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공연리뷰] ‘얼쑤! 우리가락’ 랜선 국악 나들이 "지금, 여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리뷰

[공연리뷰] ‘얼쑤! 우리가락’ 랜선 국악 나들이 "지금, 여기"

남원의 주요 관광 명소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국립민속국악원 단원들이 준비한 고품격 힐링 국악/
영상을 통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국악 토크 컨텐츠 결합/전주MBC 얼쑤! 우리가락 2021. 3. 27

  • 편집부
  • 등록 2021.04.01 00:21
  • 조회수 2,417

 

지난 27일 전주MBC ‘얼쑤! 우리가락은 국립민속국악원이 준비한 랜선 국악 나들이 <지금, 여기>라는 주제로 안방에서 즐기는 고품격 힐링 국악을 선보였다. 국립민속국악원 단원이 출연하여 사회자와 토크 형식으로 진행 되었고, 남원의 아름다운 관광 명소에서 촬영한 영상이 방영되었다.  


송윤정 진도북춤’  

 

남원 혼불문학관에서 민중들이 즐겼던 민속예술 진도북춤이 첫 막을 열었다. 경쾌한 가락에는 신명과 흥이 어우러지고 춤사위에는 부드러운 곡선과  보이지 않는 직선이 교차한다처음에는 섬세하고 우아한 동작을 선보이다가 중후반에서는 점점 고조 될수록 신명이 배가 되고 흥은 곱절이 넘는다.  

 

마무리에서는 느려지는 템포에 차분하고 부드러우며 우아한 팔의 곡선미를 드러내면서 단아한 자태로 끝을 맺는다관객과 하나가 되는 신명이 넘치는 무대로 부족함이 없다. 마지막 호흡을 마치면서도 미소를 잃지 않는 무용수의 눈빛이 온라인 속 관중의 마음을 휘어잡는다. 

 

진도북춤은 고 박병천 선생이 발전시키고 예술화 한 작품이다북을 허리에 고정시키고 양손에 북채를 들고 추는데 두레굿에서 농악으로 농악에서 춤으로 발전된 진도지역의 춤이다. 양손에 북채를 들고 추는 화려한 북장단이 특징이다. 섬세하고 우아하며 남성적이면서도 직선미와 곡선미의 조화가 뚜렷하여 예술성이 돋보이는 민속무용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화면 캡처 2021-04-01 113356.jpg

  

김세희 정재만류 살풀이춤’ 

 

남원 서어나무숲 봄날, 엄동설한에 봄을 기다리던 나무들이 내품는 봄기운을 받으며 하아얀 버선발을 내딛는 김세희 살풀이는 아름다운 영화의 한 장면을 연출한다당차고 야무진 얼굴에 자신감이 묻어나고 곱고 절제된 춤사위가 고고하다.

 

한국무용의 기본이 되는 살풀이는 나쁜 기운살을 푸는 무속에서 유래한 춤이다흰색 긴 명주 수건을 들고 맺거나 푸는 과정을 통해 삶의 희로애락을 형상화한다애원성이 짙은 살풀이 가락에 맞춘 정중동의 절제된 춤사위가 특징이나 무용수의 다양한 감정표현과 춤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예술적 정서에 따라 달라지는 작품이기도 하다.

 

화면 캡처 2021-03-31 233858.jpg

 

양근영 궁중무용 춘앵전’ 

 

아담원에서는 궁중에서 선보였던 춘앵전이 화려하게 펼쳐진다. 주로 두 팔의 움직임이 크고공간의 이동 범위가 넓지 않다사뿐한 발걸음과 크게 표현되는 두 팔의 춤사위가 조화롭고 우아하다후반부에서는 조금 빨라지는 장단으로 두 팔을 뒤로 하고 뒷걸음질하는 동작이 연출된다다시 장단이 느려지고 양 팔을 크게 벌려 좌측 회전을 여러번 하는 동작을 표현한다

 

절제미가 있는 정중동 몸짓은 드넓은 공간을 휘몰아치면서 한폭의 채색화로 물들인다.  

 

양근영의 춘앵전은 잔잔한 물가를 끼고 푸른 산새 속에 있는 듯한 평온함과 안정적이고 고아한 기품을 지녔다.


춘앵전은 1828년 순조때 효명세자 어머니의 40세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 창작한 작품이다이른 봄날 아침에 버드나무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표현하는 궁중무용이다꽃무늬를 수놓은 작은 화문석 위에서 추는 독무로 무용수가 입은 노란색 의상은 꾀꼬리를 상징하며 앵삼이라고 부른다의상과 머리장식이 돋보여 화려하지만 작은 화문석 위에서 추는 춤사위로 절제미와 기품이 있는 춤이다

 

화면 캡처 2021-03-31 234309.jpg

  

임재현 가야금병창 단가 추억’ 

 

마무리는 남원이 자랑하는 금수정 무대이다. 힘이 있고 안정된 소리를 지닌 임재현은 시작부터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절절하고 애끓는 감정표현에 흔들림이 없고 가야금 연주와 소리의 조화가 능수능란하다과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감정을 전달하고 소리가 끝났을 때도 깊은 여운을 선사한다.

  

추억은 국창 임방울의 작창곡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떠나보내고 무덤가에서 부른 노래이다절절한 사랑이야기로 사설과 감정이 전달되는 점이 크고, 1930년대 초반 발표 당시 전국민적으로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화면 캡처 2021-03-31 233618.jpg

 

진행자와 실연자가 만드는 토크쇼에서 실연자가 직접 작품의 해설과 함께 뒷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에서 다시 한번 국악의 예술성을 시청자들과 공유하게 해주었다. 

 

예향의 고장, 남원의 명소와 아름다운 자연을 무대로 한 4군데 공간에서 소리와 춤으로 펼쳐진 공연은 남원의 정취와 풍류를 더해져 국악나들이 공연에 더욱 빠져들게 해주었다. 

 

코로나에 지친 시민들의 정서를 잠시 국악의 신명과 흥으로 아우러 준 플러스국악 공연이었다. 

  

화면 캡처 2021-03-31 2344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