 직원 수로 살펴보면 15.5명으로 201815.1명에서 0.4명 증가한 것이다. 공공도서관 직원 중 사서직(정규직 + 비정규직)6,794명으로 1관당 사서직 직원 수는 동일한 것으로조사됐다.

 

 <4> 공공도서관 1관당 방문자 수

(단위: , )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방문자 수(A)

281,672,237

282,040,395

272,068,981

277,797,323

284,411,731

공공도서관 수(B)

978

1,010

1,042

1,096

1,134

1관당 방문자 수(A/B)

288,008

279,248

261,103

253,465

250,804

* 출처: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2020)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통계조사 결과를 도서관 정책 개발과 도서관동향 및 현안에 대한 보고서 제작 등에 활용해 도서관 통계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아직 코로나19가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면 방식을 통한 국민들의 독서환경 서비스 요구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여 공공도서관이 변화에 발맞춘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도서관 통계조사는 공공도서관의 자료·시설·인력·예산·이용자·취약계층 및 전자서비스 등에 대한 통계를 2008년 국가통계로 승인받은 이후 매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조사 결과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http://libstatic.go.kr)에서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