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음반] 정창관의 신보유람 26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으로 보는 근대인물]

[음반] 정창관의 신보유람 26

유홍 대금정악 <영산회상>

  • 특집부
  • 등록 2021.03.02 05:36
  • 조회수 3,225
26-신보유람-유홍.jpg
유홍 대금정악 <영산회상> (2021년 Sound Press GGC-20040)

 

정창관/한국고음반연구회 부회장  

 

영산회상은 불교의 성악곡이 기악화한 곡으로 여덟 또는 아홉 곡의 작은 곡들이 모음곡처럼 연결되어 하나의 완성된 곡을 이루는데, 작은 곡들은 생성시기가 각기 달라서 속도나 리듬구조가 다르며, 서로 변주·변화 관계에 있는 것도 있다. 15세기의 음악을 기록한 대악후보1493년에 만들어진 악학궤범에 기록된 영산회상은 처음에는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彿菩薩)이라는 불교 가사를 관현악 반주로 노래하던 불교음악이었으며, 또한 향악정재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한다. 이와 같이 본래 불교의 성악곡이던 영산회상이 중종(1506-1544) 시기에 세속화하기 시작하여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가사는 없어지고 순 기악곡으로 변화한다.

 

현행 영산회상에는 가사로 노래하던 상령산에서 파생한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가 있고 후에 추가된 삼현도드리와 그의 변주곡인 하현도드리 그리고 불교노래의 하나인 염불도드리가 있으며, 또 불교음악과는 무관한 타령, 군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산회상은 상령산 한곡에서 비롯하였으나 그로부터 중령산 등이 파생되고 새로운 곡이 결합 하면서 전체 9곡에 이르는 모음곡을 완성하였다.

 

넓은 의미의 영산회상은 악기편성, 선율형태, 연주방법 등에 따라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 중광지곡이란 아명의 현악영산회상’, 관악기가 중심이 되는 표정만방지곡이란 아명의 관악영산회상’, 본래의 현악영산회상4도 아래로 낮게 조옮김하여 변화시킨 유초신지곡이라는 아명의 평조회상등의 세 가지가 있다. 그리고 현악영산회상은 도드리, 천년만세(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 등과 결합하여 별곡이라 불리는 여러 가지 형태로 연주된다.

 

좁은 의미의 영산회상중광지곡이란 아명의 현악영산회상을 의미한다. 합주를 할 경우 주로 가야금, 거문고, 단소, 대금, 세피리, 장구, 해금의 세악합주 형태로 편성되고 경우에 따라 양금이 포함되기도 하지만 악기의 편성은 아주 탄력적으로 구성한다.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총 9곡이 모여 이루어진 대규모 모음곡 형식의 악곡으로 느리게 시작해 점차적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한국 전통음악 한배 흐름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음반은 현악영산회상’ 9악장(상령산~군악)을 대금 독주로 담았다. 유홍 대금 연주자의 첫음반이다. 연주자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를 졸업하고 런던대학교 SOAS 민족음악학과에서 Performance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정가악회 창단 멤버로 활약(2001~2007)하였으며 현대음악의 중심지인 독일 베를린에서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김중섭, 박환영, 임재원, 서용석 명인을 사사하였으며 2018년에는 사야국악상을 수상하였다. 이 음반도 사야국악상 수상을 기념하여 사야문화재단의 지원으로 출반한 것이다.

 

유홍이 연주하는 영산회상에서 저취와 평취의 따뜻하면서 묵직한 음색을 맛볼 수 있으며, 서서히 빠르게 변화하는 장단에 맞춰 움직이는 유려한 가락과 섬세한 호흡을 느낄 수 있다. 독주라 영산회상의 가는 길이 훤히 보여 좋다,

 

* 관련 음반 : http://www.gugakcd.kr/music_detail.asp?cd_num=GGC-20040&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