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도자의 여로 (103) 백자철화초문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자의 여로 (103)
백자철화초문호

  • 특집부
  • 등록 2023.07.07 07:30
  • 조회수 6,416

때 이른 더위라도 먹은 탓일까

 

이규진(편고재 주인)

 

중국 도자기 중에는 박태(薄胎)자기라는 것이 있다. 일명 단벽(蛋壁)자기나 탈태(脫胎)자기라고도 하는 것이다. 반 건조 된 기물을 물레 위에 거꾸로 얹어 놓고 돌려가며 표면을 윤기가 날 때까지 칼 같은 것으로 두께가 균일하게 다듬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이배(利坯)라고 한다. 이처럼 만들어지는 얇은 자기에 암화(暗話)라는 것이 있는데 평소에는 보이지 않다가 환한 곳이거나 불빛이 있으면 빛이 투과되어 문양이 나타난다. 박태자기는 두께가 0.15mm 밖에 안 되는 것이 있을 정도로 섬세하고 아름답기는 하지만 손으로 조금만 힘을 주어도 부서질 정도로 약하다. 실용성 보다는 도공이 자신의 기술을 극한까지 밀어붙여 인간의 한계를 시험한 도자기들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도자기에 일찍이 박태자기 같은 것은 없었다. 도공이 자신의 기술을 뽐내기 위해 극한까지 밀어 붙였던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완벽에 대한 조바심 같은 것은 애당초 없었던 것이다. 그렇다 보니 조금은 엉성해 보이기까지 한 것이 우리 도자기의 특징이다. 분청이 그렇고 달항아리가 그렇고 고려다완이라고 하는 것들이 그렇다. 깔끔하고 정교한 맛은 없어도 손맛이라고나 할까 푸근하면서도 정겨운 느낌이 든다. 빤질빤질해 밉상스러운 인간이 아니라 어리숙해 보이지만 정감이 가고 무언가 소통이 될 것 같은 사람 냄새가 풍기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우리 도자기에 박태자기가 없다고 해서 아쉬워 할 필요도 부러워 할 필요도 없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도자의 여로 103  백자철화초문호.jpg
백자철화초문호편(편고재 소장) 굽지름x몸체지름x높이 5x10x7Cm

 

이런 우리 도자기의 특징을 두고 여러 사람의 언급이 있지만 핵심을 짚은 글 중의 하나가 이태준의 <고완(古翫>이라는 수필에 나오는 한 구절이 아닐까 생각된다. "옛 물건의 옛 물건다운 것은 그 옛 사람들과 함께 생활한 자취를 지녔음에 그 덕윤(德潤이 있는 것이다. 외국의 공예품들은 너무 지교(至巧)해서 손톱 자리나 가는 금 하나만 나더라도 벌써 병신이 된다. 비단옷을 입고 수족이 험한 사람처럼 생활의 자취가 남을수록 보기 싫어진다. 그러나 우리 조선시대의 공예품들은 워낙이 순박하고 타고나서 손때나 음식물에 절수록 아름다워진다” 조선 도자기가 왜 순박하고 왜 그 순박함이 오히려 아름다울 수 있는지를 이처럼 간명하게 정리한 글이 또 있을까.


백자철화초문호편은 17세기 지방산이다. 굽은 모래받침에 평굽이며 주구는 이른 시기의 달항아리에서 보이는 것처럼 주판알처럼 밖으로 말아 붙인 형태다. 유색은 회색이 많이 가미된 회백색이며 크기는 작은 주먹만 한 것인데 몸체 양쪽에 철화로 초문을 넣고 있다. 그런데 그 무심한 듯 그려진 철화 초문을 보면서 나는 묘하게도 피카소가 떠오른다. 백자철화호편과 저 세계적인 화가 피카소와 무슨 상관이 있다는 것일까.


데이빗 더글러스 던컨의 사진전 도록 <피카소의 비밀, 피카소의 사랑>에는 피카소가 식사하는 모습이 찍힌 사진이 한 장 보인다. 식사가 끝나 갈 때의 사진인지 칼과 포크가 놓인 접시는 부스러기만 조금 남아 있을 뿐 비어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두 손으로 양 끝을 잡고 피카소가 입으로 뜯고 있는 생선이다. 살은 이미 입맛을 돋우며 입안으로 사라져 버렸는지 생선은 앙상한 뼈만 남아 있다. 새하얀 등뼈를 중심으로 빗살처럼 양옆으로 퍼져 있는 뼈들이 흡사 조각을 입에 물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내가 백자철화초문호편의 철화무늬를 보면서 피카소를 떠올린 것은 바로 그 점이다. 철화무늬에서 보이는 초문의 중심선과 좌우의 곁가지들이 흡사 피카소가 입에 물고 있는 생선뼈와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뽐낼 것 하나 없는 백자철화초문호편을 보면서 중국의 백태자기를 생각하고 피카소까지 떠올려 보다니 때 이른 더위라도 먹은 탓일까. 더 어지러워지기 전에 어디 시원한 수박 화채라도 한 사발 마시면서 머리라도 식혀 보아야 할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