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7 (금)

‘사물놀이’와 ‘가야금’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물놀이’와 ‘가야금’을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문체부와 국립국악원, 국립국어원 힘 모아 ‘국악용어 영문 표준 번역 시안’ 마련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기반, 우리 국악의 세계화 도모

  • 편집부
  • 등록 2020.08.31 21:42
  • 조회수 723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과 함께 국악계와 공연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국악용어 300개에 대한 국악용어 영문 표준 번역 시안(이하 표준 번역 시)을 마련해 발표했다.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기반, 우리 국악의 세계화 도모

 

그동안 국악용어는 번역어의 표준이 없어 국내외 국악 문화공연과국악 보급 과정에서 다양한 영문 용어가 사용되었고, 이는 우리 국악의세계화에 걸림돌이 되어왔다. 이에 외국인들이 쉽고 편리하게 국악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 번역 시안을 마련했다.

 

표준 번역 시안은 국악용어 전체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추어 고 그 뒤에 용어의 속성을 가리키는 말을 영어로 덧붙여 설명하는 방식을기본 원칙으로 한다. ‘사물놀이‘Samullori Instrumental Music’으로, ‘야금‘Gayageum Zither’로 적는 방식이다.

 

번역 방식

국악용어

국악용어의 로마자 표기

+

후부 요소(용어의 속성) 의미 번역

사물놀이

Samullori

 

Instrumental Music

가야금

Gayageum

 

Zither(목이 없는 납작한 현악기)

 

 이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문체부훈령 제427)에서정한 자연 지명이나 문화재 등의 번역 표기 원칙과 같다.* 우리 국악용어들이 외국인들에게는 덜 알려진 상황을 고려한 원칙이며, 공공 용어 번역 전문가와 한국 방문 외국인 대상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해당 표기 방식이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 : 한라산 Hallasan Mountain, 경복궁 Gyeongbokgung Palace

 

<한국 방문 외국인 대상 국악용어 영문 번역안 선호도 조사 결과>

번역 방식

 

번역안 선호도

국어

국악용어

로마자 표기

국악용어 로마자 표기

+후부 요소 의미 번역 병기

국악용어

의미 번역

번역안 예시

대금

Daegeum

Daegeum Flute

Transverse woodwind instrument

법고

Beopgo

Beopgo Drum

The large Dharma drum played by monks

(선호도)

(37.0%)

(54.1%)

(8.9%)

 

방탄소년단 슈가의 대취타등 널리 알려진 용어는 우리말 소리만 그대로 ‘Daechwita’로 표기

 

예외적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Pansori), (Gagok), 농악(Nongak), 처용무(Cheoyongmu), 강강술래(Ganggangsullae),아리랑(Arirang)’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된 의궤(Uigwe)’, 세계적인영어사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