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유지숙 전승교육사 제자발표회 '청출어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유지숙 전승교육사 제자발표회 '청출어람'

유지숙 명창의 소리인생 60년
(사)향두계놀이보존회(이사장:오현승) 주관
9일 (일) 오후 4시 한국문화의 집( KOUS)

청출어람 포스터.png

 

(사)향두계놀이보존회(이사장:오현승) 는 오는 9일 (일) 오후 4시 강남구 테해란로 한국문화의 집( KOUS)에서 북녁의 소리 '서도소리' 향연을 펼친다. 전석 초대 무료공연이다.


북녘 땅, 이북의 소리로 불리는 '서도소리' 전승교육사이자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인 유지숙 명창의 소리인생 60년을 되돌아 보며 제자들과 함께 '서도소리'의 예술성을 알리고자 한다.

 

점점 잊혀져가는 평안도·황해도 민요를 계승하여 실향민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대중에게 서도소리의 예술적 가치를 알리고자 한다.


주최 측은 "이러한 의미를 널리 공유하고자 국가무형문화재 서도소리 유지숙 전승교육사 제자들이 '청출어람'에 담아 풀어보고자 한다"라고 전했다.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서도소리는 평안도와 황해도 지역, 즉 서도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 잡가로 민간에서 주로 불린 노래이지만, 지금은 직업적 소리꾼들 중심으로 불려지고 있다.  서도소리의 미묘한 장식음을 잘 옮기기 어렵기 때문이다. 얕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뽑다가 갑자기 속소리로 가만히 떠는 창법 등이 특징이다. 


평안도의 민요는 '수심가'가 대표적이며 사설이 길고 합창으로 되받는 소리가 없어 집단적인 노작가요의 형식과 다르다. 또, 장단도 일정하지 않고 사설에 맞추어 적당히 친다. 황해도의 민요는 '산염불'과 '긴난봉가'가 대표적이며 장단은 각각 중모리나 굿거리 같은 일정한 장단이고,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1688767849248.jpg
(사)향두계놀이보존회 이사장 오현승

 

'긴아리'와 '자진아리'는 평안도 용강과 관서지방의 구전민요로서 토속적 소박한 맛이 간직된 소리이다. 그러나 내면에는 님을 그리워하는 처연함과 우아미가 공존한다.


북방 대륙과 인접한 서도 지역민들의 강건한 심성이 선율 속에 잘 드러나 있다. 짧은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육성() 창법으로 부르고 떠는 목, 꺾는 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학계에서는 긴아리와 자진아리를 서도아리랑으로 보기도 한다.


조개는 잡아 젓 절이고/ 가는 임 잡아 정 들이자/ 쓰고 달고야 된장 먹디/ 갈거이 새낭은 뭘 하레 왔음나(긴아리)

연분홍 저고리 남길동 소매/ 너 입기 좋고 나 보기 좋구나/ 시집의 살이는 할지 말지 한데/호박의 박넝쿨 지붕을 넘누나(자진아리)


'긴아리'는 평남 무형문화재 제2호인 서도소리극 ‘향두계놀이’에서 빠른 한배의 '자진아리'와 짝으로 불린다. 현재 서도 소리 보유자로 지정된 김광숙과 전승교육사 유지숙이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육자배기가 전라도 민요를 대표한다면 수심가는 서도민요를 대표하는 음악이다.  


서도민요 창법의 일반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서도민요의 백미 '수심가'의 애절한 선율은 조선말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최고 인기를 누렸다. 당시 1926년 영화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이 나오기 전까지 최고의 유행가였다. 

 

조선말 최고 유행가 '수심가'의 진수를 선사하는 첫 순서가 기대된다. 

 


1. 수심가, 엮음수심가(소리_이나라 장효선)

2. 산염불, 자진염불 (소리_김유리 류지선 김무빈)

3. 긴아리, 자진아리 (소리_김초아 박지현 최민정)

4. 긴난봉가, 자진난봉가(소리_최정아 김세윤 김미림)

5. 뒷산타령, 경발림(소리_박세음 황승환 황다예 백서연 박세인 이시은 최유담 이인애)

6.향두계놀이(소리_이나라 장효선 김유리 류지선 김무빈 김지원 이재득 이서현 최윤영 윤종혜 강은숙 김정순 박영춘 김훈의 이근호)

7. 개성난봉가 양산도 사설난봉가(소리_유춘랑 이서현 윤종혜 최윤영 정인혜 강은숙 박영춘)

8. 야월선유가 간장타령 금드렁타령(소리_조윤희 염미향 주영민 조수자 정세련)

9. 영천아리랑, 온성아리랑, 해주아리랑(소리_전옥희 김진숙 송지우 박세희 이향숙 조이임 박양자 이예리 김명자 남상숙 김연수 김정희 이서령 김훈의 이근호)

10. 배치기(소리_오현승 강석 김지원 이재득)

11.술비타령, 자진술비타령(전 출연진 대합창)

 

KakaoTalk_20230706_1719166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