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5 (수)

정기연주회 "통일 그날이 올 때 까지" 2003년 7월 14일 (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악뉴스

정기연주회 "통일 그날이 올 때 까지" 2003년 7월 14일 (월)

  • 김지연
  • 등록 2003.07.11 18:19
  • 조회수 2,436
일시 : 2003년 7월 14일 (월) 늦은 7시 30분 장소 : 평송청소년 수련원 대강당 주최: 대전광역시 , 충청방송 주관 : 대전시립연정국악연구원 지휘: 신용님 집 박: 양 재진 사회: 배유선(k b s)아나운서 1. 관현 합주 : 수연장 2. 궁중 무용 : 현 천화 재현안무 /윤 영 옥 3. 판 소 리 : 심 청 가 노 래 / 김 미숙 고 수 / 김 준모 4. 가야금병창 특별출연 / 목 원 대학교 가야금 병 창단 장 단 / 김 형준 5. 생황협주곡 / 풍향 작곡 / 이 준 호 생황 / 김 남 희 6.관현악 / 통일. 그날이 올 때까지 3(초 연곡) 작곡 / 황 의 종 ㅁ★ㅁ 연 주 곡목 해설 1 관 현 합주/수연장지곡 수연장자곡은 조선조시대 (ad1392-1910)궁중연례 행사 때 연주되던 곡으로 무용반주 음악도 사용되었다 보 허 자리는 음악에서 파생된 곡이며 도드리 (미 환입) 라는 다른 이름도 있고 한 옥 타 브 위로 연주하면 윗 도드리(세 환입)라고도 부른 다 . 곡상은 화평 정대하면 근엄한 것이 특징이다 2 궁중무용/ 헌천화 헌천화는 조선 말기 순조( 純祖)때 창제 되었다.순조무자진작의궤에 처음 소게 된 궁중정재의 하 나이다 앞에 헌화탁을 놓고 선모(仙母)1명, 협무 (俠 務) 2명, 집 당기 2명으로 구성되었다 선모가 천화를 드리며 축복하는 내용으로 되었다 헌 천화의 무도(無 圖)와 예제 (睿製) 인 창사 (唱詞)는 (순조 무자 잔 작의 궤)에서 보이고 그 무보(舞譜)는, 고 계사 작 정재무도 홀기에 전하고 있다 고려시대 이래당악정제의 하나인 헌 선도 유사한 점이 많다 3 판소리/심청가 판소리는1인의 창자가 북 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의 국가를 부르는 것으로 소리, 아니리 (독백), 발림(몸짓)으로 구성된 극적음악이다. 본래는 12마당 있었으나 현재 전 하는 것은 춘향가, 심 봉사. 홍보가, 수궁가, 적 벽기의 5 미 당 뿐이다,이중 심청가는 심 봉사가 무남독녀 심청을 인당수의 제물로 빼앗기고 심술궂은 뺑 덕 어미의 꾀 임의 빠져 가산마저 잃었으나 황성의 맹인잔치에 가서 심청도 찾고 눈도 떴다 는 효를 주제로 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4.가야금 명창 병창이란 단가나 판소리의 한 대목을 따로 떼어 자신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면 그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는 연주방식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야금병창을 일컫는다, 여성의 부드럽고 맑은 음색과 가약금의 아름다운 가락이 함께 어우러지는 특이한 음악형식이다. 5,생황합주곡/풍향 살갗에 스치는 바람의 그 부드러움에 소리의 정감이 샬갑게 느껴지고 우리는 항상 그 소리에 민감해지다. 반복되는 그 바람의 향기를 느끼면서 24개의 죽관에서 뿜어 나오는 소리의 조화 그리고 자연 친화 적인 악기들과의 대화가 애기 꽃을 피우고 리듬을 통한 주고받음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을 느끼게 해주는 모두3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6.관현악/ 통일. 그 날이 올 때까지 3 이곡은 지구상의 마지막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통일을 염원하며 쓴 국악 관현악곡이다 천년을 맞아 통일을 기원하는 (통일을 위하여) 와 (통일 그 날이 올 때까지1,2,)를 작곡하였는데 이번 작품은 앞의 곡에서 다 하지 못한 이야기를 관현악으로 표현하고 있다 제1장“그리운 고향”은 가고 싶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즐거웠던 추억을 제2장“이별”은 고향산천과 사랑하는 사람은 두고 떠나는 아픈 마음을, 제3장“통일의노래”는 남과 북이 하나 되는 희망의 마음을 노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