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1.23 (토)
[국악신문] 황해도무형문화재 제4호 화관무 2020 정기공연이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지난 1월 20일 비대면 동영상 공연으로 진행되었다.(사진:김동국 사진전문기자) [국악신문] 황해도무형문화재 제4호 '화관무' 전수교육조교 차지언의 '민천식 수건춤' (사진:김동국 사진전문기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한국저작권보호원(원장 박주환, 이하 보호원)과 함께 한류 콘텐츠의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적시 대응해 한류 콘텐츠가 디지털 경제를 주도할 수 있도록 거대자료(빅데이터)기반의 ‘저작권 침해대응시스템’을 구축한다고 20일 전했다. 최근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으로 온라인에서도 음악, 영화.등 다양한 분야의 한류 콘텐츠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하지만 불법복제나 무단배포가 되는 저작권 침해도 점차 늘어나고 있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문체부는 저작권 침해에 적시 대응...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국가무형문화재(제5호) 판소리(적벽가) 보유자가‘조선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특별전시실에서 공연한 실황을 담은 ‘적벽가를 들으며 군사의례를 둘러보다‘영상을 20일부터 온라인(유튜브)을 통해 공개한다. 이번 영상은 특별전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개막을 기념하여, 유형유산 전시유물과 무형유산 판소리 간의 조화를 통한 우리 문화유산의 다채로움을흥미롭게 전달하고자 기획하였다. 판소리(적벽가) 김일구 보유자가 전시실 안에서 적벽가 중 ‘자룡 활 쏘는 대목’과 ‘적벽강 불...
음반을 통한 국악 해설서 ‘우리가 몰랐던 국악음반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해리티지 채널’(문화재청)과 ‘문화유산 채널’(한국문화재단), 그리고 월간 ‘객석’에 발표한 글들을 재구성한 글모음이다. 저자는 서양 고전음악 매니아로 자처하다 "서양음악에 비해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국악에 매력을 느낀 후” 국악음반 수집으로 전향, 국악 애호가로 정평을 얻고 있는 정창관선생이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하나는 국악 음반의 역사를 구체적인 기록을 통해 제기한 부분이고, 둘은 국악 테마음반 평가와 해설이고, 마...
Inauguration of the Special Exhibition Military Rituals Symbol of Joseon Dynasty’s Military Power January 19 March 1, 2021,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Situated just a few steps from Gyeongbokgung Palace Station on Seoul Subway Line 3,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국악신문] 국립국악원 상설공연 ‘토요명품'공연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정부의 서울시 소재 국립문화예술시설 운영 재개 결정에 따라 이번 주부터 사전 녹화를 통해 제작한 '새해국악연'의 송출을 시작으로 우면당에서 진행하는 '토요명품' 공연을 대면공연으로 재개한다고 밝혔다. 사전 녹화를 통해 온라인 공연으로 선보이는 ‘새해국악연’은 오는 22일(금) 19시 30분, 국립국악원 유튜브와 네이버TV 채널과 국악방송TV를 통해 송출한다. 아울러 코로나19 바이러스 ...
