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4 (화)

[화요연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2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9) - “악학궤범은 새로운 가치 창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요연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2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9) - “악학궤범은 새로운 가치 창출”

  • 특집부
  • 등록 2024.05.21 07:30
  • 조회수 16,045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한류문화 칼럼니스트)

 

그동안 "시용향악보오음약보정간보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 계속해서 고려가요의 음악적 특징으로 나타난 하강종지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겠다. ‘하강종지에서 하강(下降)’이라는 의미는 높은 음에서 2~3개의 음을 아래쪽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말하며, ‘종지(終止)’는 악곡을 끝마치게 하는 형태를 말한다. 따라서 하강종지는 높은음이나 중간음에서 2~3개의 음을 아래로 연결하여 악곡을 끝맺음한다. 이런 식으로 음악이 끝맺음하는 형태를 종지형(終止形, cadence)라고 부른다. cadence(케이던스)의 사전적 의미는 억양, 리듬, 운율이라고 하는데 음악적 용어로는 종지형을 ‘cadence’라고 표현한다.

 

국악의 종지형에는, (1) 계단식 하강 종지형 (2) 4(5)하강 종지형 (3) 상행 종지형 (4) 주음으로 시작해서 주음으로 끝나는 종지 등이 있다. 위의 4가지 종지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다.

 

(1) 계단식 하강 종지형은 위에서 설명한대로 높은음에서 2~3개의 음을 아래 쪽으로 연결하여 악곡을 끝마치는 종지를 말한다. (2) 4(5)하강 종지형은 위의 음이나 음에서 다른 음을 거치지 않고 바로 주음인 음으로 떨어져서 끝마치는 종지를 말한다. (3) 상행 종지형은 아래의 음이나 , 3, 혹은 4도 아래 음에서 위의 주음인 로 껑충 뛰어서 끝마치는 종지를 말한다. (4) 주음으로 시작해서 주음으로 끝나는 종지형은 의식음악이나 제례음악 등 주로 잔잔한 음악의 종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종지법이다.

 

대표적으로, (1) 계단식 하강 종지형에 해당하는 곡들을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한대로, 고려가요 중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귀호곡’ ‘유구곡’ ‘사모곡’ ‘서경별곡’ ‘청산별곡등이 있다. 그리고, (2) 4(5)하강 종지형과 관련한 곡들은 주로 시조가 이에 해당된다.

 

image0255.jpg

 

지금까지 하강종지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굳이 하강종지에 대해서 설명한 이유는 삼국시대의 신라향가와 백제가요가 고려가요의 이름으로 최초의 정간보인 "시용향악보에 수록되었는데, 그 음악적 특징 중의 하나가 하강종지이기 때문이다. 하강종지어사용 토리에서 메나리 토리로 진화하여 노래 불려지는 오늘날의 경기민요와 서도민요 중에서 그 특징적 요소가 나타난다.

 

경기민요와 서도민요 중에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는 위에서 설명한 (1)번의 계단식 하강종지형이다. 그 종지형태의 계명은 라솔미’, ‘미래도’, ‘도라솔이다. 그렇다면, 지난 회에서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귀호곡(가시리)’의 정간보에 대해 설명을 했는데, 귀호곡(가시리)’을 알아보기 쉽게 오선보로 고쳐서 하강종지를 확인해 보겠다.

 

 

위의 악보에서 마지막 마디는 계명으로 도 라 솔로 표기되어 있다. ‘하강종지로서 계단식 하강종지형인 것이다. 삼국시대를 거쳐서 고려가요의 음악적 특징으로 정착된 어사용 토리(調)’는 현재의 메나리 토리(調)’로 진화하여 경기민요와 서도민요 중의 특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으로서 하강종지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다.

 

지금까지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9회에 걸쳐서 장황하게 제안하였다. 그 제안의 내용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한글날을 훈민정음이 반포된 날로 정했듯이, ‘국악의 날을 악학궤범이 반포된 날로 정하자는 것이다. ‘악학궤범은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구전하여 오던 민속음악 중 명곡들을 수록하였다. 그야말로 악학궤범은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한 것이다.

 

악학궤범 서문에 "성현이 14938월 상한에 서문을 작성했다는 기록이 있다. 1493년 상한의 마지막 날인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양력으로 929일이 된다. 929일을 국악의 날로 정하자는 것이다. ‘한글날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했다. 이것이 국악의 날의 날짜를 정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외부인사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