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도자의 여로 (88) 조선청자상감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자의 여로 (88)
조선청자상감편

  • 특집부
  • 등록 2023.03.24 07:30
  • 조회수 75,568

시원한 해답이 있을 리는

 

  이규진(편고재 주인)

 

어떤 사물을 바라볼 때 직관적이어야 하느냐 분석적이어야 하느냐 하는 문제는 간단치가 않아 보인다직관은 전체와 통하고 분석은 부분과 연결된다고 볼때, 그 느낌은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그렇다고 하면 우리 도자기를 볼 때 어떻게 보는 것이 바람직할까직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가령 여기 백자달항아리가 한 점 있다고 하자기형만을 놓고 보면 아름답지가 않다우선 기우뚱한데다 중간에는 이은 자국도 보여 반듯하지가 않다색깔만을 놓고 보면 이 또한 아름답지가 않다색깔도 일색이 아니고 얼룩이 지는가 하면 탁한 느낌이다굽을 들여다보면 박제가가 '북학의'에서 일찍이 지적했듯이 모래가 묻어 있고 깨끗지도 않은데다 지저분한 느낌마저 든다이처럼 부분적으로 뜯어보면 결코 아름답지가 않은 것이 우리 도자기다그런데 이를 놓고 전체적으로 보면 아름답다기형이며 색깔이며 굽이며 부분적으로 볼때는 어설퍼 보이고 남루해 보이는 것들이 서로 보완을 하며 잘 익어 농익은 맛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신기하면서도 묘한 어울림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따라서 우리의 도자기를 볼 때는 전체적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지 부분적으로 보아서는 낭패를 하기가 십상이다.

 

우리 도자기를 분석이 아니라 직관적으로 보아야 하는 것은 그 만드는 과정과도 일맥상통하는 면이 없지 않아 있어 보인다우리의 전통 도자기는 도공이 이것들을 만들 때 섬세하게 부분에 신경을 쓴 듯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알려진 바로는 숙달된 도공은 하루에 사발 정도는 3~4백 개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이 정도를 만들려면 수비된 태토를 회전하는 물레 위에 얹으면 그대로 사발이 되어 나오는 것이지 부분적으로 요리저리 잘 만들자고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그러나 일본의 라꾸 다완 같은 것은 만드는 방식이 다르다태토를 손과 주걱으로 이리저리 다듬고 어루만져 만든다그러니까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여기는 이렇게 저기는 조렇게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며 만드는 것이다그런 것들과는 달리 우리의 도자기는 만드는 과정부터 상대방을 의식치 않고 대범하다 보니 보는 방법도 직관적이어야 하는 것이다그런데 우리 도자기를 아무리 직관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지만 이는 온전한 도자기를 두고 볼때 이야기요 도편이 되면 그럴 수가 없다어짜피 부분적인 것이니 전체적으로 접근을 할 수가 없는 것이다따라서 도편에 관심이 많다 보니 아무래도 내게는 직관적인 것보다 분석적일 때가 많은데 아쉬운 점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화면 캡처 2023-03-23 214809.jpg
백태청자상감편(편고재 소장) 가로x세로 (좌)7.54x12Cm (우)9.5x10Cm

 

조선청자상감편 두 점은 모두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우산리 4호에서 나온 것들이다이른 바 백자 태토에 청자 유약을 입힌 백태청자라고 하는 것인데 여기에 각각 흑상감이 들어가 있으니 귀한 것이다상감기법은 고려청자를 유명케 한 장식기법 중의 하나로 그릇 표면에 도구를 이용해 문양을 파낸 후 백토(白土)와 자토(赭土)를 채워 넣는 기법으로 소성 후 백토는 흰색으로 자토는 검은색으로 나타나 흑백상감이 된다흑백의 상감기법은 고려청자를 이은 분청에서도 보이지만 백자에서는 흑상감만 더러 보일 뿐이다더구나 흔치 않은 백태청자에 흑상감의 문양이 들어간 것은 여간 귀하고 보기 힘든 것이 아니다아주 오래 전에 만난 것이건만 아직도 소중히 간직해 오고 있는 것은 그런 귀한 인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점 모두 백태청자로 부분적으로 남은 것이어서 기형은 알 수가 없다따라서 짐작컨대 장군병 같은 것이 아닐까 추측을 해볼 뿐이다좌측의 것은 흑상감으로 위에 세 줄과 아래 두 줄 사이에 세로로 두 줄을 그어 구분된 칸을 만들고 그 사이에 문양을 넣은 양식으로 보인다현재 남아 있는 문양은 줄기와 잎과 열매인데 열매는 동글동글하고 잎 끝은 면상감을 하고 있다유색은 엷은 청색이며 빙렬은 없는 편이다우측의 것은 좌측의 것보다는 청색이 약간 짙은 편인데 고운 빙렬이 전면을 뒤덮고 있다여기에 흑상감으로 바른쪽에서부터 큼직하게 수복(壽福)을 새겨 넣고 있는데 글자는 훼손된 부분이 있어 온전치 않지만 남은 모양만으로도 알아보는 데는 지장이 없다좌측의 문양도 그렇지만 우측의 수복명 상감도 조선청자에서는 현재까지 온전한 것이 알려져 있는 것이 없어 보기 힘든 귀물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다.


백태청자는 조선 초부터 시작해 관요에서는 17세기 까지 보이는 기종이다하지만 부분만 남아 있다 보니 기형도 번조받침 등도 알아 볼 수가 없어 여간 아쉬운 것이 아니다다행인 것은 쪼각이기는 하지만 남은 것만으로도 밉지는 않아 보인다는 점일 것이다그렇다고 하면 수수이삭 같은 열매들은 무엇이며 수복이 의미하고자 하는 것은 또 무엇일까수복은 말할 것도 없이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있다하지만 거북이 소나무 달 해 사슴 학 등과 같은 십장생 문양을 통해 수복을 기원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볼 때 백태청자에 직접 수복을 새겨 넣었다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어서 예외적인 것이라는 느낌이 강하다평균수명이 나날이 늘어가는 요즘의 세태와 더불어 도자기를 빚던 아득한 세월 저편의 선조들과 요즘의 우리가 생각하는 장수와 수복의 의미는 과연 얼마나 같고 얼마나 다를 것인가두 점의 조선청자상감편 앞에서 상념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지만 물론 시원한 해답이 있을 리는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