‘이춘희를 읽다’는 인간문화재 이춘희(李春羲) 선생의 자전적 구술로 엮은 ‘경기소리 길 위에 서서 아침을 기다린다’를 요약,소개하는 글이다. 경기민요 명창의 고난과 영예의 역정을 통해 동시대 국악인들에게 참 명인의 지위가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함께하기 위해서다. 3회에 걸쳐 전하기로 한다.(편집자 주) ‘이춘희를 읽다’(1) 1. 소리에 눈뜨고, 소리 길에 들다 경기소리 명창 이춘희(李春羲) 선생의 구술로 엮은 ‘경기소리 길 위에 서서 아침을 기다린다’가 발간되었다. 영어로는 "The Life and...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정성숙)은 다채로운 전통예술 영상 콘텐츠로 가득 채운 온라인 전통예술 축제 ‘온통 페스티벌’을 1월 22일(금)~2월 14(일)까지 3주간에 걸쳐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공식 유튜브와 네이버TV를 통해 개최한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전통분야 예술인들의 창작 지원과 전통공연 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쳐왔다. 특히 다양한 공간을 발굴해 공간과 전통예술의 융합을 시도하는 장소 맞춤형 공연 ‘디 아트 스팟 시리즈’ 등을 통해 동시대 관객과 호흡하는 전통예술의 현재를 모색해왔다.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어보 322과의 분석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어보 과학적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어보는 의례의 산물로 제작된 인장(도장)이자 조선 시대부터 대한제국 시대까지 약 500년에 걸쳐 제작된 대표 왕실문화재이다.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왕과 왕실 전체의 권위를 상징하는 역사성과 진귀함으로 2017년에는 ‘조선왕조 어보·어책’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어보의 과학적인 분석자료를 확보하고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저자: 박관수(민속연구가) 이 책은 정선아리랑에 담긴 사회문화적 모습을 채록하고자 했다.기존의 입장과 달리 가사만을 채록하지 않았다.문학적인 입장에서만 정선아리랑을 접하려고 하지 않았고,정선아리랑의 존재양상을 다각도로 드러내려고 노력했다.그리고 무엇보다도 연구자의 입장에서만 소리를 대하지 않았고,소리들이 전승하는 그 자체를 드러내려고 노력했다. 정선 사람들의 삶과 함께 존재하는 정선아리랑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가사를 채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더구나 그 가사의 ...
2020 지구촌 한류현황 도서정보 제목: 2020 지구촌 한류현황Ⅰ,Ⅱ,Ⅲ,Ⅳ(총 4권 분권) 언어: 한국어 크기: 150×220×22mm 제본: 무선철(페이퍼백) ISBN: 979-11-5604-379-9(세트) 2012년부터 매년 전 세계 한류현황을 분석하여 책으로 펴내고 있는KF(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이근)가 외교부와 함께 2020지구촌 한류현황을 발간했다. 2020지구촌 한류현황은 전 세계 총109개국의 한류 현황,문화적 특성,문화교류 시 유의...
경남도민의 오랜 염원이었던 경남도립예술단이 지난해 창단 원년을 마무리하고 도민의 문화예술 향유를 위해 2021년 새로운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2021년 ‘품격과 감동, 도민 행복을 추구하는 도립예술단’이라는 비전 아래, 고품격 공연을 통한 도민의 행복증진 실현과 경남연극 미래를 위한 인재육성 기반 구축, 지역예술인과의 협력 네트워크 강화 등을 목표로 날개를 펼치고 있다. 2020년 시놉시스 공모전 당선작(다시 찾은 청춘에게, 강미지-김해여고)을바탕으로 한 창작극 ‘내가 곁에 있을게’가 4월 첫 선을 보인...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 표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채수희)은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와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무형문화재 디지털 홍보 안내서인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 - 신명나는 무형문화재』(이하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를 발간하였다. 『한 장으로 읽는 무형문화재』는 국가무형문화재 종목별 개요와 간략한 소개, 내용과 특징, 해당 종목이 오늘날 가진 역할과 가치 등을 한 장으로 정리하여, 국가무형문화재 전 종목을 온라인에서 손쉽게 만나볼 수 있...
우리나라 전통 음악 음반의 약사(略史)를 시작으로 음반으로 순례하는 아리랑까지, 우리 민족의 음악 아리랑을 이해하고 우리 국악의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 ■목차 ●국악 음반 이야기 첫 번째 •우리의 전통 음악, 그 음반의 약사(略史) 두 번째 •한민족 최초의 음반, 그 시작 세 번째 •한민족 최초의 아리랑을 소리로 듣다 네 번째 •손으로 쓴 한민족 최초의 오선보 다섯 번째 •찾아야 할 우리나라의 첫 원반 여섯 번째 •우리 민족의 한을 담고 있는 유성기 음반 1. ...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정악단 예술감독에 이상원 대금 연주자를 임명했다. 신임 예술감독 임기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이다. 이상원 신임 예술감독은 국립국악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국악과 학사와 한양대학교 국악과 석사, 동대학원 음악학 박사를 마쳤다. 1991년부터 2020년까지 30년간 국립국악원 정악단에 몸담으며, 수석, 지도단원, 악장 등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이상원 신임 예술감독은 그동안 정악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을 이수하는 등 ...