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화요연재] 무세중과 전위예술(10) 극단 '민족' 발기 취지문(1971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요연재] 무세중과 전위예술(10)
극단 '민족' 발기 취지문(1971년)

1971년 5월18일부터 매주 화요일 오후 8시
무교동 영보다방 5층 소극장 사랑방

  • 특집부
  • 등록 2024.04.16 07:30
  • 조회수 1,161

ghl.jpg

 

이 땅에 신파 내지 신극이란 이름으로 서구 근대극의 물결이 발을 들여는 것이 일제의 상륙과 같이 힘 부끄러움의 첫 발자욱이었다.


그동안 숱한 민족적 수난들을 겪어오면서 연극 예술은 그때 그때의 정세와 숨박꼭질하며 어렵게 명매 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그 명맥속에 담아야 할 의지들이 정직하지 못하였고 그 지표마저 불투명하였음 전통극에 대한 의식적인 외면과 몰이해, 그리고 전문화될 수 없는 연극취향의 무분별한 상황속에서 방황 음을 보아왔다.


그 하나는 소위 신파라하여 대중의 비위를 긁어주거나 마무려버렸던 흥행적 연극과 다른 하나는 연어 인의 입맛과 말초감각에 기생하여 안일한 작업으로 경주하여온 귀족적 연극들이 바로 그렇다.


그런점에서 극단 '민족」은 다시금 이와 같은 경위와 과정을 반복할 수는 없을뿐 아니라 응당 있어야 제시의 어려운 역을 자청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민증이 바라고 요구하는 절실한 생활과 그 구체적당 에 접근하여 보다 진취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항상 역사의 눈금이어야겠다는 점에서 우리의 작업은 활의 무대이며 사회비판의 광장으로서의 매개체가 되어야겠다는 것이다.


이제 연극은 종합예술의 안일성에서 탈피하여 행동예술, 참여예술, 메디아예술의 본질적인 전진으로 같은 방향과 입장을 밝히면서 극단 민족」은 출발을 기하고저 한다.


첫째, 본 극단은 보다 큰 차원에서 민족극 수립을 목표로 하는 바 바야흐로 닥친 시대적 자각과 사명 위하여 전통문화의 유산인 우리 전통극을 젊은 세대에 이어주고 점진적으로 민속극의 무대화에 총력한 둘째, 민속극 전수로 수련된 연기와 함께 우리 민속극에 내포된 모든 탁월한 연극예술적 부분(때이 즘 : 연출, 연기, 창법, 무대, 화술, 의상, 가면, 조명 등)을 재현 모든 창작극과 번역극에 접목하며


세째, 되도록 창작극(번역극도 포함)은 사회 문제극(쏘시알 풀레이)과 음악무용극(뮤지칼 드리 격을 띠는 것으로서 서사적인 극형식을 취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관객과 같이 호흡, 비판하고 넷째, 모든 번역극도 되도록 번안극으로 편하여 우리의 몸짓과 율동과 생활감정에 맞도록 할 것이며 다섯째, 이상과 같은 방향을 재검토하기 위하여 본 극단은 민족극연구회라는 연구체를 두어 이 방 둔 연구가나 관심있는 사람들을 초빙, 수시로 쎄미나를 열어 충분한 연구를 거듭하고 사전에 제작을 토리도 심의 검토하며 또한 사회 각계 각층과의 대화의 광장을 만들어서 극단 주체의 기획진과 제작진 자료를 제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도록 한다.


이제 닥칠 통일의 문턱에서 우리는 연극이라는 참된 메디아를 통하여 우리의 염원, 의지 그리고 방 우는 민족예술의 시련대가 되


1971년 2월 김세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