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이무성 화백의 춤새(45) 이병옥 명인의 '송파산대놀이' 춤사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무성 화백의 춤새(45)
이병옥 명인의 '송파산대놀이' 춤사위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탈춤'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송파산대놀이' 보유자 이병옥

  • 특집부
  • 등록 2023.03.29 07:30
  • 조회수 9,486

춤새-이병옥명인 송파산대놀이 (1).JPG

  

송파산대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송파산대놀이는 약250여 년 전부터 송파진(현재 잠실 석촌호수 남쪽 주변, 당시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한강 줄기)에 서던 송파장을 중심으로 연희되어온 산대탈놀음이다. 연희 형태는 춤이 주가 되고 시대상을 풍자하는 재담과 창, 등 여러 가지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반주음악은 삼현육각(三絃六角 장구피리2, 대금해금)의 악기구성으로 염불 12타령굿거리장단이 주가 되며당악자진타령자진모리휘모리장단 등이 쓰인다

송파산대놀이 춤사위는 염불장단 거드름춤, 타령장단 깨끼춤, 굿거리장단의 건드렁춤으로 분류되며, 기본춤사위는 주로 타령장단의 깨끼춤으로 화장무, 자진화장, 여닫이, 배치기, 어깨치기, 곱사위, 멍석말이, 깨끼리, 거울보기, 빗사위, 팔뚝잽이 등 40여종이 있고 배역마다. 독특한 배역 춤사위가 있다. 즉 상좌 합장재배, 옴중 용트림, 노장 복무, 소무 자라춤, 샌님 삼진삼퇴,  말뚝이 채찍춤, 완보 곤장춤, 원숭이 깡총춤, 왜장녀 배춤, 해산어멈 엉덩춤, 취발이 녹음채춤 등이 있다.

 

이병옥 (용인대학교 명예교수)

송파산대놀이 전수 교육조교 선정 (1981)

(사)국가무형문화재 49호 송파산대놀이보존회 회장 (2010-2022)

종신 국가무형문화재 '송파산대놀이' 명예보유자(2023. 7)

(송파민속보존회 이사장 ( 2010– 2022)

 

대표저서 ( 총29공동집필 35)

1982. 송파산대놀이 연구집문당.

1991. 북한의 공연예술 <무용음악 편>, 고려원(3인 공저).

1996. 한국무용사 연구<고대편>, 도서출판 노리.

2013.한국무용통사고대편민속원.

2014.Dance of Korean(영문판), 국립국악원 한국음악학 씨리즈 6(9인 공저).

2014.진주교방과 민간전승의 예술 연구진주문화연구소(6인 공저).

2015. 전통춤의 흐름과 전승현황한국전통춤협회(3인 공저)

2019.전통춤 4대 명무(한영숙강선영김숙자이매방), 한국전통춤협회(5인 공저), 민속원.

2019, 이동안 선생의 예술세계화성문화원(5인공저)

2020. 송파산대놀이 연행과 기원송파산대놀이보존회(단독 집필)

2020. 경기재인청 복원과 활용을 위한 연구오산문화원(6인 공저)

(기타 연구논문 80여 편학술발표 50여 편비평논단30여 편비평리뷰 170여 편)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